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2004년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 |
---|---|
2004 AFC U-17 Championship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9월 4일 ~ 9월 18일 |
참가팀 | 16개 (1개 대륙) |
경기장 | 5개 (3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통계 | |
경기 수 | 32경기 |
득점 수 | 95골 (경기당 2.97골) |
« 2002 2006 » |
2004년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는 2004년 9월 4일부터 9월 18일까지 일본에서 열린 11번째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이 대회 상위 3위 이내의 성적을 기록한 팀들은 페루에서 열린 2005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아시아 대표로 참가할 자격을 획득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
[편집]나라하 | 고리야마 | |
---|---|---|
J빌리지 | 고리야마 서부 축구장 | |
수용 인원: 5,000 | 수용 인원: 3,722 | |
![]() | ![]() | |
시즈오카 | ||
후지에다 종합운동공원 축구장 | 시즈오카현 구사나기 종합운동장 육상경기장 | 시즈오카시 시미즈 니혼다이라 운동공원 구기장 |
수용 인원: 13,000 | 수용 인원: 28,000 | 수용 인원: 18,500 |
![]() |
예선
[편집]2004년 AFC U-17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 팀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본선 조 추첨은 2004년 3월 9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A조에는 중국·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태국, B조에는 대한민국·베트남·라오스·오만, C조에는 인도·말레이시아·쿠웨이트·이란, D조에는 우즈베키스탄·카타르·이라크·방글라데시가 각각 편성되었다.[1]
일본 (개최국)
쿠웨이트 (예선 1조 1위)
오만 (예선 2조 1위)
이라크 (예선 3조 1위)
카타르 (예선 4조 1위)
이란 (예선 5조 1위)
인도 (예선 6조 1위)
우즈베키스탄 (예선 7조 1위)
방글라데시 (예선 8조 1위)
태국 (예선 9조 1위)
라오스 (예선 10조 1위)
베트남 (예선 11조 1위)
말레이시아 (예선 12조 1위)
대한민국 (예선 13조 1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예선 14조 1위)
중화인민공화국 (예선 15조 1위)
조별 예선
[편집]A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0 | 1 | 5 | 5 | +0 | 6 |
![]() | 3 | 1 | 1 | 1 | 5 | 3 | +2 | 4 |
![]() | 3 | 1 | 1 | 1 | 4 | 3 | +1 | 4 |
![]() | 3 | 1 | 0 | 2 | 4 | 7 | -3 | 3 |
일본 ![]() | 0 – 0 |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1 – 2 | ![]() |
---|---|---|
박철민 ![]() | 양젠 ![]() 구진진 ![]() |
태국 ![]() | 1 – 4 | ![]() |
---|---|---|
사까린 찬요타 ![]() | 명인호 ![]() 전광익 ![]() 최명호 ![]() 리철명 ![]() |
B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12 | 0 | +12 | 7 |
![]() | 3 | 2 | 0 | 1 | 4 | 4 | 0 | 6 |
![]() | 3 | 1 | 0 | 2 | 2 | 11 | -9 | 4 |
![]() | 3 | 0 | 0 | 3 | 2 | 5 | -3 | 0 |
C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9 | 1 | +8 | 9 |
![]() | 3 | 1 | 1 | 1 | 3 | 4 | -1 | 4 |
![]() | 3 | 1 | 0 | 2 | 3 | 4 | -1 | 3 |
![]() | 3 | 0 | 1 | 2 | 1 | 7 | -6 | 1 |
D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1 | 0 | 9 | 3 | +6 | 7 |
![]() | 3 | 2 | 0 | 1 | 7 | 3 | +4 | 6 |
![]() | 3 | 0 | 2 | 1 | 4 | 7 | -3 | 2 |
![]() | 3 | 0 | 1 | 2 | 3 | 10 | -7 | 1 |
우즈베키스탄 ![]() | 1 – 1 | ![]() |
---|---|---|
안바르 베르디예프 ![]() | 모하메드 자히드 호사인 ![]() |
결선 토너먼트
[편집]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9월 12일 – 후지에다 | ||||||||||
![]() | 1 | |||||||||
9월 15일 – 시즈오카 (구사나기) | ||||||||||
![]() | 0 | |||||||||
![]() | 3 | |||||||||
9월 12일 – 시즈오카 (니혼다이라) | ||||||||||
![]() | 0 | |||||||||
![]() | 3 | |||||||||
9월 18일 – 후지에다 | ||||||||||
![]() | 0 | |||||||||
![]() | 1 | |||||||||
9월 12일 – 후지에다 | ||||||||||
![]() | 0 | |||||||||
![]() | 0 | |||||||||
9월 15일 – 시즈오카 (구사나기) | ||||||||||
![]() | 1 | |||||||||
![]() | 0 (7) | |||||||||
9월 12일 – 시즈오카 (니혼다이라) | ||||||||||
![]() | 0 (6) | 3·4위전 | ||||||||
![]() | 4 | |||||||||
9월 18일 – 후지에다 | ||||||||||
![]() | 3 | |||||||||
![]() | 1 | |||||||||
![]() | 2 | |||||||||
8강전
[편집]대한민국 ![]() | 0 – 1 | ![]() |
---|---|---|
박철민 ![]() |
준결승전
[편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0 – 0 (연장) | ![]() |
---|---|---|
승부차기 | ||
7 – 6 |
3·4위전
[편집]결승전
[편집]중화인민공화국 ![]() | 1 – 0 | ![]() |
---|---|---|
왕웨이룽 ![]() |
우승
[편집]2004년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
---|
![]() 중국 2번째 우승 |
2005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 팀
[편집]다음 3개 팀은 페루에서 열린 2005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 자격을 획득했다.
중화인민공화국 (2004년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04년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카타르 (2004년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3위)
각주
[편집]- ↑ “태국.예멘.이라크, 아시아청소년축구서 한국과 격돌(종합)”. 《연합뉴스》. 2004년 3월 10일. 2023년 7월 1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