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차 예선

이 문서는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의 2차 예선에 대한 문서이다.

방식

[편집]

최종 예선에 자동 진출하는 21개 팀을 제외한 팀들 중 시드가 가장 낮은 팀들이 홈 앤 어웨이 방식의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팀 숫자를 28개로 맞춘 후 그 팀들이 2차 예선에 참가하게 된다. 2차 예선에서도 홈 앤 어웨이 방식의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팀 수를 14개로 줄이고, 3차 예선에서도 역시 팀 수를 절반인 7개로 줄여 최종 예선에는 28개 팀이 참가하게 된다.

다음 2개 팀이 1차 예선을 통과하였다: 남수단 남수단, 모리타니 모리타니.

대진표

[편집]

추첨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음 대진표는 최종 예선까지 이용된다.

2차 예선에서는 팀 1 대 팀 2, 팀 3 대 팀 4로 치르고 양 경기의 승자가 3차 예선에서 대결하게 된다.

팀 1 팀 2 팀 3 팀 4 최종 예선
진출조
라이베리아 라이베리아 레소토 레소토 케냐 케냐 코모로 코모로 C
마다가스카르 마다가스카르 우간다 우간다 모리타니 모리타니 적도 기니 적도 기니 E
나미비아 나미비아 콩고 공화국 콩고 공화국 리비아 리비아 르완다 르완다 A
부룬디 부룬디 보츠와나 보츠와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기니비사우 기니비사우 G
에스와티니 스와질란드 시에라리온 시에라리온 감비아 감비아 세이셸 세이셸 D
상투메 프린시페 상투메 프린시페 베냉 베냉 말라위 말라위 차드 차드 B
탄자니아 탄자니아 짐바브웨 짐바브웨 모잠비크 모잠비크 남수단 남수단 F

경기 결과

[편집]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라이베리아 라이베리아 1 - 2 레소토 레소토 1 - 0 0 - 2
케냐 케냐 2 - 1 코모로 코모로 1 - 0 1 - 1
마다가스카르 마다가스카르 2 - 2 (a) 우간다 우간다 2 - 1 0 - 1
모리타니 모리타니 부전승 적도 기니 적도 기니 1 - 0 0 - 3
나미비아 나미비아 1 - 3 콩고 공화국 콩고 공화국 1 - 0 0 - 3
리비아 리비아 0 - 3 르완다 르완다 0 - 0 0 - 3
부룬디 부룬디 0 - 1 보츠와나 보츠와나 0 - 0 0 - 1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1 - 3 기니비사우 기니비사우 0 - 0 1 - 3
스와질란드 에스와티니 1 - 2 시에라리온 시에라리온 1 - 1 0 - 1
감비아 감비아 부전승 세이셸 세이셸 없음 없음
상투메 프린시페 상투메 프린시페 0 - 4 베냉 베냉 0 - 2 0 - 2
말라위 말라위 3 - 3 (a) 차드 차드 2 - 0 1 - 3
탄자니아 탄자니아 3 - 2 짐바브웨 짐바브웨 1 - 0 2 - 2
모잠비크 모잠비크 5 - 0 남수단 남수단 5 - 0 0 - 0

1경기

[편집]



레소토가 합계 2 : 1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경기

[편집]



케냐가 합계 2 : 1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3경기

[편집]



우간다가 합계 2 : 2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원정 득점 우세승)

4경기

[편집]



적도 기니가 합계 3 : 1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적도 기니가 부적격 선수인 티에리 피제우(Thierry Fidjeu)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실격 처리되었다. 이에 따라 모리타니가 적도 기니를 대신하여 3차 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하지만 모로코가 대회 개최를 포기하여 실격 처리되자 적도 기니는 모로코를 대신하여 대회를 개최하게 되면서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하였다.

5경기

[편집]



콩고 공화국이 합계 3 : 1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6경기

[편집]



르완다가 합계 3 : 0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7경기

[편집]



보츠와나가 합계 1 : 0으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8경기

[편집]



기니비사우가 합계 3 : 1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9경기

[편집]



시에라리온이 합계 2 : 1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10경기

[편집]

감비아 감비아 부전승 세이셸 세이셸

감비아가 2015년 CAF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 참가한 선수들의 연령을 조작한 사실이 발각되었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감비아에 향후 2년간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모든 대회의 참가 자격을 박탈하는 징계를 내려 실격 처리됨에 따라 세이셸이 부전승으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3][4][5]

11경기

[편집]



베냉이 합계 4 : 0으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12경기

[편집]



말라위가 합계 3 : 3으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원정 득점 우세승)

13경기

[편집]



탄자니아가 합계 3 : 2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14경기

[편집]



모잠비크가 합계 5 : 0으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득점 기록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리비아는 리비아 내전의 여파로 인해 홈 경기를 중립 지대에서 치렀다.
  2.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분쟁으로 인해 홈 경기를 중립 지대에서 치렀다.
  3. “Gambia suspended from all competitions for two years” (영어). Cafonline.com. 2014년 5월 3일. 2014년 5월 12일에 확인함. 
  4. “The Gambia disqualified from all Caf competitions” (영어). BBC Sport. 2014년 5월 3일. 2014년 5월 12일에 확인함. 
  5. “Gambia banned for 2 years for age cheating” (영어). newsobserver.com. 2014년 5월 3일. 2014년 5월 12일에 확인함. 
  6. 남수단은 남수단 내전으로 인해 홈 경기를 중립 지대에서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