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러시아 의회선거
![]() | |||||||||||||||||||||||||||||||||||||||||||||||||||||||||||||||||||||||||
2011년 국가두마 선거 | |||||||||||||||||||||||||||||||||||||||||||||||||||||||||||||||||||||||||
| |||||||||||||||||||||||||||||||||||||||||||||||||||||||||||||||||||||||||
| |||||||||||||||||||||||||||||||||||||||||||||||||||||||||||||||||||||||||
|
2011년 러시아 의회 선거(Парламентские выборы в России 2011)는 2011년 450석의 국가두마 의회 의원들을 뽑기 위한 총선거이다. 통합러시아당이 간신히 과반을 유지하였다.
참여정당
[편집]번호 | 정당 | 리더 | 이념 | |
---|---|---|---|---|
1 | 공정러시아 | 니콜라이 레비시예프 | 민주사회주의 | |
2 | 러시아 자유민주당 |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 국수주의 | |
3 | 러시아의 애국자들 | 겐나디 세미긴 | 좌익민족주의 | |
4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겐나디 쥬가노프 | 공산주의 | |
5 | 야블로코 | 세르게이 미트로시킨 | 사회자유주의 | |
6 | 통합러시아 | 블라디미르 푸틴 | 포괄정당 | |
7 | 우익활동당 | 안드레이 쥬나에프 | 자유민주주의 |
총 7개의 정당이 후보를 내었으며, 그중 4개의 정당이 원내 진입에 성공하였다.
총선 결과
[편집]출구조사 결과
[편집]순위 | 정당 | 득표율 |
---|---|---|
1 | 통합러시아 | ![]() ![]() ![]() ![]() |
2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 ![]() |
3 | 러시아 자유민주당 | ![]() ![]() ![]() ![]() |
4 | 공정러시아 | ![]() ![]() ![]() ![]() |
5 | 야블로코 | ![]() ![]() ![]() |
6 | 러시아의 애국자들 | ![]() ![]() |
7 | 우익활동당 | ![]() |
- | 총합 | ![]() ![]() ![]() ![]() ![]() ![]() ![]() ![]() ![]() ![]() ![]() ![]() ![]() ![]() ![]() ![]() ![]() ![]() ![]() ![]() |
총 유권자 1억 923만 7780명의 146.47%인 1억 6천만 523명이 투표하였으며, 통합러시아당이 1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결과
[편집]순위 | 정당 | 득표율 | 의석 수 |
---|---|---|---|
1 | 통합러시아 | ![]() ![]() ![]() ![]() ![]() | 238석 |
2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 ![]() | 92석 |
3 | 공정러시아 | ![]() ![]() | 64석 |
4 | 러시아 자유민주당 | ![]() ![]() ![]() | 56석 |
5 | 야블로코 | ![]() | 0석 |
6 | 러시아의 애국자들 | ![]() | 0석 |
7 | 우익활동당 | ![]() | 0석 |
- | 총합 | ![]() ![]() ![]() ![]() ![]() ![]() ![]() ![]() ![]() ![]() ![]() | 450석 |
통합러시아가 77석을 잃으면서 대패하였고, 러시아 연방 공산당과 공정 러시아가 선전하였다. 야블로코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11%를 득표하기도 하였으나 최종적으로 3.43%를 득표해 원내 진입이 무산되었다.
유권자의 60.1%인 6462만 3062명이 투표하였으며, 103만표는 무효표였다.
주요 지역별 결과
[편집]지역 | 통합러시아 | 공산당 | 공정당 | 자민당 | 야블로코 |
---|---|---|---|---|---|
모스크바 | ![]() ![]() ![]() ![]() | ![]() ![]() ![]() ![]() | ![]() ![]() ![]() | ![]() ![]() ![]() | ![]() ![]() |
상트페테르부르크 | ![]() ![]() | ![]() ![]() | ![]() ![]() ![]() ![]() | ![]() | ![]() ![]() ![]() |
노보시비르스크 | ![]() ![]() ![]() | ![]() | ![]() ![]() | ![]() ![]() ![]() | ![]() ![]() |
볼고그라드 | ![]() ![]() ![]() | ![]() ![]() ![]() | ![]() ![]() ![]() | ![]() ![]() | ![]() |
블라디보스토크 | ![]() ![]() | ![]() ![]() ![]() | ![]() ![]() ![]() | ![]() ![]() ![]() | ![]() |
투바공화국 | ![]() ![]() ![]() ![]() | ![]() ![]() | ![]() ![]() ![]() | ![]() ![]() | ![]() |
체첸 | ![]() ![]() ![]() ![]() ![]() ![]() | ![]() ![]() | ![]() ![]() | 0.0% | 0.0% |
인구시 공화국 | ![]() ![]() ![]() ![]() | ![]() | ![]() ![]() | ![]() | ![]() |
공정러시아와 야블로코, 공산당 등은 도시지역에서 선전하였으나 시베리아 지역에서 압도적으로 패배하였다.
논란
[편집]출구조사에서 통합러시아가 60%에 가까운 지지율을 가져가 출구조사 지지율 합산이 146%가 되자 부정선거가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졌다. 공산당과 미국의 언론들은 이 출구조사 결과를 두고 부정선거라며 항의하였고 이는 시위로 확산되어 러시아 전역으로 푸틴 퇴진 운동이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