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피렌체 대교구
현황 | |
---|---|
교구 형태 | 대교구 |
종파 | 가톨릭 |
![]()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 | |
위치 국가 | 이탈리 |
관구 | 피렌체 관구 |
설정일 | 1세기 |
주교좌 | 피렌체 대성당 |
관할면적 | 2,205 km2 |
소속신자 | 812,474 명 |
소속성당 | 291 개 |
소속사제 | 352 명 |
웹사이트 | diocesifirenze.it - 공식 웹사이트 |
교구청 | |
교구장 | 게라르도 감벨리대주교 |
피렌체 대교구(라틴어: Archidioecesis Florentina)는 이탈리아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라틴 교회 소속 관구장좌 대교구이다.[1][2] 14세기의 연대기 작가 조반니 빌라니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1세기에 세워졌다고 전해진다.[3] 1420년까지 성좌 (교황령)의 직접 관할 하에 있었다.[4]
피렌체는 교황 마르티노 5세에 의해 1419년 5월 10일 대교구로 지위가 승격되었다.[5] 피렌체 대주교가 관할하는 교구 관구에는 아레초-코르토나-산세폴크로, 피에솔레, 피스토이아, 프라토, 산미니아토 관하 관구 등이 포함된다.
피렌체 대주교의 주교좌는 피렌체 대성당이다. 2024년 6월 이래로 게라르도 감벨리 대주교가 피렌체의 대주교로 재임 중이다.
역사
[편집]1322년 7월 29일, 교황 요한 22세는 피렌체 주교의 임명과 인준 권한을 교황에게 유보하였다.[6]
1346년–1347년 가을과 겨울에 폭우로 인해, 밀과 더불어 포도, 올리브 등 경작물들이 쓰러졌다. 1347년 5월경 피렌체의 밀 가격이 두 배로 뛰었다. 남부 이탈리아, 시칠리아, 아프리카 등지에서 곡물을 수입하는 협정이 맺어졌지만, 식료품 운송 계약을 맺었던 시에나와 제노바의 상인들이 자신들의 도시를 위해 운송량의 절반을 남겨두었다. 피렌체 거주민 94,000명은 시의 자선에 의존했었고, 약 4,000명 가량이 굶어죽었다고 전해진다.[7]
그러고 나서, 1348년 4월에, 흑사병으로 알려진 역병이 피렌체를 강타했다. 7월에 이르러 거의 100,000명 가까이가 사망했다. 역사가 조반니 빌라니는 피렌체와 그 인근에서 매일 거의 5명 중 3명 꼴로 사람들이 죽었다고 추론했다. 무엇보다 그 역시도 이 질병에 사망했다.[8] 유명한 '데카메론' 도입문에서', 조반니 보카치오는 10만이라는 숫자를 반복하며 사회적 유대와 인간 감정의 붕괴에 대한 참혹한 세부 사항들을 서술한다.[9]
피렌체에서 그 외 역병이 1325년, 1340년, 1344년, 1363년, 1509년, 1522년–1528년, 1630년 등에 일어났다.[10]
피렌체 공의회
[편집]1438년, 바젤 공의회가 페라라로 옮겨왔고, 그런 와중에, 파벌이 두 개로 나뉘어 한 파벌은 바젤에 남아 자신들만의 자체적 교황 대립교황 펠릭스 5세를 선출해냈다. 페라라로 옮겨간 파벌은 얼마 못 가 역병 발발로 인해 도시를 떠나야만 했다. 이들은 교황 에우제니오 4세에 의해 피렌체에서 재소집되어, 피렌체 공의회가 되었는데, 1443년 로마로 옮겨갈 때까지 계속됐다.[11]
사제단과 대성당
[편집]현재의 피렌체 대성당은 성모승천에 봉헌되어 있다. 본래는 세례자 요한에게 봉헌됐었고, 과거 마르스 신전이 있던 곳에 자리잡았다. 이 본 성당이 사제 및 필요한 의식에 비해 너무 작게 되자, 성 레파라타에게 헌정된 새로운 성당이 세워졌다.[12]
816년, 신성 로마 황제 프랑크의 루트비히 1세는 Aix에서 공의회를 열었는데, 이때 성직자들과 여성 성직자들이 일정한 규율 (canons, regulae)에 따라 공동 생활을 하도록 명령되었다. 826년 교황 에우제니오 2세의 로마 시노드에서, 성직자들이 교회 옆 클로이스터에서 공동 생활을 하도록 명령되었다. 876년, 파비아 공의회에서 주교들은 성직자들이 공동 생활을 하도록 한 제10조를 시행했다: uti episcopi in civitatibus suis proximum ecclesiae claustrum instituant, in quo ipsi cum clero secundum canonicam regulam Deo militent, et sacerdotes suos ad hoc constringant, ut ecclesiam non relinquant et alibi habitare praesumant.[13] 대성당은 다섯 명의 고위 성직자와 37명의 참사회원으로 구성된 사제단의 관리를 받았다. 공위성직자들에는 주임 신부, 대보제, 수석사제, 주임 사제 등으로 이뤄졌다.[14]
피렌체 교구는 또한 12개의 참사회성당을 두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하게 평가받는 곳은 산로렌초 성당이다.[15]
교구 시노드
[편집]교구 시노드는 비정기적으로 열렸지만, 교구 주교와 사제들의 중요한 회의이었다. 시노드의 목적 첫 번째는 주교가 이미 공표한 다양한 교령들을 일반에 공포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주교가 휘하 사제들과 상의하기로 한 방안을 논하고 비준하기 위해서였고, 세 번째는 교구 시노드, 관구 시노드, 성좌의 법규, 교령 등을 발표하기 위해서였다.[16]
- 1073년 - Raynerius.[17]
- 1139년 - Gottifredo degli Alberti.[18]
- 1310년 8월 13일 - Antonio D'Orso.
