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주아리랑

해주아리랑(海州아리랑)은 서울 지방의 아리랑에서 파생해 나온 신민요로, 아롱타령이라고도 한다. 해주아리랑은 서울 지방의 민요 선법으로 짜인 소리로서 서울의 자진아리랑과 유사하다.

해주아리랑은 해주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점이 특징적이다.[1] 황해도 지역의 향토 음악 양식과 매우 다르며, 특히 서도(西道, 황해도평안도) 명창인 김정연·오복녀의 가창 자료에도 <해주아리랑>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반면, 밀양아리랑과는 선율적으로 매우 가깝다. 따라서, 해주아리랑에서 밀양아리랑이 파생되었다는 설이 강력하다.[1]

후렴이 “아리아리 얼쑤 아라리요 아리랑 얼씨구 노다 가세”로 되어 있다. 장단은 경쾌한 세마치(3박자) 장단으로 이루어졌으며, 세마치 8장단이 하나의 절을 형성한다.

악보

[편집]

\relative c' { \key g \major \time 9/8 \tempo 4. = 110 \set Staff.midiInstrument = #"violin"
b'4 b8 b4 b8 ~ b4. | b4. b2. | b4. b8 d8 b8 a4 g8 | e4. ~ e4 g8 e8 g4 |\break
b4. a4 g8 e8 g4 | b4. a4 g8 e8 g4 | g4. g8 a8 g8 b,4. | e2. r4. |\break
b'4 ~ b8 b8 b4 ~ b4. | b4 ~ b8 b8 b4 ~ b4. | b4. b8 d8 b8 a4 g8 | e4. ~ e4 g8 e8 g4 |\break
b4 b8 a4 g8 e8 g4 | b4 b8 a4 g8 e8 g4 | g4. g8 a8 g8 b,4. | e2. r4. \bar "|."}
\addlyrics {
아 리 아 리 얼 쑤 아 라 - - 리 - 요 - - -
아 리 랑 - - 얼 씨 구 - - 노 다 - - 가 세
아 리 랑 고 개 는 웬 고 - - 갠 - 가 - - -
넘 어 갈 적 - - 넘 어 올 적 - - 눈 물 - 이 난 다
}

각주

[편집]
  1. 국악사전 - 해주아리랑, 국립국악원 홈페이지, 2018년 2월 5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