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하이드록시벤조산
![]() | |
이름 | |
---|---|
우선명 (PIN) 3-hydroxybenzoic acid | |
별칭 m-hydroxybenzoic acid meta-hydroxybenzoic acid 3-carboxyphenol m-salicyl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2.478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7H6O3 | |
몰 질량 | 138.12 g/mol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3-하이드록시벤조산(영어: 3-hydroxybenzoic acid)은 모노하이드록시벤조산의 일종이다.
제조
[편집]3-하이드록시벤조산은 210 – 220°C 사이에서 3-설포벤조산의 알칼리 융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1]
자연적인 생성
[편집]3-하이드록시벤조산은 향료에 사용되는 성숙한 아메리카비버(Castor canadensis)와 유럽비버(Castor fiber)의 피마자 주머니에서 나오는 삼출물인 해리향의 구성 성분이다.
3-하이드록시벤조산은 또한 슈도모나스 종에 의해 3-클로로벤조산으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다.[2]
3-하이드록시벤조산은 파인애플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larke, M. F.; Owen, L. N. (1950). “434. Alicyclic glycols. Part V. 3-Hydroxymethylcyclohexanol”.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Resumed)》: 2108–2115. doi:10.1039/JR9500002108.
- ↑ H.W. Johnston, G.G. Briggs and M. Alexander (1972). “Metabolism of 3-chlorobenzoic acid by a pseudomonad”.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4 (2): 187–190. doi:10.1016/0038-0717(72)90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