- 1327년 8월 1일 - Francesco di Silvestro.[19]
- 1343년 - Angelo Acciaiuoli seniore.
- 1346년 - Angelo Acciaiuoli[20]
- 1350년 3월 - Angelo Acciaioli seniore.
- 1372년 1월 13–14일 -Angelo Ricasoli.
- 1393년 7월 3일 - Onofrio Visdomini.
- 1415년 - Amerigo Corsini.
- 1446년 4월 22일 - Antonino Pierozzi.
- 1508년 - Cosimo Pazzi.
- 1517년 - Giulio de' Medici 추기경
- 1565년 3월 29일 - Antonio Altoviti.
- 1569년 5월 5일 - Antonio Altoviti.[21]
- 1573년 4월 9일 - Antonio Altoviti (관구 시노드)
- 1589년 3월 26일 – 6월 11일 - Alessandro de' Medici 추기경.[22]
- 1603년 6월 17일 - Alessandro de' Medici 추기경.[23]
- 1610년 5월 27일 - Alessandro Marzi Medici.
- 1614년 6월 4일 - Alessandro Marzi Medici.
- 1619년 5월 14–15일 - Alessandro Marzi Medici.[24]
- 1623년 5월 17일 - Alessandro Marzi Medici.[25]
- 1627년 5월 18일 - Alessandro Marzi Medici.[26]
- 1629년 5월 10일 - Alessandro Marzi Medici.[27]
- 1637년 6월 16일 - Pietro Niccolini.[28]
- 1645년 5월 17일 - Pietro Niccolini.[29]
- 1656년 4월 4일 - Francesco Nerli seniore. 추기경[30]
- 1663년 9월 26일 - Francesco Nerli seniore 추기경.[31]
- 1666년 9월 23일 - Francesco Nerli seniore 추기경.[32]
- 1669년 9월 25일 - Francesco Nerli seniore 추기경.[33]
- 1674년 9월 12일 - Francesco Nerli iuniore 추기경.[34]
- 1678년 8월 31일 - Francesco Nerli iuniore 추기경.[35]
- 1681년 8월 27일 - Francesco Nerli iuniore 추기경.[36]
- 1691년 9월 26일 - Jacopo Antonio Morigia.[37]
- 1699년 9월 24일 - Jacopo Antonio Morigia[38]
- 1710년 9월 10일 - Tommaso Bonaventura Della Gherardesca.[39]
- 1732년 9월 24일 - Giuseppe Maria Martelli.[40]
- 1905년 11월 21–23일 - Alfonso Maria Mistrangelo.
- 1936년 9월 10–12일 - Elia Dalla Costa 추기경.
- 1946년 5월 8–9일 - Elia Dalla Costa 추기경.
- 1988년 - Silvano Piovanelli 추기경.
- 1992년 - Silvano Piovanelli 추기경.[41]
피렌체 주교
[편집]1200년까지
[편집]- Felix (313년 확인)[42]
- ...
- ...
- Mauritius ( –550년)[44]
- ...
- Reparatus (679, 684년 확인)[45]
- ...
- Speciosus (716, 724년 확인)[46]
- ...
- Thomas (743년 확인)[47]
- ...
- Aliprandus (826, 833년 확인)[48]
- ...
- Rodingus (852년 확인)[49]
- Gerardus (853, 855년 확인)[50]
- Petrus (861년 확인)[51]
- Andreas (873, 876, 890년 확인)[52]
- ...
- Grasulphus (897, 898, 904년 확인)[53]
- ...
- Podo (Podio) (908년–926년 확인)[54]
- ...
- ...
1200년부터 1411년까지
[편집]- Joannes de Velletri (1205년–1230년)
- Ardingus Trotti (1231년–1247년)[74]
- Philippus Fontana (1250년–1251년)
- Joannes de Mangiadori (1251년-1275년 이후)[75]
- Jacobus (Castelbuono), O.P. (1286년)[76]
- Andreas de Mozzi (1286년–1295년)[77]
- Franciscus de Monaldeschi (1295년–1302년)[78]
- Loterius della Tosa (1303년–1309년)
- Antonius Orso (1310년–1321년)
- Franciscus Silvestri (1323년–1341년)[79]
- Angelo Acciaiuoli, O.P. (1342년 6월 26일–1355년)[80]
- Francesco degli Atti (1355년–1356년)[81]
- Filippo dell'Antella (1357년–1363년)
- Pietro Corsini (1363년 9월 1일 임명– 1370년 6월 7일)[82]
- Angelo Ricasoli (1370년–1383년)[83]
- Angelo Acciaioli (1383년 임명 – 1385년 11월 20일)[84]
- Bartolomeo Uliari, O.Min. (1385년–1389년)[85]
- Onofrio Visdomini, O.E.S.A. (1390년–1400년)[86]
- Alamanno Adimari (1400년–1401년)[87]
- Jacopo Palladini (1401년–1410년)[88]
- Francesco Zabarella (1410년– 1411년 6월 17일)[89]
피렌체 관구장 주교
[편집]1411년부터 1700년까지
[편집]- Amerigo Corsini (1411년–1434년)[90]
- Giovanni Vitelleschi (1435년– 1437년 8월 9일)[91]
- Ludovico Trevisano (Scarampi Mezzarota) (1437년–1439년)[92]
- Bartolomeo Zabarella (1439년 12월 18일 – 1445년 12월 21일 사망)[93]
- Antonino Forcilioni, O.P. † (1446년 1월 10일 – 1459년 5월 2일 사망)[94]
- Orlando Bonarli (1459년 6월 16일 – 1461년 사망)[95]
- Giovanni Neroni Diotisalvi (1462년 3월 22일 – 1473년 사망)[96]
- Pietro Riario, O.F.M. Conv. (1473년 7월 20일 – 1474년 1월 3일 사망)[97]
- Rinaldo Orsini (1474년 1월 28일 – 1508년)[98]
