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북서태평양 열대저압부
이 문서는 2025년에 발생한 태풍으로 발달하지 못한 열대저압부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한 문서이다.
이전 2024년 | 열대저압부 정보 2025년 | 다음 2026년 |
통계
[편집]월별 태풍이 되지 못한 열대저압부 발생 개수
[편집]-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합계 | |
---|---|---|---|---|---|---|---|---|---|---|---|---|---|---|
2024년 | 0 (0) | 0 (0) | 0 (0) | 0 (0) | 0 (0) | 0 (0) | 0 (0) | 0 (0) | 0 (0) | 0 (0) | 0 (0) | 0 (0) | 0 | |
10년 평균 (2015~2024년) | 0.3 (0.3) | 0.1 (0.4) | 0.5 (0.9) | 0.2 (1.1) | 0.9 (2.0) | 1.0 (3.0) | 2.3 (5.3) | 3.1 (8.4) | 2.4 (10.8) | 2.1 (12.9) | 0.7 (13.6) | 0.7 (14.3) | 14.3 | |
*괄호 안의 숫자는 누적 태풍으로 발달하지 못한 열대저압부 수임. |
타임라인
[편집]SSHS
[편집]
열대저압부 이름
[편집]일본 기상청만이 열대저압부를 열대저기압의 세력으로 감시했을 땐 그 당시 연도에 몇번째로 발생한 JMA 열대저기압이기에 이름을 JMA TD (숫자)로 서술하고, JTWC가 열대요란으로 분석하고 일본 기상청이 열대저기압으로 분석했을 땐 JTWC의 열대요란 지정 번호를 사용한다. 또한 JTWC와 일본 기상청 모두 열대저기압으로 분석했을 땐 JTWC의 열대저기압 지정 번호를 사용한다.
활동중인 열대저압부
[편집]활동한 열대저압부
[편집]제1호 열대저기압 93W
[편집]열대저압부 (KMA) | ||
---|---|---|
열대저기압 (JMA) | ||
열대저기압 (SSHS) | ||
![]() ![]() | ||
활동 기간 | 2월 11일 ~ 2월 17일 | |
최저 기압 | 1008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13m/s |
JMA | 13m/s (25kt) | |
태풍 피해 | - |
2025년 제1호 열대저기압 93W은 2월 11일 15시에 중심기압 1008hPa, 최대풍속 13m/s의 열대저기압으로 브루나이 북쪽 동중국해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태풍으로 발달한 열대저압부
[편집]같이 보기
[편집]- 2025년 태풍
- 2025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 2025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 2025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 2025년 북인도양 저기압
-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2024-2025, 2025-2026
- 호주 근해 사이클론: 2024-2025, 2025-2026
- 남태평양 사이클론: 2024-2025, 2025-2026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