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백탄광 폭발 사고 함백탄광 폭발 사고는 1979년 4월 14일 낮에 대한민국 강원도 정선군 신동면 함백탄광에서 광부를 태우고 탄광(자미갱)으로 들어가던 광차에 실린 다이너마이트가 폭발하면서 광부들이 피해를 입은 사건이다.[1] 이 사고로 모두 26명이 사망하였고, 38명이 중경상을 입었다.[2] 각주[편집] ↑ 咸白炭鑛서 爆發慘事, 《경향신문》, 1979.4.14 ↑ 咸白 炭鑛사고 雷管충격爆發 副所長둥 3명을 拘束, 《경향신문》, 1979.4.16 같이 보기[편집] 장성탄광 화재 은성탄광 화재 평안 누층군 vte평안 누층군지질시대 범위 : 고생대 석탄기, 페름기,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삼척탄전 장성광업소 장성탄광 화재 도계광업소 동원탄좌 사북광업소 사북 사건 함백광업소 함백탄광 폭발 사고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금천-장성층 함백산층 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 백운산 향사대 영월탄전 요봉층 판교층 밤치층 미탄층 강릉탄전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함백산층 망덕산층 언별리층 정동심곡바다부채길 정선-평창탄전 만항층 금천층 밤치층 장성층 옥갑산층 상원산층 박지산층 단양탄전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함백산층 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 문경탄전 은성광업소 은성탄광 화재 홍점층 사동층 고방산층 녹암층 운암사층 보은탄전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함백산층 화순탄전 화순광업소 용두리층 용암산층 오음리층 함탄층 천운산층 해남-강진탄전 오산리층 석탄박물관 태백석탄박물관 문경석탄박물관 관련 문서 대한석탄공사 정창희 정동심곡바다부채길 삼척시의 지질 태백시의 지질 강릉시의 지질 정선군의 지질 평창군의 지질 영월군의 지질 단양군의 지질 문경시의 지질 한국의 지질 한국의 지역별 지질 한국의 지질유산 한국의 단층 선캄브리아기 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 옥천 누층군 대동 누층군 경상 누층군 북한 관입암류 한국의 지진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단양국가지질공원 청송지질공원 부산국가지질공원 vte대한민국의 폭발 사고1940년대군산 경마장 폭발 사고(1945년)1970년대 이리역 폭발 사고(1977년) 함백탄광 폭발 사고(1979년) 1980년대 육군 폭발물처리반 탄약고 유폭사고 (1980년) 청량리 가스 폭발 사고(1983년) 대구 미국문화원 폭발 사건(1983년) 김포공항 폭탄 테러 사건(1986년) 1990년대 광주 해양도시가스 폭발 사고(1992년)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건(1993년)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1994년)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1995년) 부천 LPG 충전소 폭발 사고(1998년) 익산 충전소 가스 폭발 사고(1998년) 2000년대 철원 군부대 수류탄 폭발 사고(2008년) 2010년대 서울 행당동 버스 폭발 사고(2010년) 대구 대명동 가스 폭발 사고(2013년) 고양 저유소 유증기 폭발 사고(2018년) 2020년대 롯데케미칼 대산공장 폭발 사고(2020년) 이천 물류센터 공사장 화재(2020년) 서울 금천구 시흥동 폭발 사고(2021년) 여수 국가산단 폭발 사고(2021년) 제2경인고속도로 갈현고가교 화재(2022년) 화성 전지 제조공장 화재 사고 (2024년) 포항 아파트 방화 사건 (2024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방송 사고 이 글은 사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