- Cosimo de' Pazzi (1508년 7월 5일 – 1513년 4월 8일 사망)[99]
- Giulio de' Medici (1513년 5월 9일 – 1523년)[100]
- Niccolò Ridolfi (1524년 1월 11일 – 1532년 10월 11일 사임)[101]
- Andrea Buondelmonti (1532년–1542년)[102]
- Niccolò Ridolfi - 두 번째 임기 (1543년–1548년)[103]
- Antonio Altoviti (1548년 5월 25일 – 1573년 12월 28일 사망)[104]
- Alessandro Ottaviano de' Medici (1574년 1월 15일 –1605년)[105]
- Alessandro Marzi de' Medici (1605년–1630년)[106]
- Cosimo de' Bardi (1630년 9월 9일 – 1631년 4월 18일 사망)[107]
- Pietro Niccolini (1632년 6월 7일 – 1651년 12월 1일 사망)[108]
- Francesco Nerli (seniore) (1652년 12월 16일 – 1670년 11월 6일 사망)[109]
- Francesco Nerli (iuniore) (1670년 12월 22일 – 1682년 12월 31일 사임)[110]
- Giacomo Antonio Morigia, B. (1683년 2월 15일 – 1699년 10월 23일 사임)[111]
1700년 이후
[편집]- Leone Strozzi, O.S.B. (1700년 6월 21일 – 1703년 10월 4일 사망)[112]
- Tommaso Bonaventura della Gherardesca (1703년 11월 12일 – 1721년 9월 21일 사망)[113]
- Giuseppe Maria Martelli (1722년 3월 2일 – 1740년 2월 10일 사임)[114]
- Francesco Gaetano Incontri (1741년 5월 29일 – 1781년 3월 25일 사망)[115]
- Antonio Martini (1781년 6월 25일 – 1809년 12월 31일 사망)[116]
- Pietro Francesco Morali (1815년 3월 15일 – 1826년 9월 29일 사망)
- Ferdinando Minucci (1828년 1월 28일 – 1856년 7월 2일 사망)
- Giovacchino Limberti (1857년 8월 3일 – 1874년 10월 27일 사망)
- Eugenio Cecconi (1874년 12월 21일 – 1888년 6월 15일 사망)
- Agostino Bausa, O.P. (1889년 2월 11일 – 1899년 4월 15일 사망)
- Alfonso Mistrangelo, Sch. P. (1899년 6월 19일 – 1930년 11월 7일 사망)
- Elia Dalla Costa (1931년 12월 19일 – 1961년 12월 22일 사망)
- Ermenegildo Florit (1962년 3월 9일 취임 – 1977년 6월 3일 은퇴)
- Giovanni Benelli (1977년 6월 3일 – 1982년 10월 26일 사망)
- Silvano Piovanelli (1983년 3월 18일 – 2001년 3월 21일 은퇴)
- Ennio Antonelli (2001년–2008년)[117]
- Giuseppe Betori (2008년 9월 8일 – 2024년 4월 18일 은퇴)
- Gherardo Gambelli (2024년 6월 24일 - 현재)
각주
[편집]- ↑ "Archdiocese of Firenze {Florence}" 보관됨 1 7월 2012 - 웨이백 머신 Catholic-Hierarchy.org. David M. Cheney. Retrieved 7 October 2016.[개인 출판 출처]
- ↑ "Metropolitan Archdiocese of Firenze" 보관됨 8 10월 2014 - 웨이백 머신 GCatholic.org. Gabriel Chow. Retrieved 7 October 2016.[개인 출판 출처]
- ↑ Villani places "Saint Frontinus" here, one of Jesus' seventy-two disciples and a follower of Saint Peter, in the time of Nero. Lanzoni, p. 577.
- ↑ Kehr, Italia pontificia III, p. 7.
- ↑ Cappelletti, Le chiese d'Italia XVI, p. 568.
- ↑ Cappelletti, p. 551. G. Mollat, Jean XXII: Lettres communes Tome quatrième (Paris: Fontemoing 1904), p. 165, no. 16165.
- ↑ Jean-Charles-Léonard Simonde Sismondi (1840). 《Histoire des républiques italiennes du moyen âge》 (프랑스어). Tome IV nouvelle판. Paris: Furne et ce. 86–90쪽. 2024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 ↑ Francis Aidan Gasquet (1908). 《The Black Death of 1348 and 1349》 seco판. London: G. Bell. 23–29쪽.
- ↑ Giovanni Boccaccio (1855). 《The Decameron: Or Ten Days' Entertainment of Boccaccio》. London: H. G. Bohn. 1–6쪽. 2024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 ↑ M. Zucchi, "The Misericordia of Florence," The Dublin Review 94 (1894), p. 339.
- ↑ Carl Joseph Hefele, Histoire des conciles Tome VII, deuxième partie (Paris: Letouzey 1916), pp. 987-1105.
- ↑ Ughelli, p. 7.
- ↑ Lupi, Mario (1784). Josephus Ronchetti, 편집. 《Codex diplomaticus civitatis, et ecclesiæ Bergomatis》 (라틴어). primum. Bergamo: Vincenzo Antoine. 1064–1065쪽. 2024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6일에 확인함. 'Bishops are to create a cloister next to their church, in which they serve God along with their clergy according to the rule of canons, and they should compel their priests not to leave the church and presume to live elsewhere.'
