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20년 UEFA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

2019-20년 UEFA 유로파리그 조별리그는 2019년 9월 19일부터 12월 12일까지 시작하도록 진행된다.[1] 2019-20년 UEFA 유로파리그에서 총 48개팀들이 32강전 이상 토너먼트에 진출하기 위해 상위 24개팀들을 성적순으로 결정할 것이다.[2] 2019-20년 UEFA 챔피언스리그 본선 조별리그 각조 3위팀들 8개팀들이 유로파리그 32강전에 합류할 것이다.

조추첨

[편집]

조별리그 조추첨은 2019년 8월 30일, 13:00 중부유럽서머타임(UTC+2)에, 모나코 그리말디 포룸에서 개최될 것이다.[3]

48개팀들은 4팀씩 배정될 조 총 12개조에 편성될 것이며, 같은 국가축구협회 소속 팀들끼리 같은 조에 편성되지 아니한다. 조추첨을 위해 4개 포트로 구분되어 배정될 것이다. (Regulations Article 13.06):[2]

  • 포트 1, 2, 3과 4는 남는 팀들을 포함하고, 2019년 UEFA 클럽 점수에 따라 결정된다.[4]

2014년 7월 17일에, UEFA 긴급 패널은 그 시점부터 러시아 프로축구팀들과 우크라이나 프로축구팀들이 정치적 이유로 무기한 맞대결하거나 같은 조에 편성되지 않도록 금지하였다.[5]

조추첨은 A-F조, G-L조가 다른 날짜에 시행되도록 한다. 앞조가 화요일, 뒷조가 수요일, 다른 주차엔 순서를 바꾼다. 같은 나라 팀들이 2팀 이상이면 서로 다른 요일에 치르도록 조추첨을 한다.

대진은 조추첨 직후, 컴퓨터로 비공개 추첨결정되며 톱시드 팀이 포트 1에 배정될 필요 없다. (Regulations Article 16.02):[2]

Group stage schedule
경기일 날짜 축구경기 대진
경기일 1 2019년 9월 19일 2 v 3, 4 v 1
경기일 2 2019년 10월 3일 1 v 2, 3 v 4
경기일 3 2019년 10월 24일 3 v 1, 2 v 4
경기일 4 2019년 11월 7일 1 v 3, 4 v 2
경기일 5 2019년 11월 28일 3 v 2, 1 v 4
경기일 6 2019년 12월 12일 2 v 1, 4 v 3

경기일정 제한: 예를 들어, 동일 도시 연고팀들(레알 마드리드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등)은 같은 날이나 연속된 날들에 홈경기를 개최하지 아니하며, "겨울 국가들" (예시, 러시아)은 12월에 마지막 경기일에 홈경기를 치르지 아니한다.(추운 날씨 때문).

형태

[편집]

각조에서 팀들은 홈앤드어웨이 리그제 방식으로 시행한다. 각조 1위팀과 2위팀들은 유로파리그 32강전에 진출한다. 각조 3위팀들과 4위팀은 탈락된다.

순위결정

[편집]

팀들은 승점 순으로 정렬된다.(승리시 3점, 무승부시 1점, 패배시 0점), 승점 동점이면 아래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한다.:[2]

  1. 동률팀간 승자승 승점;
  2. 동률팀간 승자승 골득실차;
  3. 동률팀간 승자승 다득점;
  4. 동률팀간 승자승 원정골 우선규칙;
  5. 만일 두 팀 이상이 동률이고, 위 조건들이 모두 동률이고, 팀들의 subset이 그래도 동률이면, 팀들의 subset끼리 독점적으로 위 순서들을 그대로 다시 적용한다. ;
  6. 전경기 골득실차;
  7. 전경기 다득점;
  8. 전경기 원정다득점;
  9. 전경기 승리수;
  10. 전경기 원정승리수;
  11. 벌점 (퇴장 = 3 점, 경고 = 1 점, 1경기 경고2회로 퇴장 = 3 점);
  12. UEFA club coefficient.

