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평행대회전
2018년 동계 올림픽 남자 평행대회전 스노보드 | ||||||||||
---|---|---|---|---|---|---|---|---|---|---|
![]() ![]() | ||||||||||
개최국 | 대한민국 | |||||||||
개최 도시 | 평창군 | |||||||||
개최 기간 | 2월 24일 | |||||||||
경기장 | 휘닉스파크 | |||||||||
참가국 | 13개국 | |||||||||
참가 선수 | 32명 | |||||||||
메달리스트 | ||||||||||
| ||||||||||
« 2014 2022 »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 ||||
---|---|---|---|---|
하프파이프 | 남자 | 여자 | ||
빅에어 | 남자 | 여자 | ||
평행대회전 | 남자 | 여자 | ||
슬로프스타일 | 남자 | 여자 | ||
크로스 | 남자 | 여자 |
2018년 동계 올림픽의 스노보드 남자 평행대회전 경기는 2018년 2월 24일 대한민국 평창의 휘닉스파크에서 진행되었다. 본래 2월 22일에 예선이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강풍예보로 인해 연기되어 2월 24일 본선과 함께 치러지게 되었다.[1]
본선에서 총 16명의 선수가 진출한 가운데 결승에서는 대한민국의 이상호와 스위스의 네빈 갈마리니가 맞붙었고 갈마리니가 승리하여 금메달을 거머쥐었다. 이상호는 대한민국 동계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스키를 비롯한 설상종목 첫 메달이라는 영예를 안았다.[1] 3, 4위전에서는 지난대회 동메달리스트인 슬로베니아의 잔 코시르가 다시 한번 동메달을 획득하였으며, 상대였던 프랑스의 실뱅 뒤포르는 4위에 그쳤다.
출전예선
[편집]2018년 동계 올림픽의 출전권은 올림픽 쿼터배정 순위에 올라있는 상위 32명 선수들에게 돌아가며, 한 국가당 최대 네 명까지 출전권이 주어진다. 이때 각 선수들은 2016년 7월 1일부터 2018년 1월 21일까지의 시한동안 FIS 월드컵이나 2017년 FIS 프리스타일스키 스노보드 세계 선수권대회에서 상위 30위 이내에 든 전적이 있어야 하며, 대회 참가로 얻는 FIS 포인트도 최소 100포인트를 넘겨야 한다. 개최국인 대한민국이 출전권을 얻지 못했을 경우, 모든 출전조건을 갖춘 선수로 한정하여 맨 마지막 출전권이 대신 주어지게 된다.[2]
결과
[편집]예선전
[편집]예선전은 오전 9시 27분에 진행됐다.[3]
순위 | 순번 | 이름 | 국가 | 블루코스 | 레드코스 | 총합 | 주 |
---|---|---|---|---|---|---|---|
1 | 12 | 네빈 갈마리니 | ![]() | 41.73 | 43.05 | 1:24.78 | Q |
2 | 20 | 잔 코시르 | ![]() | 42.03 | 42.94 | 1:24.97 | Q |
3 | 14 | 이상호 | ![]() | 42.16 | 42.90 | 1:25.06 | Q |
4 | 8 | 실뱅 뒤포르 | ![]() | 41.92 | 43.35 | 1:25.27 | Q |
5 | 16 | 알렉산더르 파이어 | ![]() | 42.43 | 42.87 | 1:25.30 | Q |
6 | 5 | 벤야민 카를 | ![]() | 43.21 | 42.12 | 1:25.33 | Q |
7 | 4 | 스테판 바우마이스터 | ![]() | 42.07 | 43.30 | 1:25.37 | Q |
8 | 7 | 롤란드 피슈날러 | ![]() | 43.94 | 41.50 | 1:25.44 | Q |
9 | 19 | 비크 와일드 | ![]() | 43.50 | 42.01 | 1:25.51 | Q |
10 | 3 | 세바스티안 키슬링거 | ![]() | 43.47 | 42.12 | 1:25.59 | Q |
11 | 10 | 안드레아스 프로메거 | ![]() | 42.20 | 43.47 | 1:25.67 | Q |
12 | 6 | 에드윈 코라티 | ![]() | 42.37 | 43.33 | 1:25.70 | Q |
13 | 32 | 오스카르 크비아트코프스키 | ![]() | 42.84 | 42.88 | 1:25.72 | Q |
14 | 9 | 드미트리 사르셈바에프 | ![]() | 43.02 | 42.72 | 1:25.74 | Q |
