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기갑전투차량 목록
다음 목록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생산된 나라별 기갑 전투 차량 목록이다. 2007년 기준이다.
그리스
[편집]전차
[편집]남아프리카 공화국
[편집]전차
[편집]기갑전투차량
[편집]보병전투차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 버펠
- 카스피르
- RG-12
- 맘바 병력수송장갑차
- 푸마 장갑차 - 맘바와 유사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새로 개발한 장갑차[1] 보관됨 2009-01-25 - 웨이백 머신
- RG-31 니얄라
- RG-32
- 오카피 MPV
자주포
[편집]네덜란드
[편집]노르웨이
[편집]

주력전차
[편집]보병전투차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자주포
[편집]대한민국
[편집]대한민국이 보유하고 있는 기갑 전투 차량 목록이다. M4A3E8 셔먼, M3 하프트랙 등과 같이 2차세계대전 시기에 미국에서 생산된 장비이지만 공여받은 시점이 2차대전 이후인 경우도 작성했다.
전차
[편집]M48 패튼의 경우 1세대 전차로 분류했다.[1]
<경전차, 중형전차>
- M4A3E8 셔먼 (퇴역)
- M24 채피 (퇴역) - 6.25 전쟁 중에 훈련용으로 사용하다가 미군이 회수해서 대만군에게 인계함. M36 잭슨, M24 채피 사진이 있다.
- M26 퍼싱 (퇴역) - M46 패튼 훈련용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 백선엽 장군의 회고록에서 도입해서 운용한 적이 있다고 언급됨. 출처
<1세대 전차>
- M46 패튼 (퇴역) - 운용기록 : 출처
- M47 패튼 (퇴역) - 1950년대 말 도입, 2007년 퇴역 추정
- M48 패튼
- M48A2C (퇴역) - 1960년대 도입, 소수 M48A5K 개량, 개량되지 않은 기존 분량은 2000년대 후반 퇴역 추정.
- M48A3K
- M48A5K
<3세대 ~ 3.5세대 전차>
장갑차
[편집]<보병수송장갑차(APC), 정찰장갑차>
- M3 하프트랙(퇴역)
- M8 / M20 그레이하운드(퇴역)
- AAV7A1
- M113 보병수송장갑차 계열(퇴역)
- KM-900
- K-200(A1) 보병수송장갑차 계열
- 두산 바라쿠다 장갑차
- K806 / 808 차륜형 장갑차
<보병전투장갑차(IFV)>
- BMP-3F,BMP-3M(1995, 2002년) - 불곰사업으로 도입
- K21 보병전투차
자주포 및 다연장로켓
[편집]- K105HT 105mm 차륜형 자주포
- K-55(A1) 155mm 자주포
- K-9 155mm 자주포
- M107 175mm 자주포(퇴역)
- M110 203mm 자주포(퇴역)
- M270(A1) MLRS
- K-136 구룡 다연장로켓
- K-239 천무 다연장로켓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편집]- K242(A1) - K-200A1 APC의 자주박격포 파생형
- K281(A1) - K-200A1 APC의 자주박격포 파생형
- K532 - 다목적 전술차량(장갑차)로 자주박격포를 탑재했다.
- 120mm 자주박격포 - 2019년 양산 예정
- M36 잭슨(퇴역)
- M56 스콜피온(퇴역)
자주대공체계
[편집]- M16 승공포(퇴역) - M3 하프트랙의 파생형으로 미군에서는 M16 meat chopper로 불렀다.
- K-30 비호
- K263 자주발칸포
- 천마
그 외 기갑장비
[편집]독일
[편집]전차
[편집]자주포
[편집]기타 기갑전투차량
[편집]- Luchs A2 (기갑 수색 차량),
- 페넥 경장갑차 - 룩스를 대체하고 있는 수색용 경장갑차
- 비젤 장갑차 - 공수부대용으로 개발한 소형 다용도 장갑차
- 마더1 A3/ A5 - 보병전투차
- 퓨마 보병전투차 - 마더 보병전투차의 후계 차량
- 푹스 장갑차
- 복서 MRAV - 푹스 장갑차를 대체하고 있는 다용도 장갑차
- 야구아르 1 - 토우 탑재 대전차차량으로 퇴역함.
