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리틸레족
![]() | ||
---|---|---|
![]() Perityle emoryi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
(미분류): | 국화군 | |
목: | 국화목 | |
과: | 국화과 | |
아과: | 국화아과 | |
족: | 페리틸레족 Perityleae B.G.Baldwin, 2002 | |
모식종 | ||
Perityle Benth. | ||
[출처 필요] | ||
속 | ||
|
페리틸레족(perityle族, 학명: Perityleae 페리틸레아이[*])은 국화아과의 족이다.[1]
하위 분류
[편집]
|
|
|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5]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6][7][8]
국화아과 |
| |||||||||||||||||||||||||||||||||||||||||||||||||||||||||||||||
각주
[편집]- ↑ Baldwin, Bruce Gregg. Systematic Botany 27(1): 192–193. 2002. doi:10.1043/0363-6445-27.1.161
- ↑ Panero, José L. & Baldwin, Bruce G..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8: 508. 2007[2006].
- ↑ Robinson, Harold Ernest. Phytologia 46(2): 120. 1980.
- ↑ Rydberg, Per Axel. In: Britton, Nathaniel Lord. North American Flora 34(1): 11. 1914.
- ↑ Panero, J.L.; Funk, V.A. (2002).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Proc. Biol. Soc. Wash.》 115: 909–922.
- ↑ Panéro, José J.; Freire, Susana E.; Ariza Espinar, Luis; Crozier, Bonnie S.; Barboza, Gloria E.; Cantero, Juan J. (2014). “Resolution of deep nodes yields an improved backbone phylogeny and a new basal lineage to study early evolution of Asteracea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80 (1): 43–53. doi:10.1016/j.ympev.2014.07.012. 2017년 1월 3일에 확인함.
- ↑ Zhi-Xi Fu; Bo-Han Jiao; Bao Nie; Tiangang Gao (2016). “A comprehensive generic‐level phylogeny of the sunflower family: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Chinese Asteraceae”.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4 (4): 416–437. doi:10.1111/jse.12216.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 Funk, Vicki A.; Fragman-Sapir, Ori (2009). 〈22. Gymnarrheneae (Gymnarrhenoideae)〉. V.A. Funk; A. Susanna; T. Stuessy; R. Bayer.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PDF). Vienna: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327–332쪽. 2016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국화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