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세토카리스 미크로프탈마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아문: | 갑각아문 |
강: | 연갑강 |
아강: | 진연갑아강 |
상목: | 진하상목 |
목: | 십각목 |
아목: | 범배아목 |
하목: | 생이하목 |
상과: | 피세토카리스상과 (Physetocaridoidea) Chace, 1940 |
과: | 피세토카리스과 (Physetocarididae) Chace, 1940 |
속: | 피세토카리스속 (Physetocaris) Chace, 1940 |
종: | 피세토카리스 미크로프탈마 (P. microphthalma) |
학명 | |
Physetocaris microphthalma | |
Chace, 1940 |
피세토카리스 미크로프탈마(Physetocaris microphthalma)는 단형속 피세토카리스속(Physetocaris)의 유일종으로 십각목 생이하목에 속하는 새우이다.[1]
특징
[편집]성체는 눈이 없고, 제1 가슴다리의 마지막 체절이 사라지고 없어서 집게발을 형성할 수 없다.[2] 또한 아가미와 입 부분이 줄어들어 있고 가슴다리에는 바깥다리가 없다.[2] 커진 갑각(등딱지)을 갖고 있고 일종의 큰 이마뿔을 형성하고 있다.[2]
분포
[편집]피세토카리스 미크로프탈마는 희귀하여 1985년 보고에서 35점의 표본만이 집계되었다.[2]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피세토카리스속의 분포 지역은 아주 넓은 것으로 추정된다. 대서양 서부와 동부 지역의 표본뿐만 아니라[3][4] 태평양 남부에서도 발견된다.[5]
각주
[편집]- ↑ Sammy De Grave, N. Dean Pentcheff, Shane T. Ahyong; 외. (2009).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PDF). 《Raffles Bulletin of Zoology》. Suppl. 21: 1–109. 2011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Raymond T. Bauer (2004). 〈Physetocarididae〉. 《Remarkable Shrimps: Adaptations and Natural History of the Carideans》. Animal natural history series 7.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65–66쪽. ISBN 978-0-8061-3555-7.
- ↑ P. Foxton; P. J. Herring (1970). “Recent records of Physetocaris microphthalma Chace with notes on the male and description of the early larvae (Decapoda, Caridea)”. 《Crustaceana》 18 (1): 93–104. doi:10.1163/156854070x00103. JSTOR 20101663.
- ↑ Isabella Gordon (1970). “Two early "Discovery" records of Physetocaris Chace (Decapoda, Caridea)”. 《Crustaceana》 18 (1): 105–107. doi:10.1163/156854070x00112. JSTOR 20101664.
- ↑ Robert A. Wasmer (1985). “New records for Physetocaris microphthalma Chace (Decapoda, Caridea, Physetocarididae) from the South Pacific”. 《Crustaceana》 49 (1): 315–318. doi:10.1163/156854085X00648. JSTOR 20104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