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AFC컵은 2017년에 개최된 14번째 AFC컵이다.
2017년 AFC컵 대회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 (W: 서아시아 지역, C: 중앙아시아 지역, S: 남아시아 지역, A: 동남아시아 지역, E: 동아시아 지역)[1]
단계 | 라운드 | 추첨 일자 | 1차전 | 2차전 |
예비 라운드 | 예비 라운드 | 2016년 6월 17일[2] | 2016년 8월 19일 ~ 8월 25일[3] |
예선 라운드 | 예선 라운드 | 추첨 없음 | 2017년 1월 31일 (C, S, E) | 2017년 2월 7일 (C, S, E) |
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 2017년 1월 30일 ~ 1월 31일 (W, A) 2017년 2월 21일 (C, S, E) | 2017년 2월 6일 ~ 2월 7일 (W, A) 2017년 2월 28일 (C, S, E) |
조별 예선 | 1차전 | 2016년 12월 13일 (말레이시아 프탈링자야) | 2017년 2월 20일 ~ 2월 22일 (W, A) 2017년 3월 14일 (C, S, E) |
2차전 | 2017년 3월 6일 ~ 3월 8일 (W, A) 2017년 4월 4일 (C, S, E) |
3차전 | 2017년 3월 13일 ~ 3월 15일 (W, A) 2017년 4월 18일 (C, S, E) |
4차전 | 2017년 4월 3일 ~ 4월 5일 (W, A) 2017년 5월 3일 (C, S, E) |
5차전 | 2017년 4월 4일 / 2017년 4월 17일 ~ 4월 19일 (W, A) 2017년 5월 17일 (C, S, E) |
6차전 | 2017년 5월 1일 ~ 5월 3일 (W, A) 2017년 5월 31일 (C, S, E) |
토너먼트전 | 지역별 준결승전 | 2017년 5월 16일 ~ 5월 17일, 5월 22일 (W, A) | 2017년 5월 29일 ~ 5월 31일 (W, A) |
지역별 결승전 | 2017년 6월 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2017년 8월 2일 (W), 2017년 9월 12일 (A) | 2017년 8월 9일 (W), 2017년 9월 26일 (A) |
지역간 준결승전 | 2017년 8월 22일 ~ 8월 23일 | 2017년 9월 12일 ~ 9월 13일 |
지역간 결승전 | 2017년 9월 27일 | 2017년 10월 18일 |
결승전 | 2017년 11월 4일 |
예비 라운드는 조별 예선 형식으로 진행된다. 팀당 2경기를 치르며 예비 라운드 1위 팀은 플레이오프 또는 조별 예선에 진출하게 된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스리 스타 클럽 | 2 | 1 | 1 | 0 | 3 | 1 | +2 | 4 | 에르침 | 2 | 1 | 0 | 1 | 1 | 1 | -1 | 3 | 나가월드 | 2 | 0 | 1 | 1 | 1 | 2 | -1 | 1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테르톤스 | 2 | 1 | 1 | 0 | 4 | 3 | +1 | 4 | 다퉁 | 2 | 0 | 2 | 0 | 1 | 1 | 0 | 2 | 셰이크 러셀 | 2 | 0 | 1 | 1 | 4 | 5 | -1 | 1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알자우라 | 6 | 3 | 3 | 0 | 9 | 3 | +6 | 12 | 알자이시 | 6 | 3 | 0 | 3 | 6 | 9 | −3 | 9 | 알아흘리 | 6 | 1 | 3 | 2 | 5 | 5 | 0 | 6 | 수와이크 | 6 | 1 | 2 | 3 | 3 | 5 | −2 | 5 |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알쿠와 알자위야 | 6 | 3 | 3 | 0 | 10 | 3 | +7 | 12 | 알와흐다 | 6 | 3 | 2 | 1 | 10 | 3 | +7 | 11 | 알히드 | 6 | 3 | 0 | 3 | 8 | 5 | +3 | 9 | 사파 | 6 | 0 | 1 | 5 | 1 | 15 | −14 | 1 |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알웨흐다트 | 6 | 3 | 3 | 0 | 9 | 6 | +3 | 12 | 무하라크 | 6 | 3 | 1 | 2 | 9 | 8 | +1 | 10 | 사함 | 6 | 2 | 1 | 3 | 9 | 9 | 0 | 7 | 네지메 | 6 | 1 | 1 | 4 | 5 | 9 | −4 | 4 |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이스티클롤 | 6 | 5 | 1 | 0 | 15 | 4 | +11 | 16 | 알틴 아시르 | 6 | 4 | 1 | 1 | 12 | 4 | +8 | 13 | 도르도이 비슈케크 | 6 | 1 | 0 | 5 | 6 | 16 | −10 | 3 | 알라이 | 6 | 1 | 0 | 5 | 9 | 18 | −9 | 3 |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벵갈루루 | 6 | 4 | 0 | 2 | 7 | 6 | +1 | 12 | 마지야 | 6 | 4 | 0 | 2 | 10 | 4 | +6 | 12 | 모훈 바간 | 6 | 2 | 1 | 3 | 10 | 11 | −1 | 7 | 아바하니 리미티드 다카 | 6 | 1 | 1 | 4 | 4 | 10 | −6 | 4 |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글로벌 | 6 | 5 | 0 | 1 | 13 | 9 | +4 | 15 | 조호르 다룰 탁짐 | 6 | 4 | 1 | 1 | 16 | 5 | +11 | 13 | 보에웅 켓 앙코르 | 6 | 1 | 1 | 4 | 3 | 12 | −9 | 4 | 마궤 | 6 | 0 | 2 | 4 | 5 | 11 | −6 | 2 |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홈 유나이티드 | 4 | 3 | 0 | 1 | 12 | 8 | +4 | 9 | 탄 꽝닌 | 4 | 1 | 1 | 2 | 10 | 9 | +1 | 4 | 야다나본 | 4 | 1 | 1 | 2 | 3 | 8 | −5 | 4 | | |
라네쌍의 기권으로 H조는 3개 팀만 참가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4.25체육단 | 4 | 2 | 2 | 0 | 14 | 3 | +11 | 8 | 기관차체육단 | 4 | 2 | 2 | 0 | 13 | 3 | +10 | 8 | 에르침 | 4 | 0 | 0 | 4 | 0 | 21 | −21 | 0 | | |
- 다음 팀들의 기권으로 I조는 3개 팀만 참가했다:
서아시아 지역(A조, B조, C조)은 각 조 2위 팀 중 순위가 가장 높은 1개 팀이 지역별 준결승전에 진출하게 된다.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B | 알와흐다 | 6 | 3 | 2 | 1 | 10 | 3 | +7 | 11 |
C | 무하라크 | 6 | 3 | 1 | 2 | 9 | 8 | +1 | 10 |
A | 알자이시 | 6 | 3 | 0 | 3 | 6 | 9 | -3 | 9 |
동남아시아 지역(F조, G조, H조)은 각 조 2위 팀 중 순위가 가장 높은 1개 팀이 지역별 준결승전에 진출하게 된다. H조가 3개 팀끼리 경기를 치르기 때문에 F조, G조의 2위 팀들은 공정성을 위해 각 조 4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한 전적만을 계산한다.
지역별 준결승전은 서아시아 지역(A조, B조, C조)과 동남아시아 지역(F조, G조, H조)에서 실시된다. 조별 예선에서 각 조 1위를 차지한 3개 팀과 각 조 2위 팀 중에서 성적이 가장 높은 1개 팀이 참가한다. 지역별 준결승전 승리 팀은 지역별 결승전에 진출한다.
서아시아 지역
- A조 2위 팀이 지역별 준결승전에 진출한 경우: A조 1위 팀 - C조 1위 팀, A조 2위 팀 - B조 1위 팀
- B조 2위 팀이 지역별 준결승전에 진출한 경우: B조 1위 팀 - A조 1위 팀, B조 2위 팀 - C조 1위 팀
- C조 2위 팀이 지역별 준결승전에 진출한 경우: C조 1위 팀 - B조 1위 팀, C조 2위 팀 - A조 1위 팀
동남아시아 지역
- F조 2위 팀이 지역별 준결승전에 진출한 경우: F조 1위 팀 - H조 1위 팀, F조 2위 팀 - G조 1위 팀
- G조 2위 팀이 지역별 준결승전에 진출한 경우: G조 1위 팀 - F조 1위 팀, G조 2위 팀 - H조 1위 팀
- H조 2위 팀이 지역별 준결승전에 진출한 경우: H조 1위 팀 - G조 1위 팀, H조 2위 팀 - F조 1위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