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천 노씨 대종가
![]() | |
![]() | |
종목 | 문화재자료 (구)제343호 (2004년 3월 18일 지정) |
---|---|
수량 | 6동 |
시대 | 조선시대 |
위치 | |
주소 |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길 44-11 (개평리) |
좌표 | 북위 35° 33′ 56″ 동경 127° 46′ 9″ / 북위 35.56556° 동경 127.76917°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풍천 노씨 대종가(豊川 盧氏 大宗家)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2004년 3월 18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343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편집]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전·후 퇴를 두었으며 5량 구조에 합각지붕 형식이다. 종도리에 공탄(孔誕) 2376(二三七六)년이라는 기록을 통해 조선 순조 24년(1824)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약 70여년 전 중수하였다고 한다.
정면 기단을 약 80cm 정도의 높이로 조성하고 그 위에 방형으로 조성한 주좌를 놓고 약간의 민흘림을 두어 기둥을 세웠다.
안채의 종도리에는 공탄(孔誕) 2376(二三七六)년(1824)이라는 기록이 있어 건립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으며 전·후 퇴를 사용한 것이나 간결한 가구기법, 장식적 기법 등 조선 후기 건축양식과 기법을 볼 수 있는 건물로 학술적 가치가 있으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현지 안내문
[편집]풍천 노씨 대종가는 세조 때의 청백리 송재 노숙동(松齊 盧淑仝, 1403~1463)이 경남 창원에서 처가(일두 정여창의 고모집 사위)인 이곳에 자리를 잡고 이사를 오면서 지은 집으로 70여년 전에 재목을 대부분 그대로 사용하여 중수하였다.[1]
건물의 배치는 남부지방의 특징인 개방형으로서 사대부 집답게 "ㅁ"자형으로 배치가 되었고 곡간은 초가였으나, 기와로 보충하였다.[1]
노숙동은 풍천 노씨로서는 처음으로 함양에 들어와 살게 된 중시조이며 세종 때 벼슬을 시작한 이후 중국의 주나라에서 원나라에 이르기까지 역사와 기자조선에서 고려시대까지 역사 등 국가의 흥망성쇠와 군사, 교육, 외환 등 윤리와 도덕에 바탕을 둔 사실들을 엮은 《치평요람》을 지어 왕에게 올렸으며 고려사 저술에 참여하였다.[1]
호조예서참판 등 수많은 벼슬을 지내면서도 조금도 민폐를 끼치지 않아 세조 때 청백리로 녹선되었고 상호군으로 보하여졌으며 1701년 숙종 때 함양의 도곡서원에 재향되었다.[1]
각주
[편집]참고 자료
[편집]- 풍천 노씨 대종가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