15 | 27 | 김상겸 | ![]() | 42.84 | 43.04 | 1:25.88 | Q |
16 | 26 | 팀 마스트나크 | ![]() | 43.15 | 42.82 | 1:25.97 | Q |
17 | 11 | 로크 마르구치 | ![]() | 43.78 | 42.20 | 1:25.98 | |
18 | 2 | 안드레이 소볼레프 | ![]() | 42.35 | 43.64 | 1:25.99 | |
19 | 15 | 라도슬라프 얀코프 | ![]() | 43.48 | 42.56 | 1:26.04 | |
20 | 23 | 아론 무스 | ![]() | 44.12 | 41.98 | 1:26.10 | |
21 | 17 | 카스파르 플뤼츠 | ![]() | 43.10 | 43.16 | 1:26.26 | |
22 | 21 | 다리아 카비에첼 | ![]() | 43.69 | 42.70 | 1:26.39 | |
23 | 1 | 아론 마르크 | ![]() | 45.19 | 41.39 | 1:26.58 | |
24 | 22 | 제이시제이 앤더슨 | ![]() | 42.99 | 43.77 | 1:26.76 | |
25 | 24 | 패트릭 버슬러 | ![]() | 42.99 | 43.78 | 1:26.77 | |
26 | 25 | 최보군 | ![]() | 43.52 | 43.26 | 1:26.78 | |
27 | 28 | 시바 마사키 | ![]() | 44.00 | 42.91 | 1:26.91 | |
28 | 31 | 대런 가드너 | ![]() | 43.97 | 42.97 | 1:26.94 | |
29 | 18 | 미르코 펠리체티 | ![]() | 45.29 | 42.27 | 1:27.56 | |
30 | 29 | 마이클 트랩 | ![]() | 44.05 | 44.09 | 1:28.14 | |
31 | 30 | 알렉산더르 베르크만 | ![]() | 46.11 | 43.14 | 1:29.25 | |
32 | 13 | 드미트리 로지노프 | ![]() | 48.68 | 42.32 | 1:31.00 |
본선
[편집]예선 경기를 통해 선수 순위를 매긴 뒤 상위 16명까지의 선수들은 본선에 진출한다. 여기서부터는 토너먼트전 형식을 취했다.[4]
16강 | 8강 | 4강 | 결승 | ||||||||||||||
4 | ![]() | ||||||||||||||||
13 | ![]() | +0.10 | 4 | ![]() | |||||||||||||
5 | ![]() | +0.33 | 12 | ![]() | +0.19 | ||||||||||||
12 | ![]() | 4 | ![]() | DNF | |||||||||||||
8 | ![]() | 1 | ![]() | ||||||||||||||
9 | ![]() | +0.93 | 8 | ![]() | +0.06 | ||||||||||||
1 | ![]() | 1 | ![]() | ||||||||||||||
16 | ![]() | +0.38 | 1 | ![]() | |||||||||||||
2 | ![]() | 3 | ![]() | +0.43 | |||||||||||||
15 | ![]() | +1.14 | 2 | ![]() | |||||||||||||
7 | ![]() | 7 | ![]() | +3.07 | |||||||||||||
10 | ![]() | +0.22 | 2 | ![]() | +0.01 | ||||||||||||
6 | ![]() | 3 | ![]() | ||||||||||||||
11 | ![]() | +0.29 | 6 | ![]() | +0.94 | 3·4위전 | |||||||||||
3 | ![]() | 3 | ![]() | 4 | ![]() | +1.49 | |||||||||||
14 | ![]() | +0.54 | 2 | ![]() |
각주
[편집]- ↑ 가 나 “이상호 스노보드 평행대회전 은메달…韓스키 58년만의 첫 메달”. 동아일보. 2018년 2월 24일. 2018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25일에 확인함.
- ↑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Snowboarding” (PDF). 국제스키연맹 (FIS). 2016년 9월 9일. 2018년 1월 21일에 확인함.
- ↑ Qualification results
- ↑ Brac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