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742년부터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만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손자 혜공왕이 771년에 완성했다. 봉덕사에 달았다가 조선시대인 1460년 수해로 봉덕사가 없어지자 영묘사(靈妙寺)로 옮겼으며, 다시 봉황대(鳳凰臺) 아래에 종각을 짓고 보존하다가 1915년 8월 경주고적보존회에 의해 구(舊) 경주박물관으로 옮겨졌다. 1975년 5월 국립경주박물관이 신축됨에 따라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구 저작권법(법률 제3916호, 시행 1987.7.1.) 부칙 제2조 제1항 및 구 저작권법(법률 제432호, 시행 1957.1.28.) 제35조 제1항, 제36조, 제37조, 제39조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저작권이 있는 예술 작품을 복제하는 사진과 연구 또는 예술 작품에 삽입되고 해당 작품에 포함할 목적으로만 제작된 사진을 제외하고, 1977년 1월 1일 전에 원화로 발행되거나 제작된 사진과 유사한 형태의 사진저작물 또는 기타 저작물은 저작재산권이 소멸되었습니다.
이 저작물은 저작자의 사망일 및 소속 관할권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퍼블릭 도메인에 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PD-North Korea}}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안내: 만약 저작물이 대한민국 밖에서 처음 제작되었다면, 이 라이선스 태그가 아닌 저작물이 제작된 국가별 라이선스 태그를 적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