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테오사우루스류
![]() | ||
---|---|---|
![]() 플라테오사우루스의 화석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룡강 | |
상목: | 공룡상목 | |
목: | 용반목 | |
아목: | 용각아목 | |
(미분류): | 플라테오사우루스류 | |
학명이명 | ||
Allophagi Jaekel, 1914 | ||
하위 항목 | ||
|
플라테오사우루스류(Plateosauria)는 용각아목 하위의 분류군으로, 트라이아스기 후기부터 백악기 후기까지 서식했다. 처음 분류된 것은 1913년의 일로, 본격적으로 고생물학자들이 사용하게 된 것은 1980년대부터이다.
분류
[편집]1998년에 폴 세레노는 플라테오사우루스류를 플라테오사우루스와 마소스폰딜루스 및 그로부터 진화한 공룡들의 조상으로 규정했다.[1] 2004년에 Peter Galton과 Paul Upchurch는 플라테오사우루스류를 원시 용각류에 속하는, 플라테오사우루스와 징샤노사우루스 및 그로부터 진화한 공룡들의 조상으로 규정했다.[2]
21세기의 연구에서 원시 용각류는 별도로 분류되지 않고 플라테오사우루스과의 동물이명(synonym)으로 정의된다.[3]
계통 분류
[편집]아래의 분지도는 Cecilia Apaldetti 외의 2011년 연구를 따랐다.[3]
플라테오사우루스류 |
| |||||||||||||||||||||||||||||||||||||||||||||||||||||||||||||||||||||||||||||||||||||||||||||||||||||||||||||||
아래의 분지도는 Fernando E. Novas 외의 2011년 연구를 따랐다.[4]
플라테오사우루스류 |
| ||||||||||||||||||||||||||||||||||||||||||||||||||||||||||||||||||||||||||||||
각주
[편집]- ↑ Sereno, P.C. (1998). “A rationale for phylogenetic definitions, with applications to the higher-level taxonomy of Dinosauria”. 《Neues Jahrbuch fur Geologie und Palaontologie: Abhandlungen》 210: 41–83.
- ↑ Galton, P.M & Upchurch, P. (2004). “Prosauropoda”. 《In D. B. Weishampel, P. Dodson, & H. Osmólska (eds.), The Dinosauria (second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32–258.
- ↑ 가 나 Cecilia Apaldetti, Ricardo N. Martinez, Oscar A. Alcober and Diego Pol (2011). “A New Basal Sauropodomorph (Dinosauria: Saurischia) from Quebrada del Barro Formation (Marayes-El Carrizal Basin), Northwestern Argentina”. 《PLoS ONE》 6 (11): e26964. Bibcode:2011PLoSO...626964A. doi:10.1371/journal.pone.0026964. PMC 3212523. PMID 22096511.
- ↑ Fernando E. Novas, Martin D. Ezcurra, Sankar Chatterjee and T. S. Kutty (2011). “New dinosaur species from the Upper Triassic Upper Maleri and Lower Dharmaram formations of central India”.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01 (3-4): 333–349. doi:10.1017/S1755691011020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