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드니솔론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17,21-dihydroxypregna-1,4-diene-3,11,20-trion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53-03-2 |
ATC 코드 | A07EA03 H02AB07 |
PubChem | 5865 |
드러그뱅크 | DB00635 |
ChemSpider | 5656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21H26O5 |
분자량 | 358.428 g/mol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물리적 성질 | |
녹는점 | 230 °C (446 °F)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70%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prednisolone (liver) |
생물학적 반감기 | 3 to 4 hours in adults. 1 to 2 hours in children[1] |
배출 | Renal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A(오스트레일리아)C(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By mouth |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은 프레드니손의 활성 대사물이다. 매우 떫은 맛 때문에 프레드니솔론은 소아과에선 처방을 삼가고 있다.
쓰임새
[편집]당질코르티코이드와 약한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성질을 띠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로서 광범위한 염증과 천식, 류머티즘성 관절염, 궤양성대장염, 크론병, 다발성 경화증, 군집성 두통, 전신 홍반성 낭창 등의 자가 면역 질환 치료에 쓰인다. 또한 장기 이식 후 면역 억제제로 쓰이기도 한다. 프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 현탁성 안약은 살균된 코르티코 스테로이드로서 눈의 알레르기성 반응, 부풀어오름, 가려움, 붉어짐증 등을 감소시킨다.
부작용
[편집]쿠싱증후군, 여드름, 변비, 기분 변화 같은 부작용이 있다. 눈에 투약되었을 경우에는 수정체 피막하 백내장, 울혈유두, 녹내장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각주
[편집]- ↑ Pickup ME (1979).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prednisone and prednisolone”. 《Clinical Pharmacokinetics》 4 (2): 111–28. doi:10.2165/00003088-197904020-00004. PMID 378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