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화학의 미해결 문제화학 분야의 미해결 문제들로 이론적인 의미로는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특정한 현상 및 실험 결과들을 의미한다.

물리화학

[편집]

유기화학

[편집]

무기화학

[편집]

생화학

[편집]
  • 효소 반응속도론: 일부 효소가 확산 반응 속도론보다 빠른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9]
  • RNA 접힘: 서열과 환경에 기초하여 RNA 서열의 2차, 3차, 4차 구조를 예측할 수 있는가?[10]
  • 단백질 설계: 원하는 반응에 대한 고활성 효소를 새롭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한가?[11]
  • 생합성: 원하는 분자, 천연물 또는 기타 물질의 생합성 경로 조작을 통해 고수율로 생산할 수 있는가?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o Much More to Know …”. 《Science》 309 (5731): 78–102. 2005년 7월. doi:10.1126/science.309.5731.78b.  |제목=에 C1 제어 문자가 있음(위치 22) (도움말)
  2. Narayan, Sridhar; Muldoon, John; Finn, M. G.; Fokin, Valery V.; Kolb, Hartmuth C.; Sharpless, K. Barry (2005). ““On Water”: Unique Reactivity of Organic Compounds in Aqueous Suspension”.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44 (21): 3275–3279. doi:10.1002/anie.200462883. ISSN 1521-3773. 
  3. Ussing, Bryson R.; Singleton, Daniel A. (2005년 3월 9일). “Isotope Effects, Dynamics, and the Mechanism of Solvolysis of Aryldiazonium Cations in Water”.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27 (9): 2888–2899. doi:10.1021/ja043918p. ISSN 0002-7863. 
  4. “Electrochemistry For All” (영어). 2025년 4월 11일에 확인함. 
  5. Miles, Ned Carter (2023년 8월 5일). “‘Endless possibilities’: the chemists changing molecules atom by atom”. 《The Observer》 (영국 영어). ISSN 0029-7712. 2025년 4월 11일에 확인함. 
  6. Potter, Brian. “The Story of Titanium” (영어). 2025년 4월 11일에 확인함. 
  7. Lewars, Errol G. (2008). “Modeling Marvels”. 《SpringerLink》 (영어). doi:10.1007/978-1-4020-6973-4. 
  8. Sanz-Pérez, Eloy S.; Murdock, Christopher R.; Didas, Stephanie A.; Jones, Christopher W. (2016년 10월 12일). “Direct Capture of CO2 from Ambient Air”. 《Chemical Reviews》 116 (19): 11840–11876. doi:10.1021/acs.chemrev.6b00173. ISSN 0009-2665. 
  9. Hsieh, Mark; Brenowitz, Michael (1997년 8월). “Comparison of the DNA Association Kinetics of the Lac Repressor Tetramer, Its Dimeric Mutant LacI , and the Native Dimeric Gal Repressor”.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영어) 272 (35): 22092–22096. doi:10.1074/jbc.272.35.22092. ISSN 0021-9258. 
  10. Callaway, Ewen (2020년 11월 30일). “‘It will change everything’: DeepMind’s AI makes gigantic leap in solving protein structures”. 《Nature》 (영어) 588 (7837): 203–204. doi:10.1038/d41586-020-03348-4. 
  11. “Principles for designing ideal protein structures. | The Baker Laboratory”. 2013년 4월 1일. 2025년 4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