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양군 (대한민국)

회양군 淮陽郡 | |||
---|---|---|---|
군 | |||
| |||
약칭 | 회양 | ||
로마자 표기 | Hoeyang-gun |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
지역 | 강원특별자치도 | ||
행정 구역 | 7면 | ||
지방 관청 | 이북5도위원회 | ||
군수 | 김선형 | ||
지리 | |||
면적 | 1,899.81km2 |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09:00) | ||
인문 | |||
공용어 | 한국어 | ||
지역어 | 영동 방언 |
회양군(淮陽郡)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대한민국의 군이다. 이북5도위원회가 관리하는 명목상의 행정 구역이다. 강원특별자치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군청소재지는 회양면 읍내리이다. 면적은 1,899.81km2이며, 7개 면, 146개 리를 관할한다.
행정 구역
[편집]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회양면(淮陽面) | 169.68 | 37 | 읍내(邑內) 상만(上萬) 대유(大有) 소풍(素豊) 강돈(江敦) 아현(峨峴) 하교동(下橋洞) 상교동(上橋洞) 금태일(金台日) 광석(廣石) 전항(箭項) 장벽동(長碧洞) 마룡(馬龍) 두전동(豆田洞) 고대(高垈) 갈화(葛花) 봉현(蓬峴) 하토기점(下土器店) 외강돈(外江敦) 지석(支石) 추방(秋芳) 신안상(新安上) 신안중(新安中) 오동(梧洞) 이동(二東) 간동(間洞) 관(館) 고재(高才) 노동(盧洞) 부로지(扶老只) 심포(深浦) 송치(松峙) 연포송(延浦送) 곡돌(曲乭) 포촌(浦村) |
난곡면(蘭谷面) | 341.92 | 19 | 현(縣) 수천동(水泉洞) 봉통포(蜂桶浦) 천읍(泉邑) 조동(槽洞) 이포(泥浦) 귀락(貴洛) 유읍(楡邑) 추전(楸田) 봉일(鳳逸) 직포(直浦) 오동(梧洞) 동사동(東沙洞) 토동(土洞) 신평(新坪) 공동(公洞) 상송관(上松館) 하송관(下松館) 낭하(浪下) |
내금강면(內金剛面) | 501.42 | 23 | 말휘(末輝) 병이무지(竝伊武只) 상신원(上新院) 금강원(金剛院) 정양동(正陽洞) 장연(長淵) 온정동(溫井洞) 하신원(下新院) 상북점(上北占) 상현(上縣) 하북점(下北占) 하현(下縣) 삼덕동(三德洞) 하소곤(下小坤) 하회이(下檜耳) 순갑(順甲) 신풍(新豊) 유동(柳洞) 봉현(蓬峴) 상회이(上檜耳) 상소곤(上小坤) 추동(楸洞) 동사동(東沙洞) |
사동면(泗東面) | 157.13 | 24 | 하사동(下泗東) 상구만(上九萬) 상지석(上支石) 하지석(下支石) 금곡(金谷) 회동(淮洞) 상사동(上泗東) 사동(沙洞) 간점방(間占方) 상점방(上占方) 하구만(下九萬) 동사동(東寺洞) 양수암(兩水庵) 만도(晩到) 산월(山月) 능동(菱洞) 이교(泥橋) 쌍계평(雙鷄坪) 신읍(新邑) 마전동(麻田洞) 사기점(沙器店) 광동(廣洞) 하양(下陽) 신흥(新興) |
상북면(上北面) | 283.11 | 14 | 목곡(木谷) 상전탄(上田灘) 두허동(斗虛洞) 하진평(下津坪) 신명(新明) 용연(龍淵) 송포(松浦) 모덕(慕德) 하전탄(下田灘) 오랑(五郎) 중신정(中新正) 도납(道納) 판기(板機) 상신정(上新正) |
안풍면(安豊面) | 251.22 | 19 | 신창(新昌) 흥인동(興仁洞) 가동(佳洞) 본(本) 화산(花山) 방목(方目) 명우(鳴牛) 안미(安美) 추동(楸洞) 용암(龍巖) 판유(板踰) 백후(栢后) 판맥(判陌) 중세동(中細洞) 상세동(上細洞) 풍미(豊美) 성동(城洞) 화천(化川) 장치동(長峙洞) |
하북면(下北面) | 195.34 | 12 | 지탄(只呑) 상평(上坪) 초일(初一) 초남(初南) 마산(麻山) 은계(銀溪) 문내동(文內洞) 선암(仙巖) 태일(台日) 금곡(金谷) 철령(鐵嶺) 하정신(下正新) |
참고 문헌
[편집]- “강원특별자치도 내 미수복 시군 소개, 기구 및 정원”. 이북5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