- ↑ Ughelli, p. 8. Ritzler-Sefrin, Hierarchia catholica VI, p. 217, note 1.
- ↑ Ughelli, p. 8.
- ↑ Benedictus XIV (1842). 〈Lib. I. caput secundum. De Synodi Dioecesanae utilitate〉. 《Benedicti XIV ... De Synodo dioecesana libri tredecim》 (라틴어). Tomus primus. Mechlin: Hanicq. 42–49쪽. 2024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일에 확인함. John Paul II, Constitutio Apostolica de Synodis Dioecesanis Agendis (19 March 1997): Acta Apostolicae Sedis 89 보관됨 15 2월 2020 - 웨이백 머신 (1997), pp. 706-727.
- ↑ Ughelli, III, p. 78.
- ↑ Ughelli, p. 92.
- ↑ Ughelli, p. 145. Cappelletti, p. 551.
- ↑ J. D. Mansi (ed.),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editio novissima, Tomus XXVI 보관됨 12 8월 2021 - 웨이백 머신 (Venice: A. Zatta 1784), pp. 23-74.
- ↑ 《Diocesana Synodus Florentiæ celebrata tertio non Maias. MDLXIX.》 (라틴어). Florentiae: apud Bartholomaeum Sermartellium. 1569. 2022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J. D. Mansi (ed.),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editio novissima, Tomus XXXVIbis (Venice: A. Zatta 1784), p. 989.
- ↑ Medici, Alessandro de' (1589). 《Decreta dioecesanae Florentinae synodi. Celebrata ab illustriss. ... Alexandro Medice S.R.E. cardinali & archiepiscopo Florentino. 3. Id. Iulii 1589》 (라틴어). Florentiae: apud Bartholomaeum Sermartellium. 2022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 ↑ J. D. Mansi (ed.),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editio novissima, Tomus XXXVIbis (Venice: A. Zatta 1784), p. 941.
- ↑ Marzi Medici, Alessandro (1619). 《Decreta synodi dioecesanae Florentinae. Habita in metropolitana ecclesia die 14. & 15. mensis Maii 1619》 (라틴어). Florentiae: apud Bartholomaeum Sermartellium, & fratres. 2022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 ↑ Marzi Medici, Alessandro (1623). 《Decreta synodi dioecesanae Florentinae, habita in metropolitana ecclesia die XVII mensis Maii 1623》 (라틴어). Florentiae: apud B. Sermartellium & fratres. 2022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 ↑ J. D. Mansi, Louis Petit, J. B. Martin (ed.),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editio novissima, Tomus XXXVIter (Arnhem & Leipzig: H. Welter 1924), p. 133.
- ↑ J. D. Mansi, Louis Petit, J. B. Martin (ed.), Tomus XXXVIter, p. 149.
- ↑ J. D. Mansi, Louis Petit, J. B. Martin (ed.), Tomus XXXVIter, p. 221.
- ↑ Niccolini, Pietro (1645). 《Decreta, et acta synodi dioecesanae Florentinae habitae in metropolitana ecclesia 17. mensis Maij anni 1645》 (라틴어). Florentiae: ex Typographia Archiepiscopali. 2022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 ↑ Nerli, Francesco (1656). 《Constitutiones synodi dioecesanæ Florentinæ habitæ in metropolitana ecclesia pridie nonas Aprilis anno 1656. Ab illustriss. et reuerendiss. d.d. Francisco Nerlio archiepiscopo》 (라틴어). Firenze: typis F. Honofrij, typographi archiepiscopalis. 2024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일에 확인함.
- ↑ Nerli, Francesco (1663). 《Constitutiones synodi dioecesanæ Florentinæ habitæ in metropolitana ecclesia 6. Kal. Octobr. 1663》 (라틴어). Firenze: ex officina Francisci Honuphrij Typographi Archiepiscopalis. 2022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일에 확인함.
- ↑ Nerli, Francesco (1666). 《Constitutiones synodi dioecesanæ Florentinæ habita in metropolitana ecclesia 9. Kalend. Octob. 1666》 (라틴어). Firenze: ex officina Francisci Honuphrij typographi archiepiscopalis. 2022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일에 확인함.
- ↑ Nerli, Francesco (iuniore) (1669). 《Constitutiones synodi dioecesanæ Florentinæ habitæ in metropolitana ecclesia pridie 7. Kalend. Octob. 1669》 (라틴어). Firenze: ex officina Francisci Honuphrij Typographi Archiepiscopalis. 2022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일에 확인함.
- ↑ Nerli, Francesco (iuniore) (1674). 《Constitutiones synodi dioecesanæ Florentinæ habitæ in metropolitana ecclesia pridie idus Septembris 1674》 (라틴어). Firenze: ex officina Francisci Honuphrij Typographi Archiepiscopalis. 2022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일에 확인함.
- ↑ Nerli, Francesco (1678). 《Constitutiones synodi dioecesanæ Florentinæ habita in metropolitana ecclesia pridie Kal. Septembris 1678》 (라틴어). Firenze: ex officina Francisci Honuphrij. 2022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일에 확인함.
- ↑ Nerli, Francesco (1681). 《Dioecesana synodus Florentina habita in ecclesia metropolitana die 27. Augusti anno salut. incarnat. 1681 sub auspiciis emin., ac reuer. d. d. Francisci cardin. Nerlii Dei, at apostholicæ sedis gratia archiep. Florentini》 (라틴어). Firenze: apud Vincentium Vangelisti archiepiscopalem typographum. 2022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일에 확인함.
- ↑ J. D. Mansi, Louis Petit, J. B. Martin (ed.), Tomus XXXVIter, p. 537.
- ↑ J. D. Mansi, Louis Petit, J. B. Martin (ed.), Tomus XXXVIter, p. 841.
