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가의 기법

바흐의 초상화로 추정되는 그림. 1750년 작.
제1판 타이틀 페이지 (1751년)

푸가의 기법 바흐 작품 번호 1080》(독일어: Die Kunst der Fuge)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1748~1749년 무렵부터 작곡을 시작해 1750년 세상을 떠나면서 미완성으로 남겨진 작품이다.[1] 14곡의 푸가와 4곡의 카논으로 이루어진 작품으로, 언뜻 대위법의 교과서처럼 생각되지만, 그 바탕에는 심원한 예술성이 깔려 있어, 바흐 최고 걸작 중 하나로 꼽힌다.

전곡은 하나의 기본 주제와 그 변형에 기초해서 만들어졌으며, 푸가의 작곡 기법을 집약한, 대위법의 총결산이라고 할 만한 작품이다. 바흐의 안질(결막염)이 악화되었기에 최종 푸가인 제239마디에서 중단되어 미완성인 채로 후세에 전해졌다. 대다수 곡에는 악기를 지정하지 않은 데다,[2] 매우 추상적이며 난해한 음악이어서 20세기 초까지도 연주가 불가능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었다. 작곡 후 180년을 경과한 1927년 볼프강 그래저라이프치히에서 처음으로 연주했고, 이후 관현악 곡으로 편곡되어 유명해졌다.[1]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양성원, 김민형 (2024). 《내일 음악이 사라진다면》. 김영사. 23쪽. 
  2. 하프시코드, 오르간, 포르테피아노, 피아노 같은 건반악기를 비롯해서 클래식 기타, 피아노 이중주, 현악 사중주, 현악 합주단, 관현악곡, 전자음악, 금관 5중주, 색소폰 4중주, 리코더 4중주 등 다양한 편성의 편곡들이 녹음되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