- 야구아르 2 - 토우 탑재 대전차차량으로 퇴역함.
- 게파르트 대공장갑차
- 롤랑 대공미사일 - 퇴역
- 비버 가교차량
- PSB 2 가교차랑 - 비버로 대체
- 다흐 공병전차
- 코디악 공병전차 - 스위스 육군용
- 뷔펠 구난전차
- 스코르피언 지뢰부설차
- 카일러 지뢰제거차
- TH200 (바퀴식 수색장갑차)- 시험용만 만들어짐.
- ATF 딩고 (바퀴식 장갑차)
- AGF 수색 및 전투 차
- 뭉고 ESK (장갑화된 수송 트럭)
- 뒤로 3 (경 바퀴식 장갑차)
- 이글 IV - 바퀴식 경장갑차로, 2008년부터 납품.
- KMW 그리즐리 - 바퀴식 장갑차
- 라인메탈 야크 - 바퀴식 장갑차
- KJPz HS-30(KanonenJagdPanzer) - 전차 구축차
보병수송차
[편집]러시아
[편집]전차
[편집]- 블랙 이글 전차 (개발 취소) 오비옉트640
- T-54
- T-55
- T-62
- T-64
- T-64
- T-64R
- T-64T
- T-64A
- T-64AK
- T-64AM
- T-64AV
- T-64B
- T-64BK
- T-64BM
- T-64B1
- T-64BSh
- T-64BV
- T-64BKV
- T-64B1V
- T-72
- T-72 "우랄"
- T-72A
- T-72AV
- T-72AK1
- T-72AK2
- T-72AK3
- T-72B
- T-72BK
- T-72BA
- T-72B obr.1989
- T-72B obr.1990
- T-72B obr.2022
- T-72B1 - 취소
- T-72B2 - 취소
- T-72B3
- T-72B3M
- T-72B3 obr.2014
- T-72B3 obr.2016
- T-72B3 obr.2022
- T-72B4 : 탱크 바이에슬론 경기용
- T-72M : 수출용
- T-72M1 : 수출용
- T-72S : 수출용
- T-80
- T-80 : 1000마력을 내는 GTD-1000 가스터빈을 장착한 극초기형. 포탑은 T-64A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 T-80B : 개량형. 증가장갑 부착 및 사통장치 개량.
- T-80BV : 콘탁트-1 폭발반응장갑 부착형.
- T-80BVM
- T-80U
- T-80UE
- T-80UE-1
- T-80UK
- T-80UM1
- T-80UM2 : 드로즈드 장착 실험용.
- 오비옉트 478 : 하리코프 설계국에서 오비옉트 219A (T-80U 프로토타입) 차체에 오비옉트 476의 포탑을 올려서 만든 차량. T-80UD로 발전했다.
- T-80UD (오비옉트 478B) t80u 사양에 디젤엔진 장착형
- 오비옉트 640(블랙 이글)
- 오비옉트 644 : T-80B에 V-46-6 디젤 엔진을 장착한 시험 차량.