- ↑ J. D. Mansi, Louis Petit, J. B. Martin (ed.), Tomus XXXVIter, p. 888.
- ↑ Martelli, Giuseppe (1830). 《Decreta synodi dioecesanae Florentinae celebratae in ecclesia metropolitana die 24. Septembris 1732》 (라틴어) secua판. Florentiae: in Archiepiscopali typographia ad Crucem Rubram. 2022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 ↑ Piovanelli, Silvano (1993). 《34. Sinodo della Chiesa fiorentina primo dopo il Concilio Vaticano 2. 1988-1992: documento conclusivo》 (이탈리아어). Firenze. 2022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일에 확인함.
- ↑ 펠릭스 추기경은 313년 10월 7일에 교황 멜키아데가 소집한 로마 시노드에 참석했었다. J. D. Mansi (ed.),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editio novissima, Tomus II 보관됨 11 10월 2015 - 웨이백 머신 (Florence: A. Zatta 1759), p. 437. Richa, p. 167. Lanzoni, p. 578.
- ↑ 주교 아말피의 라우렌티우스가 쓴 '성 제노비우스 전기' (1040년–1048년)가 Ughelli에 의해 출판되었다, Italia sacra III, pp. 11-18. Lanzoni, pp. 579-580.
- ↑ 마우리티우스는 훈족의 아틸라 그리고 동고트족의 토틸라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전해진다. Ughelli, pp. 19-20. Lanzoni, pp. 580-581: "In verità i cronisti italiani furono facili a far morire o tormentare i loro vescovi per opera del fiero Baduilla. Tuttavia non oso rigettare un vescovo Maurizio."
- ↑ 주교 레파라투스는 콘스탄티노플에 있던 로마 황제들인 콘스탄티누스, 이라클리오스, 티베리우스 등에게 보낸 교황 아가토의 시노드 서신 (Epistola III)에 서명했었다. Ughelli, p. 20. Cappelletti, p. 447. J.P. Migne, Patrologiae Latinae Tomus LXXXVII (Paris 1863), p. 1240.
- ↑ Speciosus: Gams, p. 747 column 2.
- ↑ 주교 토마스는 교황 자카리아가 소집한 743년 로마 시노드에 참석했었다. J. D. Mansi (ed.),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editio novissima, Tomus XII 보관됨 17 6월 2021 - 웨이백 머신 (Florence: A. Zatta 1766), p. 384c. Ughelli, pp. 21-22.
- ↑ 알리프란두스는 교황 에우제니오 2세가 소집한 로마 시노드에 참석했었다. Ughelli, p. 25. J. D. Mansi (ed.),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editio novissima, Tomus XIV 보관됨 11 10월 2015 - 웨이백 머신 (Venice: A. Zatta 1761), p. 999.
- ↑ Rodingus (Radingo, Ardingus): Ughelli, pp. 25-26. Cappelletti, pp. 452-453.
- ↑ Gerardus: J. D. Mansi (ed.),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editio novissima, Tomus XV (Venice: A. Zatta 1770), p. 34.
- ↑ 주교 페트루스는 교황 니콜라오 1세가 소집한 861년 11월 18일에 열린 로마 시노드에 참석했었다. Mansi (ed.), Tomus XV, p. 603.
- ↑ Andreas: Ughelli, pp. 26-27. Cappelletti, p. 460.
- ↑ 주교 그라술푸스는 898년 이탈리아 군주 람베르투스에게 영지를 수여받았다. 그는 교황 베네딕토 4세가 소집한, 904년 라테란궁에서 열린 로마 시노드에 참석했었다. J. D. Mansi (ed.),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editio novissima, Tomus XVIII (Venice: A. Zatta 1773), p. 241. Ughelli, pp. 27-28. Cappelletti, XVI, p. 460.
- ↑ Podo: Cappelletti, pp. 460-461.
- ↑ Raimbaldus: Ughelli, p. 28. Schwartz, p. 207.
- ↑ Sichelmus: Ughelli, p. 28-29. Schwartz, p. 207.
- ↑ 991년 5월, 주교 포도는 재산을 기부했다: Lami II, p. 786 column 1. Podio: Schwartz, pp. 207-208.
- ↑ Guido: Ughelli, p. 43. Schwartz, pp. 207-208.
- ↑ Alibrando: Ughelli, pp. 45-50. Lami, p. 42-43 (document of 27 April 1013). Schwartz, p. 209.
- ↑ 람베르투스는 라벤나에 있는 클라세의 산타폴리나레 수도원장이었다. Ughelli, pp. 50-53. Lami, I, p. 46. Schwartz, p. 209.
- ↑ Acto, Hacto, Atho. Ughelli, pp. 53-62. Lami, I, p. 48. Schwartz, p. 209.
- ↑ 게라르두스는 문서 상으로 1045년 1월 9일 처음 등장한다. 1058년 12월 6일, 시에나에서 열린 비공식 선출에서 게라르두스는 교황 니콜라오 2세로 선출되었다. 그 당시에 이미 교회법에 따라 선출된 교황 베네딕토 10세 (주교 벨레트리의 요한)가 로마에 있었다. 이 분열은 교회를 40년간 혼란시켰다. Schwartz, pp. 209-210.
