EBS 헬로 루키 콘테스트
![]() | |
장르 | 음악 |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EBS 1TV |
방송 기간 | 2007년 ~ |
방송 시간 | 본방송 금요일 밤 12시 ~ 12시 50분 |
방송 분량 | 50분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
자막 | 폐쇄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EBS 헬로 루키 콘테스트 |
비고: |
EBS 헬로 루키 콘테스트는 EBS 스페이스 공감에서 2007년에 시작된 신인 발굴에 목적을 둔 음악 경연회이다.[1] 매달 동영상 심사와 공개오디션을 통해 선정된 2팀을 EBS 스페이스 공감의 무대에서 '이 달의 헬로루키'로 소개해왔으며, 지원 자격은 음반을 발매한 적이 없거나, 최초로 낸 음반의 발매가 2년을 넘지 않는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신인 뮤지션에게 주어진다.[2][3] 2008년 부터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공동 주관하는 형태가 되었다.[4] 헬로 루키 콘테스트는 대한민국의 신인 인디 밴드들이 유명해지는데 발판이 되는 가장 대표적인 경연회로 평가받으며, 국카스텐, 장기하와 얼굴들, 잠비나이와 같은 밴드들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처음 유명해지게 되었다.[5][6]
대회 진행
[편집]2008년
[편집]2008년 11월 29일 광장동 멜론악스에서 열린 《2008 인디뮤직 페스타 헬로루키 OF THE YEAR》에는 국카스텐, 한음파, 고고스타, 드라이 플라워, 장기하와 얼굴들, 마제, 바플라이 등 7개팀이 올해의 헬로루키 최종후보로 선정되어 출전했다. 차승우, 장윤주가 MC를 맡았으며 김창완 밴드와 언니네이발관이 축하공연을 펼치고 문샤이너스가 오프닝 무대를 장식했다.
2009년
[편집]2009년 11월 14일 펜싱경기장에서 열린 《한국대중음악축제 - 올해의 헬로 루키》에는 데이브레이크, 박주원, 아폴로 18, 흠, 노리플라이, 텔레파시, 좋아서 하는 밴드 등 7개팀이 출전했다. 이 무대에는 위 7개팀뿐 아니라 김수철, 이승환, 피아, 장기하와 얼굴들, 국카스텐, 한음파, 검정치마, 브로콜리 너마저, 슈프림팀이 출연했고, MC를 맡은 김C와 장윤주가 밴드 뜨거운 감자와 함께 오프닝 무대를 장식했다.
2010년
[편집]2010년 12월 4일 고대 화정체육관에서 열린 《EBS 스페이스 공감 Special Live - 2010 올해의 헬로 루키》에는 더 유나이티드93, 랄라스윗, 프렌지, 야야, 김나현밴드, 가자미소년단, 더 큅 등 7개팀이 출전했다. 이 무대에는 위 7개팀뿐 아니라 봄여름가을겨울, 크라잉넛, 클래지콰이, 스윗 소로우, 국카스텐, 아폴로 18, 슈프림팀이 출연했고, MC를 맡은 장기하와 장윤주가 오프닝 무대를 장식했다.
2011년
[편집]2011년 11월 18일 악스코리아에서 열린 《EBS 스페이스 공감 Special Live - 2011 올해의 헬로 루키》에는 최고은, 바이바이배드맨, 잠비나이, 이스턴 사이드 킥, 슈퍼8비트, 일렉트릭바이저, 페이션츠 등 7개팀이 출전했다. 이 무대에는 위 7개팀뿐 아니라 이승환, 가리온, 갤럭시 익스프레스, 야야가 출연했고, MC는 이승환과 호란이 맡았다.
2012년
[편집]2012년 12월 7일 악스코리아에서 열린 《EBS 스페이스 공감 Special Live - 2012 올해의 헬로 루키》에는 구텐버즈, 마일스 어웨이, 박소유, 베인스, 적적해서 그런지, 전기뱀장어, 코어매거진 총7개 팀이 결선진출하였다. 이승환과 윤하가 사회를 맡았으며 데이브레이크, 바이바이배드맨, 크라잉넛이 축하무대를 꾸몄다.