조별 경기

[편집]

경기일들은 2019년 9월 19일, 10월 3일, 24일, 11월 7일, 28일, 12월 12일이다.[1] 시작 시간은 21:00 중부유럽 서머타임(UTC+2)/중부유럽시간(UTC+1)이다. 매주 화요일과 수요일에 2경기들은 18:55 중부유럽 서머타임(UTC+2)/중부유럽시간(UTC+1)이다. 일부 예외 가능하다. 11월부터 러시아/벨라루스/터키/카프카즈3국/카자흐스탄 클럽팀의 홈경기는 다른 국가 팀들보다 먼저 시작한다.

2018년 10월 27일까지 (경기일 1–3) 중부유럽 서머타임 (UTC+2), 11월부터 (경기일 4–6) 중부유럽시간 (UTC+1)인 윈터타임으로 1시간 늦춘다.

A조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SEV APO QAR F91
1 스페인 세비야 6 5 0 1 14 3 +11 15 결선 토너먼트 진출 1–0 2–0 3–0
2 키프로스 APOEL 니코시아 6 3 1 2 10 8 +2 10 1–0 2–1 3–4
3 아제르바이잔 카라바흐 6 1 2 3 8 11 −3 5 0–3 2–2 1–1
4 룩셈부르크 뒤들랑주 6 1 1 4 8 18 −10 4 2–5 0–2 1–4
출처: UEFA
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 기준
APOEL 니코시아 키프로스 3 - 4 룩셈부르크 F91 뒤들랑주
[1]

세비야 스페인 1 - 0 키프로스 APOEL 니코시아
에르난데스 17분에 득점 17′ [3]
심판: 네덜란드 바스 네이하위스
F91 뒤들랑주 룩셈부르크 1 - 4 아제르바이잔 카라바흐
[4]

카라바흐 아제르바이잔 2 - 2 키프로스 APOEL 니코시아
[5]
세비야 스페인 3 - 0 룩셈부르크 F91 뒤들랑주
[6]
심판: 그리스 아나스타시오스 파파페트루

APOEL 니코시아 키프로스 2-1 아제르바이잔 카라바흐
[7]
심판: 오스트리아 마누엘 쉬텐그루버
F91 뒤들랑주 룩셈부르크 2 - 5 스페인 세비야
[8]
심판: 아이슬란드 빌햐울뮈르 쏘우라린손

F91 뒤들랑주 룩셈부르크 0 - 2 키프로스 APOEL 니코시아
[9]
세비야 스페인 2 - 0 아제르바이잔 카라바흐
[10]
심판: 스웨덴 모하메드 알-하킴

APOEL 니코시아 키프로스 1 - 0 스페인 세비야
사비치 61분에 득점 61′ [11]
심판: 몬테네그로 니콜라 다바노비치
카라바흐 아제르바이잔 1 - 1 룩셈부르크 F91 뒤들랑주
게예 90+1분에 득점 90+1′ [12] 부그린 63분에 득점 63′
심판: 에스토니아 크리스토 토흐베르

B조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MAL KOB DKV LUG
1 스웨덴 말뫼 FF 6 3 2 1 8 6 +2 11 결선 토너먼트 진출 1–1 4–3 2–1
2 덴마크 코펜하겐 6 2 3 1 5 4 +1 9 0–1 1–1 1–0
3 우크라이나 디나모 키예프 6 1 4 1 7 7 0 7 1–0 1–1 1–1
4 스위스 FC 루가노 6 0 3 3 2 5 −3 3 0–0 0–1 0–0
출처: UEFA
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 기준
코펜하겐 덴마크 1 - 0 스위스 루가노
산토스 50분에 득점 50′ [14]