- ↑ 파비아 출신에 페트루스는 부유했던 테우초 메차바르바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아들이 피렌체 주교로 선출되도록 성직 매매에 관여했을 수도 있다. 페트루스는 그 뒤에 교황보다는 신성로마황제의 승인을 받으려고 하면서 교황 알렉산데르 2세의 분노를 샀다. 1065년 2월 13일, 주교 페트루스는 누군가에게 봉토를 수여하였다: Lami II, p. 783 column 1. 1067년, 페르투스에 대한 항의들이 그 해 열린 로마 시노드에서 교황 알렉산데르에게 전해졌으며, 추기경 피에트로 다미아니가 이 항의를 처리하기 위해 피렌체로 파견됐다. 모든 사실들이 밝혀지고 난 뒤, 교황 알렉산데르는 주교 페트루스를 성직매매자로 선포하고 직위 해제시켰다. Kehr, p. 8, nos.3-6. Ughelli, pp. 72-77. Cappelletti, pp. 489-498. Schwartz, p. 210.
- ↑ Kehr, p. 8, no. 6, note; no. 7.
- ↑ Cappelletti, pp. 505-506.
- ↑ 라이네리우스는 1113년 7월 12일에 사망했다. Ughelli, pp. 77-89. Schwartz, p. 210.
- ↑ 고프레도는 백작 프라토의 알베르토의 아들이었다. 그는 1114년 9월 22일에 처음으로 확인되며, 11412년 11월 12일 이후에 사망했다. Lami, p. 74 column 1는 1146년 4월 1일자로 된 고테프레두스의 문서를 수록하고 있다.Ughelli, pp. 89-95. Lami, I, pp. 73-74. Schwartz, p. 210.
- ↑ Actius: Ughelli, pp. 94-95. Cappelletti, p. 517.
- ↑ 암브로시우스는 발롬브로사회 수도사이자 수도원장이었다. 1155년 11월 2일, 주교 암브로시우스가 봉토를 하사했다: Lami II, p. 763 column 2. 그는 1158년 5월 20일에 사망했다. Ughelli, pp. 95-97. Cappelletti, p. 517.
- ↑ 주교 율리우스는 1158년 11월 27일에 율리우스 주교는 기증을 허가하였다.: Lami II, p. 854. 1159년 8월 8일, 피렌체의 율리우스와 피스토리아의 트라키아 사이의 소송을 심리하도록 위임받은 추기경 헨리쿠스는 피사에서 심리한 끝에 피스토리아 주교의 손을 들어주었다. 주교 율리우스는 1161년 1월 6일 선물을 받았다: Lami I, p. 168. 1178년 1월 30일, 주교 율리우스는 민중들로부터 조세 납부에 대한 동의를 받았다: Lami II, p. 823 column 1. Kehr, p. 11 no. 22.
- ↑ 1183년 7월, 주교 베르나르두스는 토지를 하사했다: Lami II, p. 763 column 2. Ughelli, pp. 101-103. Cappelletti, p. 518.
- ↑ 파가누스는 Ughelli의 문서에서 누락됐다. Cappelletti, p. 518.
- ↑ Petrus: Ughelli, pp. 103-105. Cappelletti, p. 518. Eubel, Hierarchia catholica I, p. 250, with note 1.
- ↑ 주교 아르딘구스는 마르소피누스라는 주교 대리를 두었는데, 그는 1241년 6월 8일에 특정 재산의 소유권을 얻었다. Lami II, p. 721.
- ↑ Joannes Mangiadori: Eubel I, p. 250.
- ↑ 피렌체 대성당의 사제단을 통해 선출식이 이뤄졌고, 논란의 결과를 낳았다: 일부는 볼로냐의 스키아타 델리 우발디니를 지지했고, 나머지는 로타리오 델라 토사를 지지했었다. 이 문제는 로마에서도 언급되었고, 양 측은 교황 호노리오 4세에게 자신들의 주장을 거둬들였다. 교황은 로마의 산타 사비나 수도원의 수도원장을 맡고 있던 페루자의 야코부스를 주교로 택했고, 1286년 5월 28일에 선임되었으며 6월 29일 피렌체에 공식 입성하였다. 그는 1286년 8월 16일에 사망했다. Ughelli, p. 127. Cappelletti, pp. 534-540. Eubel I, p. 250.
- ↑ 피렌체 대성당 사제단의 참사회원이던 안드레아는 사제단을 통해 주교로 선출되었고, 1286년 12월 29일 교황 호노리오 4세에게 승인되었다. 1295년 9월 13일, 안드레아 주교는 교황 보니파시오 8세에 의해 비첸차 교구로 전근을 갔다. 그는 1296년 4월 28일에 사망했다. Eubel I, pp. 250, 526.
- ↑ Francesco Monaldeschi: Lami I, p. 168 column 1 (27 June 1299).
- ↑ 프란치스쿠스는 1341년 10월 21일에 사망했다. Eubel I, p. 250.
- ↑ 아차이올리는 아퀼라의 주교이었다 (1328년–1342년). 그는 교황 클레멘스 6세를 통해 1342년 6월 26일 피렌체 주교로 임명됐다. 1355년 3월 18일에 아차이올리는 교황 인노첸시오 6세를 통해 몬테카시노 주교로 임명됐다. 그는 1357년 10월 4일에 사망했다. Eubel I, pp. 98, 169, 250.
- ↑ 프란체스코는 교황 인노첸시오 6세를 통해 1356년 12월 23일 추기경으로 임명되었으며, 내사원장 (Major Penitentiarius)으로도 임명됐다. 그는 1361년 8월 25일 또는 9월 4일에 아비뇽에서 역병으로 사망했다. Cappelletti, pp. 557-558. Eubel I, pp. 19 no. 3; 250.
- ↑ 코르시니는 다마소 인 산 로렌초의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
- ↑ 리카솔리는 과거 아베르사의 주교이었다. 그는 1370년 6월 19일 교황 우르바노 5세에 의해 피렌체 교구로 전근을 갔다. 그는 1383년 2월 9일 파엔차 교구로 보내졌다. 1391년에는 아레초 교구로 갔다. Eubel I, pp. 246, 250.