2013년
[편집]2013년 11월 9일 유니클로 악스에서 열린 《EBS 스페이스 공감 Special Live - 2013 올해의 헬로 루키》에는 청년들, 라운드헤즈, 아시안 체어샷, ECE, 로큰롤라디오, 스쿼시바인즈 총6개 팀이 결선진출하였다. 이승환과 옥상달빛이 사회를 맡았으며 코어매거진, 헬로루키 OB스페셜(게이트 플라워즈, 이정훈, 백준명), 델리 스파이스가 축하무대를 꾸몄다.
2014년
[편집]2014년 11월 8일 악스코리아에서 열린 《EBS 스페이스 공감 Special Live - 2014 올해의 헬로 루키》에는 크랜필드, 데드버튼즈, we hate jh, 아즈버스, 파블로프, MAN 총6개 팀이 결선진출하였다. 이승환과 레이디 제인이 사회를 맡았으며 로큰롤라디오, 이디오테잎, 헬로루키 OB스페셜(데이브레이크X로맨틱펀치), 전인권 밴드가 축하무대를 꾸몄다.
2015년
[편집]2015년 11월 14일 악스코리아에서 열린 《2015 올해의 헬로루키》에는 보이즈 인 더 키친, 얼스바운드, 에이퍼즈, 전범선과 양반들, DTSQ, 57 총6팀이 결선에 진출하였다. 이승환과 최희가 사회를 맡았으며 함춘호&장필순, 국카스텐, 솔루션스X칵스, 크랜필드가 축하무대를 꾸몄다.
역대 수상자
[편집]연도 | 대상 | 심사위원 특별상 | 인기상 | 이달의 헬로루키 |
---|---|---|---|---|
2007년 | - | |||
2008년 | 국카스텐 | 한음파 | 장기하와 얼굴들 | |
2009년 | 아폴로18 | 텔레파시 | 좋아서 하는 밴드 | |
2010년 | 야야 | 가자미소년단 | 랄라스윗 | |
2011년 | 바이바이배드맨 | 잠비나이 | 이스턴 사이드 킥 |
연도 | 대상 | 우수상 | 심사위원 특별상 | 이달의 헬로루키 | 와일드카드[7] |
---|---|---|---|---|---|
2012년 | 코어매거진 | 적적해서 그런지 | 마일스 어웨이 | - | |
2013년 | 로큰롤라디오 | 아시안체어샷 | ECE |
| |
2014년 | 크랜필드 | 아즈버스 | 파블로프 |
| |
2015년 | 에이퍼즈 | 보이즈 인 더 키친 | 57 |
|
|
2016년 | 실리카겔 | 줄리아드림 | 안다영밴드 |
|
|
2018년 | 우주왕복선싸이드미러 | 설 | 데카당 |
| |
2019년 | 애리 | 차세대 | 겨울에서봄 |
| |
2022년 | 직소쿠리클럽 | 다정 | 화노 |
|
각주
[편집]- ↑ 지민, 홍 (2022년 7월 5일). “EBS, 신인 뮤지션 발굴 ‘헬로루키’ 3년 만에 재개”. 《서울 en》. 2023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재범, 김 (2009년 8월 13일). “무서운 신인들이 모인다…‘헬로 루키’ 공개 오디션”. 《동아일보》. 2023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봉석, 손 (2018년 4월 6일). “신인 뮤지션 발굴 프로젝트 ‘2018 EBS 헬로루키 with KOCCA’”. 《스포츠경향》. 2023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주영, 장 (2009년 11월 16일). “‘올해의 헬로루키`, 아폴로18·좋아서 하는 밴드 등 수상’”. 《스포츠경향》. 2023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용호, 김 (2010년 9월 13일). “EBS '헬로루키', 인디밴드 등용문 각광!”. 《스포츠월드》. 2023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유진, 이 (2019년 4월 18일). “국카스텐·장기하 발굴 오디션 ‘EBS 헬로루키’ 올해도 개최”. 《경향신문》. 2023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와일드카드는 2013년 헬로루키부터 마련된 패자부활전으로 '이달의 헬로루키'를 아깝게 놓친 팀들 가운데 본선진출 후보자격을 부여한다. 와일드카드로 선정된 뮤지션들은 네티즌의 투표와 심사위원의 심사로 연말 결선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