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응고 혈액 응고의 경로 혈액 응고(Coagulation)는 섬유소 단백질인 피브린이 모인 섬유소 그물과 혈소판이 응집된 혈소판 마개와 뭉쳐 혈병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혈관 속에서 일어나면 혈전이라고 한다. 잠재적으로는 손상된 혈관으로부터의 혈액 유실을 막는 지혈을 일으킨다. 같이 보기[편집] 응집반응 지혈제 vte염증징후 발적 발열 부기 통증 기능상실 메커니즘급성혈장 유래 염증매개물질 브라디키닌 보체계 C3 C5a MAC 응고 제XII인자 플라스민 트롬빈 세포 유래 염증매개물질세포에 포함 리소좀 과립 생체 아민 히스타민 세로토닌 상황에 따라 합성 사이토카인 IFN-γ IL-8 TNF-α IL-1 에이코사노이드 류코트라이엔 B4 프로스타글란딘 일산화 질소 키닌류 만성 대식세포 유상피세포 거대세포 육아종 기타 급성기 반응 혈관 확장 혈관 투과성 증가 삼출 백혈구 유출 주화성 검사 일반 혈액 검사 백혈구 증가증 C-반응성 단백질 적혈구 침강 속도 일반 림프절병증 염증성 질환 목록 기관계별 염증신경계 중추신경계 뇌염 척수염 수막염 지주막염 말초신경계 말초신경염 눈 눈물샘염 공막염 상공막염 각막염 맥락망막염 중심성망막염 다래끼 결막염 포도막염 귀 외이도염 중이염 미로염 꼭지돌기염 순환계 심장염 심내막염 심근염 심낭염 혈관염 동맥염 정맥염 모세혈관염 호흡계 상기도 부비동염 비염 인두염 후두염 하기도 기관염 기관지염 세기관지염 폐렴/폐장염 늑막염 종격동염 소화계구강 구내염 치은염 설염 편도염 침샘염/귀밑샘염 구순염 치수염 하악염 장관 식도염 위염 장염 소장염 대장염 전장염 십이지장염 회장염 맹장염 충수염 직장염 기타 간염 담관염 담낭염 췌장염 복막염 외피계 피부염 모낭염 연조직염 땀샘염 근골격계 관절염 피부근염 연조직 근염 활막염/건초염 점액낭염 골부착부염 근막염 관절낭염 상과염 건염 지방층염 골연골염: 뼈염/골수염 척추염 골막염 연골염 배설계 신장염 사구체신염 신우신염 요관염 방광염 요도염 생식계여성 골반내 염증성 질환 난소염 난관염 자궁내막염 자궁주위조직염 자궁경부염 질염 외음염 유선염 남성 고환염 부고환염 전립선염 정낭염 귀두염 포피염 귀두포피염 임신 관련 양막염 융모양막염 태반 감염 제대혈관염 배꼽염 내분비계 췌장소도염 뇌하수체염 갑상선염 부갑상선염 부신염 림프계 림프관염 림프절염 전거 통제: 국가 프랑스 BnF 데이터 독일 이스라엘 미국 체코 이 글은 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