- 오비옉트 292
- T-90
- T-90 : 극초기형
- T-90K
- T-90A "블라디미르"
- T-90AK
- T-90S
- T-90SK
- T-90SA
- T-90SAK
- T-90MS "타길"
- T-90AM
- T-90M "프로리브 3"
- T-95 (시험생산형)
- T-14 "아르마타"
병력수송장갑차 및 보병전투차
[편집]- BMD-1
- BMD-2
- BMD-3
- BMD-4
- BMP-4
- BMP-1
- BMP-2
- BMP-3
- BMP-4
- BMPT
- BTR-40
- BTR-50
- BTR-60
- BTR-70
- BTR-80
- BTR-90
- BTR-140
- BTR-152
- BTR-D
- BTR-T
자주포
[편집]- 이스칸데르
- 2S31 베나
- 2S19 152mm 자주포 무스타 s msta s
루마니아
[편집]전차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보병전투차
[편집]자주포
[편집]미국
[편집]전차
[편집]<1세대 전차>
<2세대 전차>
<3세대 ~ 3.5세대 전차>
<그 외 전차>
기갑전투차량
[편집]자주포
[편집]- M56 SPG
- M50 온토스 자주 무반동총
- M107 자주포 (175mm)
- M108 자주포 (105mm)
- M109 자주포 (155mm)
- M110 자주포 (203mm, 10인치)
- M84 자주박격포
- Non-Line-Of-Sight Cannon
자주대공체계
[편집]보병전투차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 M59 병력 수송 장갑차
- M75 병력 수송 장갑차
- M113 병력 수송 장갑차
공병지원차량
[편집]벨기에
[편집]- BDX
- 코브라 시리즈
- 시브마스
- FN 4RM-62F AB
벨라루스
[편집]불가리아
[편집]- BMP-23
- 툰드자 (Tundzha) 120mm 궤도식 자주 박격포
- Podnos 82mm 궤도식 자주 박격포
- MT-LB 변형
- BTR-60PB-MD1
브라질
[편집]세르비아
[편집]전차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보병전투차
[편집]전투공병차
[편집]소련
[편집]전차
[편집]병력수송장갑차 및 보병전투차
[편집]- BMP-1
- BMP-2
- BMP-3
- BMD-1
- BMD-2
- BMD-3
- BRM-1
- BRDM-1
- BRDM-2
- BRDM-3
- BTR-152
- BTR-40
- BTR-50
- BTR-60
- BTR-70
- BTR-80
- BTR-D
- MT-LB
자주포
[편집]- 2P 406mm 자주포
- 2S1 122mm 자주포
- 2S3 152mm 자주포
- 2S4 240mm 자주포
- 2S5 152mm 자주포
- 2S7 203mm 자주포
- 2S9 120mm 자주포
- 2S19 152mm 자주포
- 2S23 120mm 자주포
- ASU-85 85mm 자주포
자주대공체계
[편집]스웨덴
[편집]전차
[편집]- 스웨덴 S103 전차
- Ikv 91 - 90mm 저압포를 장착한 전차 구축차
- Strv 121 레오파르트 2 전차A4
- Strv 122 레오파르트 2 전차A6의 스웨덴형
보병전투차
[편집]기타 기갑전투차량
[편집]스위스
[편집]주력전차
[편집]기갑전투차량
[편집]- Spz2000 (CV9030)
- 피라냐 I 4x4, 6x6 and 8x8
- 피라냐 II 4x4, 6x6 and 8x8
- 피라냐 III 6x6, 8x8 and 10x10
- 피라냐 IV 8x8
- 피라냐 V 8x8
- SPz 63
스페인
[편집]전차
[편집]기갑전투차량
[편집]보병전투차
[편집]- 피자로 IFV - 오스트리아와 공동 개발한 보병전투차("ASCOD")
병력수송장갑차
[편집]슬로베니아
[편집]싱가포르
[편집]전차
[편집]- 템페스트 (센추리온 전차의 현대화형])
- AMX-13SM1 (AMX-13 현대화형)
- 레오파르트 2 전차A4
기갑전투차량
[편집]- AMX-10 PAC90 및 기타
- M113 25 mm 부쉬마스터 기관포 또는 40mm AGL 스트라이커 유탄발사기
- 바이오닉스 AFV M113을 대체하는 28 톤 장갑차
- 브론코 ATTC (All-Tracked Terrain Carrier)
- Bv206
- AV-81
자주포
[편집]- SSPH1 155 mm 자동장전 자주포
아르헨티나
[편집]영국
[편집]주력전차
[편집]기타 기갑전투차량
[편집]- 사브레 AFV - 기갑 수색 차량 (136)
- 스코피온 경전차 - 기갑 수색 차량
- FV102 스트라이커 - 스윙파이어 미사일 발사차량
- FV104 서매러튼(Samaritan)
- FV105 술탄
- FV106 샘슨
- FV107 시미터
- 앨비스 스토머
- 앨비스 살라딘
- 페렛 장갑차
- FV721 폭스 장갑 수색차량
- FV 432 병력수송장갑차 및 파생형
- FV222 퀑커러 ARV
자주대공체계
[편집]- 궤도식 레이피어 대공미사일
자주포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보병전투차
[편집]오스트레일리아
[편집]바퀴식 기갑전투차량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 M113 병력 수송 장갑차 (개량형만 사용)
- 부쉬마스터 IMV
오스트리아
[편집]- 자우러 4K 3FA & 4FA 시리즈(Schutzenpanzer A1)
- 자우러 4K 7FA
- 울란 보병전투차 - 스페인과 공동 개발("ASCOD").
