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023學年度 大學修學能力試驗, 2022년 수능)은 2022년 11월 17일 목요일에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이다.[1]
2022학년도 시험부터 문,이과 통합형 시험이 그대로 유지된다.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2022년 6월 9일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2022년 8월 31일
2020년 8월 26일 교육부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일정을 공개했다.
과목 | 문제 및 정답 | 비고 |
국어 영역 | ■ | |
수학 영역 | ■ | |
영어 영역 | ■ | |
한국사 영역 | ■ | |
사회탐구 영역 | ■ | |
과학탐구 영역 | ■ | |
직업탐구 영역 | ■ | |
제2외국어/한문 영역 | ■ | |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인원, %)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국어 | 446,043 | 134 (371명, 0.08%) | 126 |
수학 | 428,966 | 145 (934명, 0.22%) | 133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비율 |
영어 | 444,887 | 34,830명 (7.83%) |
한국사 | 447,669 | 129,273명 (28.88%) |
사회탐구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만점 표준점수(인원, %) |
생활과 윤리 | 142,541 | 45 | 72 (1,133, 0.79%) |
윤리와 사상 | 34,226 | 45 | 72 (203, 0.59%) |
한국지리 | 34,489 | 48 | 67 (885, 2.57%) |
세계지리 | 25,980 | 47 | 68 (562, 2.16%) |
동아시아사 | 20,413 | 50 | 65 (1,320, 6.47%) |
세계사 | 16,457 | 47 | 68 (288, 1.75%) |
경제 | 4,927 | 45 | 72 (33, 0.67%) |
정치와 법 | 25,682 | 42 | 74 (63, 0.25%) |
사회·문화 | 127,189 | 42 | 72 (58, 0.05%) |
과학탐구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만점 표준점수 |
물리학Ⅰ | 62,309 | 46 | 70 (1,497, 2.40%) |
화학Ⅰ | 70,745 | 43 | 75 (315, 0.45%) |
생명과학Ⅰ | 140,978 | 42 | 72 (183, 0.13%) |
지구과학Ⅰ | 146,060 | 42 | 73 (91, 0.06%) |
물리학Ⅱ | 2,628 | 43 | 71 (7, 0.27%) |
화학Ⅱ | 2,841 | 43 | 73 (4, 0.14%) |
생명과학Ⅱ | 4,939 | 45 | 71 (14, 0.28%) |
지구과학Ⅱ | 2,758 | 48 | 67 (74, 2.68%) |
직업탐구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성공적인 직업 생활 | 4,118 | 68 |
농업 기초 기술 | 209 | 70 |
공업 일반 | 1,461 | 67 |
상업 경제 | 1,476 | 70 |
수산·해운 산업 기초 | 23 | 74 |
인간 발달 | 1,080 | 68 |
울산 현대청운고등학교 3학년 권하은 양과 포항제철고등학교 3학년 최수혁 군이 수능 만점자이며, 나머지 학생 포함에 재학생 2명, 졸업생 1명 등이 있다.
|
---|
역대 시험 | |
---|
그 외 | |
---|
음영표시는 가까운 시기에 있는 시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