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라노티탄

티란노티탄

인간과의 크기 비교도
인간과의 크기 비교도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룡강
아강: 이궁아강
상목: 공룡상목
목: 용반목
아목: 수각아목
상과: 알로사우루스상과
과: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아과: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아과
족: 기가노토사우루스
속: 티라노티탄속 (Tyrannotitan)
종: 티란노티탄 추부텐시스
학명
Tyrannotitan chubutensis
Novas et al., 2005

티라노티탄(Tyrannotitan chubutensis)은 백악기 전기 남아메리카 알비안 층에 살았던 대형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육식공룡이다. 몸길이 11~12m, 몸무게는 7t 이상 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1] 속명의 뜻은 폭군 거인이다.

특징

[편집]

2000년 세로 바르시노 층에서 발견되었다. 길이는 12.2~13m, 무게는 4.8~7t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기가노토사우루스와 닮았으며, 견갑골은 90도 구부러져 있어 티라노사우루스와 비슷하다. 견갑골은 융합되어 있고, 기가노토사우루스보다 잘 발달되어 있지만, 팔은 매우 작다. 치아는 끌 모양이며, 주름진 법량질 표면, 순측으로 압축된 크라운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와 동일하다.[2]

티라노사우루스와 비슷한 이름으로 인해 가끔식 티라노사우루스와 연관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둘은 계통학적으로 아무런 관련이 없다.

생태

[편집]
추부티사우루스 시체를 먹고있는 티란노티탄

티란노티탄이 살았던 남아메리카의 알비안 층은 용각류들이 번성했던 큰 강이 있는 범람원이였다. 티란노티탄은 이 층의 최상위 포식자 역할을 했을것이며, 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아과처럼 당시대 공존했던 파랄리티탄이나 추부티사우루스같은 용각류들을 주 사냥감으로 삼았으며, 종종 시체도 먹어지우며 부족한 신진대사를 채웠을 것이다.[3]당시대 이 지역의 환경과 티란노티탄의 크기를 고려하면 주로 물가주변에서 물을 마시기 위해 물가로 오는 사냥감들을 습격했을 것이다. 몇몇 연구는 티란노티탄의 잠재적 무리 생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4][5]


각주

[편집]
  1. Rey LV, Holtz, Jr TR (2007).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United States of America: Random House. ISBN 978-0-375-82419-7. 
  2. Novas, F. E.; S. de Valais; P. Vickers-Rich; T. Rich (2005). “A large Cretaceous theropod from Patagonia, Argentina, and the evolution of carcharodontosaurids”. 《Naturwissenschaften》 92 (5): 226–230. Bibcode:2005NW.....92..226N. doi:10.1007/s00114-005-0623-3. hdl:11336/103474. PMID 15834691. S2CID 24015414. 
  3. Duhamel, Dr Alienor (2024년 5월 25일). “Tyrannotitan | Colossal Predator of the Early Cretaceous”. 《The Dinosaurs》 (미국 영어). 2025년 1월 13일에 확인함. 
  4. “Tyrannotitan chubutensis | Dinosaur Database by DinoAnimals.com”. 《dinoanimals.com》 (미국 영어). 2021년 6월 8일. 2025년 1월 13일에 확인함. 
  5. Moreno, Karen; Valais, Silvina de; Blanco, Nicolás; Tomlinson, Andrew J.; Jacay, Javier; Calvo, Jorge O. (March 2012). “Large Theropod Dinosaur Footprint Associations in Western Gondwana: Behavioural and Palaeogeographic Implications”.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영어) 57 (1). doi:10.4202/app.2010.0119.full. ISSN 0567-7920. 2024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