- 판두1 장갑차 6x6
- 판두2 장갑차 6x6 및 8x8
- SK-105 퀴라시어
우크라이나
[편집]- T-55AGM[4]
- T-64BM2[5]
- T-64U[6]
- T-72MP[7]
- T-72AG[8]
- T-72-120[9]
- T-80UD[10]
- T-84[10]
- T-84 옾롯[11]
- T-84-120 야타간(Yatagan)[12]
- BREM-84[13]
- BTR-3[14]
- BTR-4[15]
- BTR-94[15]
- 도조르-B[16]
이라크
[편집]전차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이란
[편집]전차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자주포
[편집]이스라엘
[편집]전차
[편집]- M50 슈퍼셔먼 (M4 셔먼 업그레이드)
- 쇼트 전차 - 센추리온 전차 업그레이드형)
- Tiran-6 전차 - T-62 개수형(중동전쟁때 T-62 노획)
- 마가크 전차 - M60 패튼 업그레이드형[17]
- 사브라 전차 - M60 패튼 업그레이드형
- 메르카바 전차 tank
병력수송장갑차
[편집]- IDF 나그마혼 병력수송장갑차 - 구식 센추리온 전차 차대를 이용한 장갑차
- IDF 나크파돈 병력수송장갑차 - 구식 센추리온 전차 차대를 이용한 중장갑차
- IDF 아크자리트 병력수송장갑차 - 중동전쟁 중 노획한 T-54/55 차체를 이용해 개발한 장갑차
- 나메르 보병전투차 - 퇴역한 메르카바1 전차 차체를 이용해 개발한 보병전투차
- 울프 장갑차
- 골란 장갑차
자주포
[편집]- L-33/39 로엠 자주포 - M4 셔먼 차체를 이용해 개발한 자주포
- 마크마트 - M4 셔먼 차체를 이용해 개발한 자주 박격포
- MAR-240/290 - M4 셔먼 차체를 이용해 개발한 로켓 발사 자주포
- 숄레프 자주포 - 메르카바 차체를 이용한 자주포
- 라스칼 자주포
전투공병차
[편집]이탈리아
[편집]주력전차
[편집]보병전투차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자주대공체계
[편집]바퀴식 장갑차
[편집]자주포
[편집]관측 장갑차
[편집]- 피아트 6614G 4x4
인도
[편집]전차
[편집]기갑전투차량
[편집]- 아브하이 IFV
- 나그 미사일 운반차량 (Namica)
장갑차
[편집]자주포
[편집]일본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보병전투차
[편집]주력전차
[편집]북한
[편집]전차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자주포
[편집]- M-1978 170 mm 자주포
- M-1974 152 mm 자주포
- M-1975 130 mm 자주포
- M-1992 130 mm 자주포
- M-1977 122 mm 자주포
- M-1981 122 mm 자주포
- M-1991 122 mm 자주포
- M-1992 120 mm 자주포
중국
[편집]전차
[편집]- 59식 전차 - T-54/55 다운그레이드 면허 생산
- 69/79식 전차
- 80/85/88식 전차
- 90-2식 전차 - 수출용 전차
- VT-4(MBT-3000) - 99식 전차 수출형
- 62식 경전차
- 63식 경전차
- 05식 경전차
보병전투차
[편집]칠레
[편집]캐나다
[편집]- MILCOTS (Milverado) - 예비군만 사용
- 모바그 피라냐-바퀴식 장갑차:
- AVGP: 쿠거, 그리즐리 및 허스키 6×6 바퀴식 장갑차
- 바이슨 APC 8×8
- 코요테 수색 장갑차 8x8
- LAV III 8×8
- 방공 및 대전차 체계 (ADATS)
크로아티아
[편집]파키스탄
[편집]전차
[편집]장갑보안차
[편집]- 모하피즈(Mohafiz)
병력수송장갑차
[편집]기갑 지휘소
[편집]장갑 수리 및 회수차
[편집]기갑전투차량
[편집]포르투갈
[편집]바퀴식 기갑전투차
[편집]- 샤미체(Chaimite)
- 판듀어 8X8 APC
주력전차
[편집]- 레오파르트 2 전차 A4 - 네덜란드로부터 구입
자주포
[편집]기갑수색장갑차
[편집]- 모바그 이글 경장갑차
- Panzerjager - 6x6 모바그 피라냐 6륜형에 BGM-71 토우를 장착.
