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의 탐험대·어둠의 탐험대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의 탐험대·어둠의 탐험대는 2007년 9월13일에 발매한 닌텐도 게임이다.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의 탐험대·어둠의 탐험대 | |
---|---|
개발사 | 춘소프트 |
배급사 | 주식회사 포켓몬 |
시리즈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 |
플랫폼 | 닌텐도 DS, 닌텐도 DS Lite, 닌텐도 DSi |
출시일 | ![]() ![]() |
장르 | 던전 RPG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원작 | 포켓몬스터 |
미디어 | 512 Mbit DS 카드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의 탐험대》(일본어: ポケモン
전작과 달라진 점 해골팀(주벳,또가스,스컹탱크)이 추가 됐다. 나무지기의 진화형(나무돌이)이 추가됐다. 푸크린 기지가 추가됐다. 수배자나 도둑 사진이 실린 간판을 볼 수 있다. 야느와르몽과 깜까미들이 추가 되었다 주민들(포켓몬)중 일부가 사라지고 일부가 추가 되었다.
하늘의 탐험대
[편집]2009년 4월 18일에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를 발매한다고 정식 발표했다. 쉐이미, 기라티나의 오리진 폼, 로토무의 가전제품 폼이 추가되었다. 총 합쳐서 492종이다. 될 수 있는 포켓몬에 이브이가 다시 추가되고, 코코리, 꼬링크, 리오르, 식스테일이 추가되어 총 21종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파랑 구조대·빨강 구조대가 1탄,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의 탐험대·어둠의 탐험대는 2탄,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는 3탄이 되는 셈이다. 여기서는 모든 스타팅 포켓몬을 파트너로 삼을 수 있으며 나옹과 먹고자는 동료로만 삼을 수 있다. 전작인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의 탐험대·어둠의 탐험대와 거의 같은 구조이나 얼루기 카페, 쉐이미 빌리지, 스페셜 애피소드 등이 추가되어 더욱 풍성해졌다.
평가
[편집]평가 | ||||||||||||||||||||||||||
---|---|---|---|---|---|---|---|---|---|---|---|---|---|---|---|---|---|---|---|---|---|---|---|---|---|---|
|
각주
[편집]- ↑ “Poke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Time for DS Reviews, Ratings, Credits, and More at Metacritic”. 《Metacritic》.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 “Poke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Darkness for DS Reviews, Ratings, Credits, and More at Metacritic”. 《Metacritic》.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 “Poke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Sky for DS Reviews”. Metacritic. 2020년 3월 10일에 확인함.
- ↑ “Poke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Time”. 《GameRankings》. 2019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5일에 확인함.
- ↑ “Poke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Darkness”. 《GameRankings》. 2019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5일에 확인함.
- ↑ “Poke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Sky”. 《GameRankings》. 2019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5일에 확인함.
- ↑ Dave McCarthy (2008년 7월 4일). “Poké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Time/Explorers of Darkness”. 《Eurogamer》.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 “Famitsu review scores”. 《Nintendo Everything》. 2009년 4월 8일. 2020년 4월 6일에 확인함.
- ↑ Austin Shau (2008년 4월 29일). “Poke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Time Review”. 《GameSpot》.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 Gerald Villoria (2008년 4월 23일). “GameSpy: Poke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Darkness - Page 1”. GameSpy.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 Raymond Padilla (2008년 3월 1일). “Poke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Darkness/Time review”. 《GamesRadar+》.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 Craig Harris (2008년 4월 22일). “Poke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Darkness Review”. 《IGN》. News Corporation. 2012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3일에 확인함.
- ↑ “MetaCritic reviews for Pokémon Mystery Dungeon: Explorers of Time, sorted by publisher”. Nintendo Power. 2017년 12월 3일에 확인함.
The strength of the first "Pokemon Mystery Dungeon" was its in-depth story, and that's true of the second pair of titles as well. [June 2008, p.86]
외부 링크
[편집]- (일본어) 일본어 공식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