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파라과이 대통령 선거
![]() | |||||||||||||||||||||||||||||||
2013년 파라과이 대통령 선거 | |||||||||||||||||||||||||||||||
| |||||||||||||||||||||||||||||||
| |||||||||||||||||||||||||||||||
|
2013년 4월 21일 파라과이에서 대통령 선거가 열렸다. 투표 결과, 콜로라도당의 오라시오 카르테스가 정통급진자유당(PLRA)의 에프라인 알레그레를 누르고 당선되어, 5년 만에 콜로라도당이 재집권하게 되었다. 기존에 원내 1당이었던 콜로라도당은 이어 동시에 치러진 총선거에서도 그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다.
선거 전
[편집]1940년대부터 60여년간 장기 집권한 콜로라도당은 2008년 블랑카 오벨라르 후보가 페르난도 루고에게 패함으로써 야당이 되었다. 하지만 동시에 치러진 총선거에서는 기존의 1당의 지위를 유지하였고, 이를 통해 루고의 정책에 발목을 잡을 수 있게 되었다. 이후 2012년 루고를 탄핵하였다. 하지만 탄핵의 여파로 다른 남미 국가들의 비판을 받게 되었고, 이어 메르코수르에서 추방되었다.
후보
[편집](이 부분은 선거 전을 기준으로 함)
다음은 후보의 명단이다. 굵은 글씨가 여당 후보이다.
원래 윤리시민국가연합의 후보로는 리노 오비에도(군인 출신으로 1990년대 말 테러를 일으킨 것으로 유명한)가 선출되었으나, 2월 헬기 사고로 사망하여 조카인 리노 오비에도 산체스가 선출되었다.
지지율
[편집]여론 조사에서 콜로라도당 오라시오 카르테스가 선두를 달렸다.[1] 정통급진자유당(당시 여당) 에프라인 알레그레 후보는 30%의 지지율로 그와 대결하게 되었다. 반면 또다른 야권 후보인 마리오 페레이로의 지지율은 10%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선거
[편집]콜로라도당 오라시오 카르테스가 45.8%를 기록하여 최다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여당의 에프라인 알레그레 후보는 36.94%를 기록하여 낙선하였다. 반면 10%대의 지지율을 기록하던 마리오 페레이로는 5.88%를 기록하여 생각보다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선거 결과
[편집]득표순위 | 이름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오라시오 카르테스 | 콜로라도당 | 1,104,169 | ![]() ![]() ![]() ![]() | 당선 |
2 | 에프라인 알레그레 | 진정급진자유당 | 889,451 | ![]() ![]() ![]() ![]() | |
3 | 마리오 페레이로 | 전진하는 국가 | 141,716 | ![]() ![]() | |
4 | 아니발 카리요 | 과수전선 | 79,573 | ![]() | |
5 | 미겔 카리소사 | 사랑하는 조국 | 27,026 | ![]() | |
6 | 리노 오비에도 산체스 | 윤리시민국가연합 | 19,416 | ![]() | |
7 | 로베르토 페레이라 | 인도주의당 | 4,264 | 0.19% | |
8 | 릴리안 소토 | 쿠냐 피렌다 | 3,925 | 0.17% | |
9 | 에두아르도 아르세 | 노동당 | 3,011 | 0.13% | |
10 | 리카르도 알마다 | 백색당 | 2,767 | 0.12% | |
11 | 아타나시오 갈레아노 | 자유조국당 | 2,416 | 0.11% | |
- | 131,703 | 무효 | |||
합계(무효표 제외) | 2,277,734 | ![]() ![]() ![]() ![]() ![]() ![]() ![]() ![]() ![]() ![]() ![]() ![]() ![]() | |||
유권자 수 및 투표율 | 2,409,437 | 3,516,275 | 68.52% |
각주
[편집]- ↑ 배준호 (2013년 3월 25일). “파라과이 다음달 21일 대선…우파 집권 가능성 커”. 2013년 3월 2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