FC 루가노 스위스 0 - 0 우크라이나 디나모 키예프
[15]
심판: 프랑스 카림 아베드
말뫼 FF 스웨덴 1 - 1 덴마크 FC 코펜하겐
로젠베리 55분에 득점 55′ [16] 닐센 45+5분에 득점 45+5′ (자책골)
심판: 독일 데니즈 아이테킨

말뫼 FF 스웨덴 2 - 1 스위스 루가노
[17]
심판: 아일랜드 롭 하비
디나모 키예프 우크라이나 1 - 1 덴마크 FC 코펜하겐
샤바노프 53분에 득점 53′ [18] 소티리우 2분에 득점 2′
심판: 튀르키예 할릴 우무트 멜레르

루가노 스위스 0 - 0 스웨덴 말뫼 FF
[19]
심판: 조지아 기오르기 크루아슈빌리
FC 코펜하겐 덴마크 1 - 1 우크라이나 디나모 키예프
스테이어 4분에 득점 4′ [20] 베르비치 70분에 득점 70′
심판: 헝가리 터마슈 보그나르

말뫼 FF 스웨덴 4 - 3 우크라이나 디나모 키예프
[21]
심판: 체코 파벨 크랄로베츠
루가노 스위스 0 - 1 덴마크 FC 코펜하겐
[22] 톰센 27분에 득점 27′
심판: 러시아 알렉세이 에스코프

디나모 키예프 우크라이나 1 - 1 스위스 루가노
치한코우 90+4분에 득점 90+4′ [23] 아라토레 45분에 득점 45′
심판: 아제르바이잔 알리야르 아가예프
FC 코펜하겐 덴마크 0 - 1 스웨덴 말뫼 FF
[24] 파파야노풀로스 77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77′ (자책골)
심판: 이탈리아 다비데 마사

C조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BSL GET KRA TRA
1 스위스 FC 바젤 6 4 1 1 12 4 +8 13 결선 토너먼트 진출 2–1 5–0 2–0
2 스페인 헤타페 6 4 0 2 8 4 +4 12 0–1 3–0 1–0
3 러시아 크라스노다르 6 3 0 3 7 11 −4 9 1–0 1–2 3–1
4 튀르키예 트라브존스포르 6 0 1 5 3 11 −8 1 2–2 0–1 0–2
출처: UEFA
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 기준
헤타페 스페인 1 - 0 튀르키예 트라브존스포르
안헬 18분에 득점 18′
FC 바젤 스위스 5 - 0 러시아 크라스노다르

크라스노다르 러시아 1 - 2 스페인 헤타페
아리 69분에 득점 69′ 안헬 로드리게스 36분, 61분에 득점 36′61′
트라브존스포르 튀르키예 2 - 2 스위스 FC 바젤
심판: 이탈리아 마르코 디 벨로

트라브존스포르 튀르키예 0 - 2 러시아 크라스노다르
심판: 오스트리아 하랄트 레흐너
헤타페 스페인 0 - 1 스위스 FC 바젤
프라이 18분에 득점 18′
심판: 프랑스 제롬 브리자르

크라스노다르 러시아 3 - 1 튀르키예 트라브존스포르
심판: 프랑스 브누아 바스티앵
FC 바젤 스위스 2 - 1 스페인 헤타페
심판: 우크라이나 세르히 보이코

트라브존스포르 튀르키예 0 - 1 스페인 헤타페
마타 50분에 득점 50′
심판: 라트비아 안드리스 트레이마니스
크라스노다르 러시아 1 - 0 스위스 FC 바젤
아리 72분에 득점 72′ (페널티)