- ↑ 아차이올리는 1384년 12월 17일 교황 우르바노 6세에 의해 산 로렌초 인 다마소의 추기경으로 임명됐다. 그는 1408년 5월 31일 피사에서 사망했다. Eubel I, pp. 24 no. 36; 250.
- ↑ Bartolomeo: Eubel I, p. 250.
- ↑ Onofrio: Eubel I, p. 250.
- ↑ 아디마리는 교황 보니파시오 11세에 의해 1400년 12월 13일 피렌체 주교로 지명됐다. 1401년 11월 16일, 아디마리는 타란토 대주교로 임명됐다. Eubel I, p. 250.
- ↑ 테라모 출신의 팔라디니는 모노폴리 주교이었다 (1391–1401). 그는 교황 보니파시오 9세에 의해 1401년 11월 16일에 타란토 대주교구로 옮겨졌다 (1401년 3월 24일에 임명). 그는 대립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1410년 7월 18일 스폴레토 교구로 옮겨졌다. 1417년에 사망했다. Eubel I, pp. 251, 347, 461, 473.
- ↑ 차바렐라는 파도바 대성당의 수석사제이었다. 그는 1410년 7월 18일 대립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피렌체 주교로 임명됐다. 그는 1411년 6월 6일 추기경으로 지명됐고, 관리자로서 피렌체 교구에 남아 있는 것이 허용되었다. 그는 1411년 6월 17일 관리직에 사임했다. 1417년 9월 26일 콘스탄츠 공의회 중 사망했다. Eubel I, pp. 33 no. 15; 251.
- ↑ 코르시니는 바이외 교구 내 대부제이었다. 그는 대립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1411년 7월 16일에 피렌체 주교로 임명됐다. 그는 1434년 3월 18일에 사망했다. Eubel I, p. 251 with note 12.
- ↑ 비텔레스키는 이미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라는 직위를 갖고 있었다가 교황 에우제니오 4세에 의해 1435년 10월 12일에 피렌체 주교로 임명됐다. 그는 1437년 8월 9일 추기경이 되었다. 그는 루도비코 스카람피와 교구를 교환하고 트로기르(트라우) 관구의 관리자로 임명되었다. 1440년 4월 2일에 사망했다. Eubel, Hierarchia catholica II, pp. 7 no. 3; 154, 253.
- ↑ 1437년 8월 6일 그는 트라우 (트라구리엔시스) 관구를 주교 비텔레스키의 피렌체 교구와 교환했다. 1439년 12월 18일 그는 교황 에우제니오 4세에 의해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로 임명됐다. 1465년 3월 22일에 사망했다. Eubel II, pp. 92, 154, 253.
- ↑ 차바렐라는 교회법과 세속법 양쪽 박사 학위를 갖고 있었고, 최고 서기관 (protonotarius apostolicus)이었다. 그는 파도바 대성당의 수석사제를 지냈고, 그 뒤에는 달마티아의 스팔라토 (스플리트) 대주교이기도 했다 (1428년–1439년). 그는 1439년 12월 18일 교황 에우제니오 4세에 의해 피렌체 교구로 보내졌다. 1445년 12월 21일에 사망했다. Eubel I, p. 460; II, pp. 154.
- ↑ Antonino: Eubel II, pp. 154.
- ↑ BonarliEubel II, pp. 154.
- ↑ Diotisalvi: Eubel II, pp. 154.
- ↑ Riario: Eubel II, pp. 154.
- ↑ Eubel II, pp. 154; III, p. 197.
- ↑ Pazzi: Eubel, Hierarchia catholica III, p. 197.
- ↑ 1523년 11월 19일에 메디치는 교황으로 선출되었고, 클레멘스 7세라는 이름을 취했다. Eubel III, pp. 18 with notes 1-3; 197 with note 3.
- ↑ Ridolfi: Eubel III, p. 197.
- ↑ Buondelmonti: Eubel III, p. 197.
- ↑ Ridolfi: Eubel III, p. 197.
- ↑ Altoviti: Eubel III, p. 197.
- ↑ 1605년 4월 1일 메디치는 교황으로 선출되었고, 레오 11세라는 이름을 취했다. Eubel III, p. 197.
- ↑ 교회법과 세속법 양쪽 박사 학위를 갖고 있던 마르치는 피에솔레의 주교를 지냈었다 (1596년–1605년). 그는 1605년 6월 27일 교황 바오로 5세에 의해 피렌체 교구로 보내졌다. 1630년 8월 13일에 사망했다. Gauchat, Hierarchia catholica IV, pp. 187, 188.
- ↑ bardi: Gauchat, p. 188.
- ↑ Niccolini: Gauchat, p. 188.
- ↑ Gauchat, p. 188. Ritzler-Sefrin, Hierarchia catholica V, p. 203, note 2.
- ↑ Nerli: Ritzler-Sefrin, Hierarchia catholica V, p. 203 with note 3.
- ↑ Morigia; Ritzler-Sefrin, V, p. 203 with note 4.
- ↑ Strozzi: Ritzler-Sefrin, Hierarchia catholica V, p. 203 with note 5.
- ↑ Gherardesca; Ritzler-Sefrin, p. 203 with note 6.
- ↑ Martelli: Ritzler-Sefrin, p. 203 with note 7.
- ↑ Incontri: Ritzler-Sefrin, Hierarchia catholica VI, p. 217 with note 2.
- ↑ Martini: Ritzler-Sefrin, Hierarchia catholica VI, p. 217 with note 3.
- ↑ 안토넬리는 구비오의 주교 (1982년–88년), 페루자-치타델라피에베의 대주교 (1988년–95년)를 지냈고, 그 다음에는 이탈리아 주교회의의 사무총장 (1995년-2001년)이었다. 그는 2001년 3월 21일에 피렌체 대주교로 지명되었다. On 7 June 2008년 6월 7일 안토넬리 추기경은 교황청 가정평의회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2012년 6월 26일에 은퇴하였다.
