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카타 역앞 도로 함몰 사고

하카타 역앞 도로 함몰 사고
함몰 당시의 하카타 역앞 거리 (2016년 11월 9일)
날짜2016년 11월 8일
시간오전 5시 15분 (JST)
위치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하카타에키마에 일원 (2초메 5, 3초메 26 등)
좌표
원인공사중인 지하철 터널 상부에 지반이 분열되고 지면 및 터널 등을 통과하는 암반층 사이에 지하수나 토사가 갱내로 유입하면서 상부 지반이 무너짐[1]
결과폭 27m, 직선 거리 30m, 깊이 15m의 도로가 함몰되고 라이프라인이 막힘[1]
사망자없음
부상자1명

하카타 역앞 도로 함몰 사고(博多駅前道路陥没事故 (はかたえきまえどうろかんぼつじこ) 하카타에키마에도우로간보쓰지고[*])는 2016년(헤이세이 28년) 11월 8일 새벽 5시 15분 무렵,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하카타에키마에 2초메 교차로에서 일어난 함몰 사고이다. 땅꺼짐 규모가 매우 큰 지반 붕괴 사고인데도, 이른 시간이어서 다행히 희생자가 전혀 없었다. 복구 공사를 개시한 지 불과 1주일 만에 복구를 마무리해서, 일본 국내는 물론 대한민국 언론에서도 크게 보도할 정도로 주목 받았다.

개요

[편집]

교도 통신사일본방송협회 등에 따르면 시간이 지나며, 함몰 부위가 점차 넓어졌고, 함몰 부위는 길이 30m, 폭 27m, 깊이 15m이었다. 그러나 꺼진 곳에 물이 가득 차자, 주위에 있었던 일부 건물 부지도 무너지는 땅꺼짐 현상이 연달이 일어나고 공공기관에서 이를 확인하였다. 후쿠오카현 경찰과 후쿠오카시 시청은 해당 건물 및 주변 지역 주민들에게 대피 권고를 내렸다. 규슈 전력은 이날 사고로 800여 가구에 전기 공급을 하지 못했다. 이 함몰 현장 부근 빌딩에 머물던 70대 여성이 정전으로 어두운 곳에서 미끄러져 다리 부상을 입어 병원 치료를 받았고, 공식적으로 이 날 사고에서 유일한 부상자가 되었다. 이 밖에도 금융 업무 마비부터 철도편 연착, 니시테쓰 버스 계열 버스 노선 우회 운영까지 발생했다. 함몰이 일어난 곳은 나나쿠마 선 연장 공사 현장 부근에 위치했다. 사고 원인이 지하철 공사 과정 가운데 굴착 공사 도중 부주의로 발생하였다고 잠정 결론지었다.[2] 땅꺼짐으로 함몰된 도로는 1주일을 지나며 제 모습으로 복구하였다. 땅꺼짐과 관련한 도로 복구 공사를 완료하고, 2016년 11월 15일부터 정상 통행을 다시 시작하였다. 그 외에도 피해 점포 주인들이 빠른 보상을 요구하였고, 행정기관에서 2016년 안으로 배상금을 지급하겠다는 내부 방침을 밝혔다.[3]

유사 사건

[편집]

대한민국에서도 후쿠오카에 일어난 사건과 비슷한 사건이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2014년 석촌역 인근 도로[4]에서 발생한 땅꺼짐(싱크홀) 사고가 있었다. 그 다음 해인 2015년 2월 서울 용산구 용산역 근처 버스 정류장에서 두 남녀가 버스에서 내리며 발을 디뎠던 정류장 땅이 내려앉는 사건도 있었다.

각주

[편집]
  1. “博多陥没 想定より薄い岩盤原因”. 《読売新聞》. 2017년 3월 30일. 2020년 10월 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
  2. "쿵 소리 나더니 도로가 사라졌다"…日 하카타역 도로 함몰(종합)”. 연합뉴스. 2016년 11월 8일.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3. “일본 후쿠오카 싱크홀 1주일 만에 완벽 복구 (사진+영상)”. 국민일보. 2016년 11월 16일. 
  4. 롯데월드 부근이다. 그 외에도 서울 지하철 9호선 공사 관련 사고도 비슷한 원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