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바로어족
히바로어족 치참어족 | |
---|---|
지리적 분포 | 마라뇬강 상류(페루, 에콰도르) |
계통적 분류 | 최상위 어족 또는 확대 히바로어족 히바로어족 |
글로톨로그 | jiva1245[1] |
![]() 16세기 기준 히바로어족(보라색)과 카와파나어족(분홍색)의 추정 분포. |
히바로어족(Jivaroan, 기타 표기 Hívaro, Jívaro, Jibaro 등) 또는 치참어족(Chicham)은 페루 북부와 에콰도르 동부의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소규모의 어족이다. 히바로족으로 분류되는 여러 부족이 사용한다.
분류
[편집]다음의 4가지 언어가 현전한다.
- 슈아르어(Shuar): 히바로어(Jivaro)라고도 한다. 화자 35,000명.
- 아추아르어(Achuar): 시위아르어(Shiwiar)라고도 한다. 화자 8,000명.
- 아과루나어(Aguaruna): 아와훈어(Awajún)이라고도 한다. 화자 53,400명.
- 왐비사어(Huambisa): 화자 8,000명.
이외에 에콰도르 아마존 지역에서 쓰이던 팔타어(Palta)가 Jijón y Caamaño (1936)에 의해 히바로어족으로 분류되었으나,[2] 팔타어는 식민시대에 이미 사멸하여 알려진 어휘는 단어 몇 개와 지명학적 증거 뿐이며, Kaufman (1994)은 "유사성이 거의 없다"고 간주하였다.[3]
계통
[편집]가장 가능성이 있는 외부와의 연결은 카와파나어족(Cahuapanan)이며, 이외에 인근의 고립어 몇 개를 더 포함하여 확대 히바로어족(Macro-Jibaro)이 성립한다는 가설이 있다. 일부 학자는 '히바로-카와파나'라는 용어를 사용한다.[4] 또한 모리스 스와데시나 Kaufman (2007) 등은 여기에 우라리나어, 푸엘체어, 와르페어 등을 연관짓는 더 넓은 확대 안데스어족을 제시한다.[5] Jolkesky (2016)는 주변 언어와의 어휘 유사성을 지적하며, 이것이 치참어가 더 하류의 아마존 중부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고 보았다.[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Chicham〉.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Jijón y Caamaño, Jacinto (1936–8): Sebastián de Benalcázar, vol. 1 (1936) Quito: Imprenta del Clero; vol. 2 (1938) Quito: Editorial Ecuatoriana.
- ↑ Kaufman, Terrence (1994). The native languages of South America. In C. Mosley & R. E. Asher (Eds.),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pp. 46–76). London: Routledge.
- ↑ Kaufman, Terrence. (1990). Language history in South America: What we know and how to know more. In D. L. Payne (Ed.), Amazonian linguistics: Studies in lowland South American languages (pp. 13–67).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ISBN 0-292-70414-3.
- ↑ Kaufman, Terrence. 2007.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2nd edition.
- ↑ Jolkesky, Marcelo Pinho De Valhery. 2016. Estudo arqueo-ecolinguístico das terras tropicais sul-americana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Brasí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