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2021년 전국체육대회 | |
---|---|
대회 | 제41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개최국 | ![]() |
개최지 | 경상북도 |
모토 | 새로운 경상북도! 행복한 대한민국! |
참가 선수 | 5,856명 (남자: 4,267명, 여자: 1,589명) |
경기 종목 | 30개 종목 |
임원 | 2,309 |
개막식 | 2021년 10월 20일 (개막일, 개회식은 성화점화식으로 대체) |
폐막식 | 2021년 10월 25일 (폐막일, 폐회식은 취소) |
개회 선언 | 없음 |
폐회 선언 | 없음 |
선수 선서 | 없음 |
심판 선서 | 없음 |
성화 점화 | 유병훈 (육상, 경북장애인체육회), 김락환 (한국교통장애인협회 중앙회장) |
주경기장 | 구미시민운동장 |
2022 » |
제41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2021년 10월 20일부터 10월 25일까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일원에서 열리는 대회이다. 2020년에는 대회가 열리지 않았으나 대회 규정 제3조에 따라 2021년 대회를 제41회 대회로 명명하였다.[1] 관련 행사인 제102회 전국체육대회와 형제대회로 치러진다.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하여 모든 경기가 무관중으로 개최되었으며, 개막식은 성화점화식으로 축소되고 폐막식은 취소되었다.[2]
개요
[편집]- 대회명칭 : 제41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개최기간 : 2021년 10월 20일 ~ 2021년 10월 25일
- 개최지 : 경상북도 구미시를 중심으로 한 12개 시,군
- 구호 : 새로운 경상북도! 행복한 대한민국!
- 참가인원 : 8,165명
- 선수: 선수부 4,213명, 동호인부 1,461명, 비장애인선수 182명
- 임원 및 관계자: 2,309명 (단장, 부단장, 총감독, 감독, 코치, 인솔코치, 임원, 보호자, 수어통역사, 로더)
- 참가장애 : 지체장애, 시각장애, 지적(발달)장애, 청각장애, 뇌병변장애
- 종별: 선수부(Elite Division), 동호인부(Club Division)
- 마스코트 : 새롬이, 행복이[3]
종목
[편집]제41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의 종목은 다음과 같다.
선수부
동호인부
경기장
[편집]종목 | 세부종목 | 종별 | 소재지 | 경기장 |
---|---|---|---|---|
게이트볼 | 지체/시각/지적/청각/뇌병변 | 의성군 | 의성군 전천후 게이트볼장 | |
골볼 | 시각 | 포항시 | 오천체육문화타운(포은체육관) | |
골프 | 파크 | 지체 | 구미시 | 구미장애인파크골프장 |
농구 | 지적/지체 | 상주시 | 상주시 실내체육관 신관 | |
당구 | 지체/청각 | 경주시 | 경주 실내체육관 | |
댄스스포츠 | 지체/시각/청각/뇌병변 | 구미시 | 박정희체육관 | |
론볼 | 지체/뇌병변 | 안동시 | 안동재활원 론볼경기장 | |
배구 | 지체 | 경산시 | 대구 가톨릭대학교 체육관 | |
배드민턴 | 지체/지적/청각/뇌병변 | 포항시 | 포항 포스코한마당체육관 | |
보치아 | 지체/뇌병변 | 안동시 | 안동체육관 | |
볼링 | 지체/시각/지적/청각/뇌병변 | 구미시 | 구미시 복합 스포츠센터 | |
사격 | 지체/청각 | 대구광역시 | 대구국제사격장 | |
사이클 | 도로 | 지체/시각/지적/청각/뇌병변 | 구미시 | 구미 산동농공단지 일대(예정) |
트랙 | 지체/시각/지적/청각/뇌병변 | 영주시 | 영주경륜훈련원 | |
수영 | 지체/시각/지적/청각/뇌병변 | 김천시 | 김천실내수영장 | |
양궁 | 지체 | 예천군 | 예천진호국제양궁장 | |
역도 | 지체/시각/지적/청각 | 포항시 | 만인당 체육관 | |
요트 | 지체 | 울진군 | 후포요트경기장 | |
유도 | 시각/청각 | 안동시 | 안동초등학교 체육관 | |
육상 | 지체/시작/지적/청각/뇌병변 | 구미시 | 구미시민운동장 | |
조정 | 수상 | 지체/시각/지적 | 경산시 | 대구대학교 문천지 |
실내 | 지체/시각/지적 | 경산시 | 대구대학교 수상정고 | |
축구 | 지적/청각/시각/뇌병변 | 경주시 | 경주축구공원 1~4구장 | |
축구 | 뇌성마비 | 경주시 | 경주시민운동장 | |
카누 | 지체 | 안동시 | 안동 낙동강 일원 | |
탁구 | 지체/시각/지적/청각/뇌병변 | 문경시 | 문경실내체육관 | |
태권도 | 청각 | 문경시 | 국군체육부대 선승관 | |
테니스 | 지체 | 구미시 | 금오테니스장 | |
트라이애슬론 | 지체 | 경주시 | 경주보문단지일원 | |
펜싱 | 지체 | 구미시 | 예스구미스포츠파크 | |
휠체어럭비 | 지체 | 구미시 | 구미코 전시장 |
종합순위
[편집][4] 개최지
순위 | 지역 | 점수 | 금 | 은 | 동 | 합계 |
1 | 경기도 | 213,579.23 | 129 | 103 | 121 | 353 |
2 | 서울특별시 | 169,540.66 | 96 | 99 | 111 | 306 |
3 | 경상북도 | 150,098.95 | 57 | 57 | 92 | 206 |
4 | 충청북도 | 133,654.70 | 84 | 68 | 81 | 233 |
5 | 부산광역시 | 112,149.15 | 70 | 71 | 72 | 213 |
6 | 충청남도 | 110,464.20 | 42 | 58 | 52 | 152 |
7 | 광주광역시 | 108,531.20 | 59 | 57 | 54 | 170 |
8 | 대구광역시 | 95,187.10 | 33 | 50 | 58 | 141 |
9 | 울산광역시 | 88,637.10 | 75 | 55 | 53 | 183 |
10 | 전라남도 | 86,089.00 | 26 | 52 | 39 | 117 |
11 | 대전광역시 | 85,683.30 | 48 | 44 | 39 | 131 |
12 | 전라북도 | 79,251.48 | 36 | 39 | 42 | 117 |
13 | 경상남도 | 74,020.50 | 35 | 33 | 54 | 122 |
14 | 인천광역시 | 69,761.20 | 31 | 40 | 49 | 120 |
15 | 강원도 | 62,642.80 | 35 | 30 | 35 | 100 |
16 | 제주특별자치도 | 42,629.40 | 19 | 21 | 31 | 71 |
17 | 세종특별자치시 | 8,947.40 | 6 | 4 | 5 | 15 |
총계 | 1,690,867.37 | 881 | 881 | 988 | 2750 |
---|
최우수 선수상
[편집]- 윤지유 (경기도, 탁구): 3관왕[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대한장애인체육회 (2020년 2월 27일).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규정 (200227 개정)”.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2021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김경윤 (2021년 10월 20일). “연합뉴스”. 《전국장애인체전, 2년 만에 개회…6일간 선의의 경쟁》. 2021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대회소개”. 《제41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경상북도)》. 2021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종합순위”. 《제41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경상북도)》. 2021년 11월 6일에 확인함.
- ↑ 배진남 (2021년 10월 25일). “2년만에 열린 장애인체전서 경기도 종합우승…MVP는 탁구 윤지유”. 《연합뉴스》. 2021년 11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