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훈
하정훈 | |
---|---|
로마자 표기 | Huh Jeong-hoon |
출생 | 1960년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서울대학교 |
경력 | 소아청소년과 의사 |
직업 | 의사 |
하정훈(1960년 ~ )은 서울대학교 출신[1]의 대한민국의 소아청소년과 의사이다. 그는 대한민국의 저출산 대책으로 국민의 육아에 대한 낙천적인 생각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2] "삐뽀삐뽀 119 소아과"라는 베스트셀러 육아지침서의 작가로 알려져 있다.[3]
저서
[편집]어록
[편집]- 그는 주치의등록제에 대해서 "미국의 경우 워낙 국민들의 의료접근성이 떨어지고 전문의가 인구에 비해 부족해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해 가정의를 지정하는 제도를 두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같이 5분이면 해당 전문의의 개원병원을 찾을 수 있는 나라에서 주치의등록제는 필요없다"라고 주장하였다.[6]
- 2010년 12월 8일 트위터를 통해 이명박 정부가 단독처리한 예산안에 결핍된 어린이 복지 예산 대해서 "국회에서 아가들의 필수예방접종예산을 몽땅 다 삭감해버렸습니다. 저출산으로 국가가 비상사태라는데 정작 아이 키우는데 비용은 국가가 책임 질수 없다니 놀랍습니다. 우리보다 후진국도 아이들 접종은 무료로 해주는 나라가 많다는데"라고 비판하였다.[7]
- 한의사가 보건소장직을 맡는 경우에서 그는 "보건소 업무에 한의학적인 부분도 있지만 현대의학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역학조사와 같은 사업을 한의사가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라고 반대하였다.[8]
- 유아 예방접종을 무료화에 대해서 "엄마들은 아기들의 예방접종을 100% 무료로 할 권리가 있다. 엄마들이 청와대 홈페이지에 가서 서버 다운시키면 내일 당장 해줄 것이다. 언론에서도 예방접종을 무료화해야한다고 앞장서서 이야기해주길 바란다"라고 찬성하였다.[9]
각주
[편집]- ↑ 육아 베스트셀러 1위, 《삐뽀삐뽀 119 소아과》의 저자 하정훈의 특별한 성장 스토리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권태선 논설위원 양선아 기자 (2009년 8월 13일). ““저출산 해결책? 육아를 즐겁게 바꿔야죠””. 한겨레.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뉴스 쏙] 한겨레가 만난 사람 ‘삐뽀삐뽀 119…’ 저자 하정훈 박사
- ↑ [피플] 육아백과 ‘삐뽀삐뽀119 소아과’ 저자 하정훈 2004-12-23 동아일보
- ↑ 김민영 기자 (2006년 5월 26일). “‘삐뽀삐뽀 소아과’ 10년인기 `하정훈의 힘`”. 북데일리.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삐뽀삐뽀 119 이유식[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어윤호 기자 (2009년 12월 7일). “끊이지 않는 '주치의등록제' 찬반 논란”. 메디컬투데이.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예산 날치기 때 결식아동급식, 영유아예방접종 몽땅 0원”. 경향신문. 2010년 12월 9일.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어윤호 기자 (2009년 11월 30일). “한의사 보건소장 허용, 양·한방 치열한 ‘공방’”. 메디컬투데이. 2010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소장섭 기자 (2010년 9월 30일). “하정훈 "예방접종 100% 무료화해야"”. 베이비뉴스. 2010년 12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하정훈 소아청소년과
- 하정훈 유투브 채널
- 하정훈의 백신이야기
- 하정훈의 트위터 계정
- 베이비트리 보관됨 2010-12-06 - 웨이백 머신, 하정훈이 기여한 한겨레 신문의 육아 정보 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