헤타페 스페인 3 - 0 러시아 FC 크라스노다르
FC 바젤 스위스 2 - 0 튀르키예 트라브존스포르
심판: 북마케도니아 알렉산다르 스타브레프

D조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LIN SPO PSV ROS
1 오스트리아 LASK 린츠 6 4 1 1 11 4 +7 13 결선 토너먼트 진출 3–0 4–1 1–0
2 포르투갈 스포르팅 CP 6 4 0 2 11 7 +4 12 2–1 4–0 1–0
3 네덜란드 PSV 에인트호번 6 2 2 2 9 12 −3 8 0–0 3–2 1–1
4 노르웨이 로젠보리 6 0 1 5 3 11 −8 1 1–2 0–2 1–4
출처: UEFA
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 기준
LASK 린츠 오스트리아 1 - 0 노르웨이 로젠보리 BK
홀런드 45+3분에 득점 45+3′

로젠보리 BK 노르웨이 1 - 4 네덜란드 PSV 에인트호번
심판: 튀르키예 할릴 우무트 멜레르
스포르팅 리스본 포르투갈 2 - 1 오스트리아 LASK 린츠

스포르팅 리스본 포르투갈 1 - 0 노르웨이 로젠보리 BK
볼라지 70분에 득점 70′
PSV 에인트호번 네덜란드 0 - 0 오스트리아 LASK 린츠
심판: 잉글랜드 크리스 캐버너그

로젠보리 BK 노르웨이 0 - 2 포르투갈 스포르팅 리스본
심판: 스코틀랜드 케빈 클랜시
LASK 린츠 오스트리아 4 - 1 네덜란드 PSV 에인트호번
심판: 루마니아 라두 페트레스쿠

스포르팅 리스본 포르투갈 4 - 0 네덜란드 PSV 에인트호번
심판: 이스라엘 오렐 그린펠드
로젠보리 BK 노르웨이 1 - 2 오스트리아 LASK 린츠
심판: 조지아 기오르기 크루아슈빌리

PSV 에인트호번 네덜란드 1 - 1 노르웨이 로젠보리 BK
이하타렌 63분에 득점 63′ 헬란 22분에 득점 22′
심판: 러시아 비탈리 메슈코프
LASK 린츠 오스트리아 3 - 0 포르투갈 스포르팅 리스본
심판: 스코틀랜드 윌리엄 콜럼

E조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CEL CFR LAZ REN
1 스코틀랜드 셀틱 6 4 1 1 10 6 +4 13 결선 토너먼트 진출 2–0 2–1 3–1
2 루마니아 CFR 클루지 6 4 0 2 6 4 +2 12 2–0 2–1 1–0
3 이탈리아 라치오 6 2 0 4 6 9 −3 6 1–2 1–0 2–1
4 프랑스 6 1 1 4 5 8 −3 4 1–1 0–1 2–0
출처: UEFA
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 기준
스타드 렌 프랑스 1 - 1 스코틀랜드 셀틱
니앙 38분에 득점 38′ (페널티) 크리스티 59분에 득점 59′ (페널티)

라치오 이탈리아 2 - 1 프랑스 스타드 렌
심판: 우크라이나 세르히 보이코
셀틱 FC 스코틀랜드 2 - 0 루마니아 CFR 클루지

셀틱 FC 스코틀랜드 2 - 1 이탈리아 라치오
심판: 크로아티아 이반 베벡
스타드 렌 프랑스 0 - 1 루마니아 CFR 클루지
데악 9분에 득점 9′
심판: 러시아 알렉세이 에스코프

라치오 이탈리아 1 - 2 스코틀랜드 셀틱 FC
심판: 독일 토비아스 슈틸러
CFR 클루지 루마니아 1 - 0 프랑스 스타드 렌
론돈 87분에 득점 87′

셀틱 스코틀랜드 3 - 1 프랑스 스타드 렌
심판: 노르웨이 에스펜 에스코스
라치오 이탈리아 1 - 0 루마니아 CFR 클루지
코레아 24분에 득점 24′
심판: 튀르키예 알리 팔라브윽

스타드 렌 프랑스 2 - 0 이탈리아 라치오
냐뇽 31분, 87분에 득점 31′87′
심판: 세르비아 스르잔 요바노비치
CFR 클루지 루마니아 2 - 0 스코틀랜드 셀틱 FC

