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티프테리기우스
![]() | |
---|---|
![]()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어룡목 |
과: | 플라티프테리기우스과 |
아과: | 플라티프테리기우스아과 |
속: | 플라티프테리기우스속 |
종: | 플라티프테리기우스 |
플라티프테리기우스(Platypterygius)는 중생대 백악기에 여러 대륙들의 바다에서 서식했던 어룡이다.[1][2] 몸길이는 대락 5 ~ 7 미터 (16 ~ 23 ft)일 것으로 추정된다.
발견
[편집]

플라테프테리기우스 화석은 1922년 독일 하노버 주변에서 발견되었다.[3] 이후 페르디난트 브로일리(Ferdinand Broilly)에 의해 이크티오사우루스로 기술되었으나, 이를 뒷받침할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2차 세계대전 중에 화석 표본이 파괴되어 복원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이후 학자들에 의해 플라테프테리기우스라는 종으로 명명되었다.[4][5]
각주
[편집]- ↑ Kear, Benjamin P.; Boles, Walter E.; Smith, Elizabeth T. (2003). “Unusual gut contents in a Cretaceous ichthyosaur”.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70 (Suppl 2): S206–S208. doi:10.1098/rsbl.2003.0050. PMC 1809966. PMID 14667384.
- ↑ Maria Zammit, Rachel M. Norris & Benjamin P. Kear (2010). “The Australian Cretaceous ichthyosaur Platypterygius australis: a description and review of postcranial remain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0 (6): 1726–1735. Bibcode:2010JVPal..30.1726Z. doi:10.1080/02724634.2010.521930. S2CID 85089080.
- ↑ Zammit, M. (2012). “Cretaceous Ichthyosaurs: Dwindling Diversity, or the Empire Strikes Back?”. 《Geosciences》 2 (2): 187–210. Bibcode:2012Geosc...2...11Z. doi:10.3390/geosciences2020011.
- ↑ Fischer, Valentin; Arkhangelsky, Maxim S.; Naish, Darren; Stenshin, Ilya M.; Uspensky, Gleb N.; Godefroit, Pascal (2014). “Simbirskiasaurus and Pervushovisaurus reassessed: implications for the taxonomy and cranial osteology of Cretaceous platypterygiine ichthyosaur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71 (4): 822–841. doi:10.1111/zoj.12158.
- ↑ 〈Mesozoic marine reptiles of Russia and other former Soviet Republics〉. 《The Age of Dinosaurs in Russia and Mongolia》.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87–210쪽.
![]() | 이 글은 파충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