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타필락스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진달래목 |
과: | 펜타필락스과 |
속: | 펜타필락스속 (Pentaphylax) Engl. |
종: | 펜타필락스 (P. euryoides) Gardner & Champ. |
학명 | |
Pentaphylax euryoides | |
Gardner & Champ. |
펜타필락스(Pentaphylax euryoides)는 진달래목 펜타필락스과 펜타필락스속(Pentaphylax)에 속하는 속씨식물의 하나이다. 관목 또는 작은 나무이다. 줄기에 홑잎이 어긋나기 형태로 달리는 상록수이다. 남중국부터 말레이 반도와 수마트라 섬까지의 열대 지역에서 자생한다.
분류
[편집]과거에는 펜타필락스속을 펜타필락스과의 유일속으로 분류하였으며, 꽃밥과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밑씨의 구조에 기초하여 차나무과(Theaceae) 또는 후피향나무과(Ternstroemiaceae)에서 제외한다. 그러나 일부는 분자생물학적 데이터와 만곡 형태의 배아(胚芽) 구조(후피향나무과의 전형)에 근거하여 후피향나무과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1][2]
이 종(種)과 과(科)의 분류학적 위치는 현재 불확실하며, 그 이유는 대부분 정보의 부족때문이다. 식물 분류 체계마다 다르게 분류하고 있다.
- 쇼르타(Shorta) - 쌍떡잎식물아강 (Dicotyledonae); Crassinucelli (?).
- 달그렌(Dahlgren) 분류 체계 - 차나무상목 (Theiflorae) ?, 차나무목 ?.
-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 - 오아과아강 (Dilleniidae)의 차나무목.
- 속씨식물 계통분류학 그룹(1998년) - 가장 상위 레벨의 분류 위치가 불확실한 과.[3]
- 차나무과에 속하는 후피향나무아과(Ternstroemioideae)로 분류.[4]
펜타필락스속은 1종[4][5] 또는 2종[3] 을 포함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각주
[편집]- ↑ Arne A. Anderberg, Catarina Rydin and Mari Källersjö (2002).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order Ericales s.l.: analyses of molecular data from five genes from the plastid and mitochondrial genom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89 (4): 677–687. doi:10.3732/ajb.89.4.677.
- ↑ Bremer, B; Bremer, K; Heidari, N; Erixon, P; Olmstead, RG; Anderberg, AA; Källersjö, M; Barkhordarian, E (2002). “Phylogenetics of asterids based on 3 coding and 3 non-coding chloroplast DNA markers and the utility of non-coding DNA at higher taxonomic levels” (PDF).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24 (2): 274. doi:10.1016/S1055-7903(02)00240-3. PMID 12144762.
- ↑ 가 나 Pentaphylacaceae Engl. 보관됨 2012-03-30 - 웨이백 머신, 속씨식물 계통분류학 웹사이트
- ↑ 가 나 “Pentaphylacaceae”. 《Flora of China》.
- ↑ “Pentaphylax euryoides”. 《Flora of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