F조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ARS FRA STL VSC
1 잉글랜드 아스널 6 3 2 1 14 7 +7 11 결선 토너먼트 진출 1–2 4–0 3–2
2 독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6 3 0 3 8 10 −2 9 0–3 2–1 2–3
3 벨기에 스탕다르 리에주 6 2 2 2 8 10 −2 8 2–2 2–1 2–0
4 포르투갈 비토리아 드 기마랑이스 6 1 2 3 7 10 −3 5 1–1 0–1 1–1
출처: UEFA
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 기준

아스널 잉글랜드 4 - 0 벨기에 스탕다르 리에주
심판: 스위스 산드로 섀러

아스널 잉글랜드 3 - 2 포르투갈 비토리아 드 기마랑이스
심판: 네덜란드 세르다르 괴쥐뷔윅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독일 2 - 1 벨기에 스탕다르 리에주
심판: 폴란드 다니엘 스테판스키

비토리아 드 기마랑이스 포르투갈 1 - 1 잉글랜드 아스널
두아르테 90+1분에 득점 90+1′ 무스타피 80분에 득점 80′
스탕다르 리에주 벨기에 2 - 1 독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판회스던 56분에 득점 56′
레스티엔 90+4분에 득점 90+4′
코스티치 65분에 득점 65′
심판: 슬로베니아 마테이 유그

아스널 잉글랜드 1 - 2 독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오바메양 45+1분에 득점 45+1′ 가마다 55분, 64분에 득점 55′64′
심판: 프랑스 뤼디 뷔케
비토리아 드 기마랑이스 포르투갈 1 - 1 벨기에 스탕다르 리에주
페레이라 45+2분에 득점 45+2′ 레스티엔 40분에 득점 40′ (페널티)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독일 2 - 3 포르투갈 비토리아 드 기마랑이스
심판: 리투아니아 게디미나스 마제이카
스탕다르 리에주 벨기에 2 - 2 잉글랜드 아스널
심판: 스웨덴 안드레아스 에크베리

G조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POR RAN YB FEY
1 포르투갈 FC 포르투 6 3 1 2 8 9 −1 10 결선 토너먼트 진출 1–1 2–1 3–2
2 스코틀랜드 레인저스 6 2 3 1 8 6 +2 9 2–0 1–1 1–0
3 스위스 영보이즈 베른 6 2 2 2 8 7 +1 8 1–2 2–1 2–0
4 네덜란드 페예노르트 6 1 2 3 7 9 −2 5 2–0 2–2 1–1
출처: UEFA
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 기준
FC 포르투 포르투갈 2 - 1 스위스 영보이스 베른
소아르스 8분, 29분에 득점 8′29′ 은삼 15분에 득점 15′ (페널티)
레인저스 스코틀랜드 1 - 0 네덜란드 페예노르트
오조 24분에 득점 24′

페예노르트 네덜란드 2 - 0 포르투갈 FC 포르투
심판: 러시아 세르게이 카라쇼프
영보이즈 베른 스위스 2 - 1 스코틀랜드 레인저스 FC
심판: 오스트리아 마누엘 쉬텐그루버

영보이즈 베른 스위스 2 - 0 네덜란드 페예노르트
심판: 덴마크 야콥 켈렛
FC 포르투 포르투갈 1 - 1 스코틀랜드 레인저스 FC
루이스 디아스 36분에 득점 36′ 모렐로스 44분에 득점 44′
심판: 몬테네그로 니콜라 다바노비치

페예노르트 네덜란드 1 - 1 스위스 영보이즈 베른
베르흐하위스 18분에 득점 18′ (페널티) 슈필만 71분에 득점 71′
심판: 폴란드 파베우 길
레인저스 FC 스코틀랜드 2 - 0 포르투갈 FC 포르투
심판: 이탈리아 다비데 마사

영보이스 베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