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남 모인당
![]() | |
![]() | |
종목 | 문화재자료 (구)제9호 (2012년 12월 31일 지정) |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 | 화순최씨종중 |
관리 | 화순최씨종중 |
위치 | |
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영곡길 89-25 |
좌표 | 북위 36° 26′ 34″ 동경 127° 16′ 29″ / 북위 36.44278° 동경 127.27472°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 | |
종목 | 문화재자료 (구)제357호 (1997년 12월 23일 지정) (2012년 7월 1일 해지) |
---|---|
주소 |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도암영곡길 89-25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금남 모인당(錦南 慕忍堂)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사당이다.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7호로 지정되어,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에 따라 지정이 해제되었으나, 2012년 12월 31일 세종특별자치시의 문화재자료 제9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
[편집]화순 최씨의 종중 재실로, 최한정(1427∼1486)과 그의 아들인 최중온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화순 최씨는 고려 때 경주 최씨에서 분관한 성씨이며, 위패를 모시고 있는 최한정 선생은 세조 2년(1456) 진사시에 합격하고 3년 뒤에 병과에 급제하였다. 성종이 그를 신뢰하여 대사관에 임명했는데 그 뒤 이조참의를 거쳐 예조참의를 지냈다.
이 건물은 현종 11년(1669)에 세웠고 1928년에 고쳐 지었다.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로 건물 중앙에 대청마루를 깔고 접어지는 문을 달아 제사지낼 때 들어 올려 공간을 마련하였다. 좌우 대칭으로 온돌방을 1칸씩을 두었으며, 지붕은 옆에서 보면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세종특별자치시 고시 제2012 - 63호,《세종특별자치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 고시》, 세종특별자치시장, 2012-12-31
참고 자료
[편집]- 금남 모인당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