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서머 2013는 온게임넷, 나이스게임TV의 공동 주최로 이루어지는 다섯번째 리그 오브 레전드 정규리그이다.
김민기 STX소울 감독이 지도하는 전남과학대학교 e스포츠학과 학생들이 팀을 이뤄 진출했고 16강 진출 팀 중 유일한 아마추어 팀
기존 곰TV 스타크래프트2 리그(GSL)를 장기 후원해온 핫식스가 이번 시즌을 후원하게 됐다.
올림푸스 리그 오브 레전드 스프링 2013과 달리 16강부터 진행함,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쉽 일정으로 인해 휴식기 없이 예선 진행
- 오프라인 예선전 : 3전 2선승제로 진행, 1,2경기는 드래프트 모드, 3경기는 블라인드 모드로 진행
- 16강 : 홈&어웨이 방식 2연전, 전경기 드래프트 모드
- 8강 : 5판 3선승제로 진행, 1~4경기는 드래프트 모드, 5경기는 블라인드 모드로 진행
- 4강 : 5판 3선승제로 진행, 1~4경기는 드래프트 모드, 5경기는 블라인드 모드로 진행
- 3~4위전 : 5판 3선승제로 진행, 1~4경기는 드래프트 모드, 5경기는 블라인드 모드로 진행
- 결승전 : 5판 3선승제로 진행, 1~4경기는 드래프트 모드, 5경기는 블라인드 모드로 진행
상금규모 - 총 2억 7천만원
- 우승 - 8천만원
- 준우승 - 4천만원
- 3위 - 2천4백만원
- 4위 - 1천8백만원
- 5~8위 - 1천만원
- 9~16위 - 6백만원
- 시즌 MVP 선수 - 1천만원
- KDA - 1천만원
- 본선리그 -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
- 결승전 - 잠실 올림픽 보조경기장
팀 1 | 결과 | 팀 2 |
LG-IM #2 | 2-0 | Team Positive |
HGD(훈수좋은날) | 2-0 | TAL(트리애니룰루)[1] |
LG-IM #1 | 2-0 | CRuRu |
Team NB(캬하핫) | 0-2 | Xenics Blast |
CTU | 2-0 | SuMa(슈마) |
MVP Blue | 2-0 | GF(글로벌 피딩) |
Xenics Storm | 2-0 | CTU rebolt(Brand New) |
GOL[2] | 1-2 | MiG Blitz |
- LG-IM #2 / HGD(훈수좋은날) / LG-IM #1 / CTU / MVP Blue / Xenics Storm (오프라인 예선 시드를 받은 팀)
시드 | 팀 |
시드 | MVP Ozone, CJ Blaze, SKT T1 #2, CJ Frost, Najin Black Sword, Najin White Shield, KT Bullets(KT Rolster B), ESG(SKT T1 #1) |
진출팀 | LG-IM #2, HGD, LG-IM #1, Xenics Blast, CTU, MVP Blue, Xenics Storm, MiG Blitz |
조 | 팀1 | 팀2 | 팀3 | 팀4 |
A조 | MVP Ozone | Xenics Blast | ESG | Xenics Storm |
B조 | CJ Blaze | HGD | Najin Black Sword | CTU |
C조 | SKT T1 #2 | LG-IM #2 | Najin White Shield | MVP Blue |
D조 | CJ Frost | LG-IM #1 | KT Bullets | MiG Blitz |
A조 | B조 | C조 | D조 |
MVP Ozone | 2승1무0패 | 7점 | 8강(1위) | CJ Blaze | 1승2무0패 | 5점 | 8강(1위) | SKT T1 | 3승0무0패 | 9점 | 8강(1위) | CJ Frost | 2승1무0패 | 7점 | 8강(1위) |
Xenics Blast | 0승1무2패 | 1점 | 탈락 | JIN AIR Stealths[3] | 0승1무2패 | 1점 | 탈락 | LG-IM #2 | 0승1무2패 | 1점 | 탈락 | LG-IM #1 | 0승1무2패 | 1점 | 탈락 |
JIN AIR Falcons[4] | 2승0무1패 | 6점 | 8강(2위) | Najin Black Sword | 0승3무0패 | 3점 | 탈락 | Najin White Shield | 1승1무1패 | 4점 | 8강(2위) | KT Bullets | 1승2무0패 | 5점 | 8강(2위) |
Xenics Storm | 0승2무1패 | 2점 | 탈락 | CTU | 1승2무0패 | 5점 | 8강(2위) | MVP Blue | 0승2무1패 | 2점 | 탈락 | MiG Blitz | 1승0무2패 | 3점 | 탈락 |
- 진출 우선순위는 승점-승자승-재경기 순(전용준 캐스터 소드-진에어 1경기 중 언급)
팀 1 | 결과 | 팀 2 |
MVP Ozone | 2-0 | Xenics Blast |
나진 Black Sword | 1-1 | CTU |
SK 텔레콤 T1 | 2-0 | LG-IM #2 |
KT Bullets | 2-0 | MiG Blitz |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 | 2-0 | Xenics Storm |
CJ 엔투스 Blaze | 2-0 |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 |
나진 White Shield | 1-1 | MVP Blue |
CJ 엔투스 Frost | 2-0 | LG-IM #1 |
MVP Ozone | 2-0 |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 |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 | 0-2 | CTU |
SK 텔레콤 T1 | 2-0 | 나진 White Shield |
LG-IM #1 | 0-2 | MiG Blitz |
Xenics Blast | 1-1 | Xenics Storm |
CJ 엔투스 Blaze | 1-1 | 나진 Black Sword |
LG-IM #2 | 1-1 | MVP Blue |
CJ 엔투스 Frost | 1-1 | KT Bullets |
MVP Ozone | 1-1 | Xenics Storm |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 | 1-1 | 나진 Black Sword |
SK 텔레콤 T1 | 2-0 | MVP Blue |
LG-IM #1 | 1-1 | KT Bullets |
Xenics Blast | 0-2 |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 |
CJ 엔투스 Blaze | 1-1 | CTU |
LG-IM #2 | 0-2 | 나진 White Shield |
CJ 엔투스 Frost | 2-0 | MiG Blitz |
CJ 엔투스 Blaze(재) | 1-0 | CTU(재) |
- 우승 : SK 텔레콤 T1
- 준우승 : KT 롤스터 Bullets
- 3위 : MVP Ozone
- 4위 : CJ 엔투스 Frost
- MVP : 이상혁(SK 텔레콤 T1 - Faker)
부문 | 선수 | 기록 |
탑 | 최인석(KT 롤스터 Bullets - inSec) | |
정글러 | 배성웅(SK 텔레콤 T1 - Bengi) | |
미드 | 이상혁(SK 텔레콤 T1 - Faker) | |
AD | 채광진(SK 텔레콤 T1 - Piglet) | |
서포터 | 이정현(SK 텔레콤 T1 - PoohManDu) | |
- ↑ 온라인예선에서 MiG Wicked를 결승에서 탈락시키고 진출
- ↑ 온라인예선에서 KT Rolster A팀을 4강에서 탈락시키고 진출
- ↑ HGD팀이 JIN AIR Stealths로 팀명 변경
- ↑ ESG팀이 JIN AIR Falcons로 팀명 변경
|
---|
2012 | |
---|
2013 | |
---|
2014 | |
---|
2015 | |
---|
2016 | |
---|
2017 | |
---|
2018 | |
---|
2019 | |
---|
2020 | |
---|
2021 | |
---|
2022 | |
---|
2023 | |
---|
2024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