참고 문헌
[편집]주교 관련 문헌
[편집]- Gams, Pius Bonifatius (1873). 《Series episcoporum Ecclesiae catholicae: quotquot innotuerunt a beato Petro apostolo》 (라틴어). Ratisbon: Typis et Sumptibus Georgii Josephi Manz. 747–748쪽.
- Eubel, Conradus, 편집. (1913). 《Hierarchia catholica》 (라틴어). Tomus 1 seco판. Münster: Libreria Regensbergiana.
- Eubel, Conradus, 편집. (1914). 《Hierarchia catholica》 (라틴어). Tomus 2 seco판. Münster: Libreria Regensbergiana.
- Eubel, Conradus; Gulik, Guilelmus, 편집. (1923). 《Hierarchia catholica》 (라틴어). Tomus 3 seco판. Münster: Libreria Regensbergiana.
- Gauchat, Patritius (Patrice) (1935). 《Hierarchia catholica》. Tomus IV (1592-1667). Münster: Libraria Regensbergiana.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in Latin)
- Ritzler, Remigius; Sefrin, Pirminus (1952). 《Hierarchia catholica medii et recentis aevi V (1667-1730)》. Patavii: Messagero di S. Antonio.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 Ritzler, Remigius; Sefrin, Pirminus (1958). 《Hierarchia catholica medii et recentis aevi》. Tomus VI (1730-1799). Patavii: Messagero di S. Antonio.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in Latin)
- Ritzler, Remigius; Sefrin, Pirminus (1968). 《Hierarchia Catholica medii et recentioris aevi sive summorum pontificum, S. R. E. cardinalium, ecclesiarum antistitum series... A pontificatu Pii PP. VII (1800) usque ad pontificatum Gregorii PP. XVI (1846)》 (라틴어) VII. Monasterii: Libr. Regensburgiana.
- Remigius Ritzler; Pirminus Sefrin (1978). 《Hierarchia catholica Medii et recentioris aevi... A Pontificatu PII PP. IX (1846) usque ad Pontificatum Leonis PP. XIII (1903)》 (라틴어) VIII. Il Messaggero di S. Antonio.
- Pięta, Zenon (2002). 《Hierarchia catholica medii et recentioris aevi... A pontificatu Pii PP. X (1903) usque ad pontificatum Benedictii PP. XV (1922)》 (라틴어) IX. Padua: Messagero di San Antonio. ISBN 978-88-250-1000-8.
연구 자료
[편집]- Barletti, Emanuele (1989). 《Il Palazzo arcivescovile di Firenze: vicende architettoniche dal 1533 al 1895》 (이탈리아어). Firenze: Il Torchio.
- Caponi, Matteo (2009). "Una diocesi in guerra: Firenze (1914-1918)." Studi Storici vol. 50, no. 1, 2009, pp. 231–255. JSTOR, www.jstor.org/stable/25677430.
- Cerracchini, Luca Giuseppe (1716). 《Cronologia sacra de' vescovi e arcivescovi di Firenze》 (이탈리아어). Firenze: Jacopo Guiducci.
- Cappelletti, Giuseppe (1861). 《Le chiese d'Italia dalla loro origine sino ai nostri giorni》 (이탈리아어). Tomo decimosesto (16). Venice: G. Antonelli. 409–712쪽.
- Faini, Enrico (2013), "I vescovi dimenticati. Memoria e oblio dei vescovi fiorentini e fiesolani dell'età pre-gregoriana," in: Annali di Storia di Firenze VIII (2013), pp. 11–49. (이탈리아어)
- Kehr, Paul Fridolin (1908). 《Italia pontificia》 (라틴어). Tomus Tertius: Etruria. Berlin: Weidmann. 7–72쪽.
- Lami, Giovanni (1758). 《Sanctae Ecclesiae Florentinae Monumenta: Quibus Notitiae Innumerae Ad Omnigenam Etruriae Aliarumque Regionum Historiam Spectantes Continentur》 (라틴어). Tomus I. Florence: Salutata. Lami, Giovanni (1758). 《Tomus II》. Lami, Giovanni (1758). 《Tomus III》.
- Lanzoni, Francesco (1927). Le diocesi d'Italia dalle origini al principio del secolo VII (an. 604), Faenza 1927, pp. 573–584. (이탈리아어)
- Richa, Giuseppe (1757). 《Notizie istoriche delle chiese fiorentine divise ne'suoi quartieri》 (이탈리아어). Tomo sesto (6). Florence: Viviani. 264–360쪽.
- Ristori, G. B. (1896). "Alcune notizie sul palazzo del vescovo Fiorentino" in: 《Archivio storico italiano》 (이탈리아어). XVIII. Firenze: Leo S. Olschki. 1896. 58–65쪽.
- Schwartz, Gerhard (1907). Die Besetzung der Bistümer Reichsitaliens unter den sächsischen und salischen Kaisern: mit den Listen der Bischöfe, 951-1122. Leipzig: B.G. Teubner. pp. 207–210. (독일어)
- Ughelli, Ferdinando; Coleti, Niccolò (1718). 《Italia sacra sive De episcopis Italiæ, et insularum adjacentium》 (라틴어). Tomus tertius (3). Venice: apud Sebastianum Coleti. 3–194쪽.
외부 링크
[편집]- GCatholic.org
- Catholic Hierarchy
- Davies, Gerald Stanley (1916). 《Renascence: The Sculptured Tombs of the Fifteenth Century in Rome, with Chapters on the Previous Centuries from 1100》. E. P. D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