폴란드
[편집]전차
[편집]궤도식 병력수송장갑차 및 보병전투차
[편집]- BWP-2000
- BWP 퓨마 E8 - BMP 현대화형
- BWP 퓨마 RCWS-30- BMP 현대화형
- MT-LB
바퀴식 병력수송장갑차 및 보병전투차
[편집]- KTO 로소마크 - 진화형 모듈화 장갑차의 면허 생산형
- KTO 뤼스 - SKOT장갑차 기반 8x8 병력 수송 장갑차
- KTO 이르비스 - KTO 뤼스의 6x6형
장갑차
[편집]자주포
[편집]- 2S1 122mm 자주포 - 면허 생산형
- 크랍 - 나토 호환 155mm 자주포. 영국 AS90의 자주포 포탑을 기술 도입하여 생산
- PZA 로아라 - PT-91 차체를 이용한 대공시스템
- 포프라트
- 히베르뉘트(Hibernyt)
프랑스
[편집]전차
[편집]장갑차
[편집]병력수송장갑차
[편집]핀란드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주력전차의 2세대 전차 항목의 설명에 의하면 Rolf Hilmes는 1983년 Kampfpanzer: Die Entwicklunge der Nachkriegszeit에서 IR 서치라이트를 장비해 야간전투가 가능해졌으며 주무장에 스테빌라이저를 장착하고 기계식 탄도계산기를 구비했다는 점을 2세대 전차의 특징으로 꼽았다. 게다가 서구권 전차들의 대부분은 주무장으로 영국제 105mm L7을 장비했다는 점을 언급하는데 M48 패튼의 개량형의 경우 기계식 탄도계산기와 IR 서치라이트를 장착해서 야간전투가 가능해졌으며 게다가 M48A5(M48A5K 포함) 경우 105mm L7 강선포의 미국 면허생산형 M68 105mm 강선포를 장착하고 있다. 즉 스테빌라이저(수직안정기)의 여부를 제외하면 충분히 2세대 전차의 성능을 만족한다. 그리고 해외에서도 M48 패튼은 1세대로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Patton series - Globalsecurity.org
- ↑ M103 Heavy Tank - Globalsecurity.org
- ↑ “T-54, T-55, T-59 및 T-62 현대화형”. 2012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T-64 업그레이드형 보관됨 2009-02-09 - 웨이백 머신.
- ↑ BM Bulat (T64 현대화형) 보관됨 2009-02-20 - 웨이백 머신.
- ↑ “T-72MP 업그레이드형”. 2009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T-72AG 업그레이드형”. 2009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T-72-120 업그레이드형”. 2009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Zaloga 2000, pp 3?4.
- ↑ 옾롯 주력전차 보관됨 2013-01-13 - archive.today at KMDB.
- ↑ Yatagan Main Battle Tank 보관됨 2012-09-07 - archive.today at KMDB.
- ↑ Armoured Repair Recovery Vehicle BREM-84 보관됨 2009-03-12 - 웨이백 머신 at KMDB.
- ↑ BTR-3U 보관됨 2009-02-13 - 웨이백 머신 at KMDB.
- ↑ 가 나 BTR-4 보관됨 2007-05-14 - 웨이백 머신 at KMDB.
- ↑ Dozor-B - 병력 수송 장갑차 보관됨 2009-02-05 - 웨이백 머신 at KMDB.
- ↑ Magach - Globalsecurity.org
참고 문헌
[편집]- Zaloga, Steven and David Markov (2000), Russia's T-80U Main Battle Tank, Hong Kong: Concord, ISBN 962-361-656-2.
- Hunnicutt, R. P. "Patton: A History of the American Main Battle Tank." 1984, Presidio Press; ISBN 0-89141-230-1.
- Hunnicutt, R. P. "Firepower: A History of the American Heavy Tank." 1988, Presidio Press; ISBN 0-89141-3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