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한국의 독립운동 vte한국의 독립운동 한국의 역사 일본의 역사 일본 제국 일제 강점기 한국의 민족주의 한국의 국민주의 범아시아주의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 분쟁 참여 세력일제 치안군 한국통감부 조선총독부 관동군 조선군 제17방면군 간도협조회 간도특설대 서대문형무소 종로경찰서 고등계 한국분리주의민병(의병) 을사의병 을미의병 정미의병 13도 창의군 대한의군 사회경제단체 근우회 대한애국부인회 대한인동지회 대한자강회 동제사 신민회 신간회 조선노동동흥회 흥사단 테러·결사조직 동의단지회 좌익계열 남화한인청년연맹 의열단 흑색공포단 흑로회 흑우연맹 흑우회 우익계열 한인애국단 군사조직 대한광복단 대한독립단 북로군정서 서로군정서 통의부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국민부 조선의용대 광복군 정치단체 경성콤그룹 경성 트로이카 고려공산당 고려혁명당 대한국민의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신한청년당 신한혁명당 조선공산당 조선독립동맹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조선민족전선연맹 조선민족전위동맹 조선민족해방동맹 조선민족혁명당 조선혁명당 한국국민당 한국독립당 제3세력 국민정부 국민혁명군 팔로군 코민테른 만주 마적 연합국 만주국 vte연대기 1910년: 대한제국 멸망. 조선총독부 설치. 회사령 공포. 1911년: 신흥무관학교 개교. 산림령, 어업령, 제1차 조선교육령 공포. 105인 사건. 1912년: 토지조사사업 시작. 1913년: 1914년: 1915년: 광업령 공포. 1916년: 1917년: 1918년: 1919년: 3·1 운동. 의열단 창단. 통합 임시정부 수립. 사이토 총독 저격 사건. 파리 장서사건. 1920년: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 간도 참변. 1차 임정 분열. 산미증식계획. 부산경찰서 투탄사건. 1921년: 조선총독부 투탄사건. 자유시 참변. 1922년: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김립 피살 사건. 신생활 필화 사건 1923년: 종로경찰서 투탄사건. 국민대표회의. 물산장려운동. 암태도 소작쟁의. 간토 대학살 1924년: 도쿄 황궁 폭파 미수사건 1925년: 1926년: 동척투탄사건. 6·10 만세운동. 1927년: 1928년: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3부 통합운동.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 1930년: 남화한인청년연맹 결성. 1931년: 만주 사변. 한인애국단 결성. 1932년: 훙커우 공원 사건. 1933년: 대전자령전투. 1934년: 신건설사 사건. 1935년: 남화한인연맹, 왕징웨이 저격. 민족혁명당 결성. 1936년: 일장기 말소 사건 1937년: 노구교 사건. 1938년: 조선의용대 조직. 1939년: 1940년: 한국 광복군 창설. 1941년: 임정, 대일 선전포고. 조선 여성의 위안부 차출 시작. 1942년: 조선의용대, 광복군에 편입. 조선어학회 사건. 1943년: 1944년: 근로정신대 출범. 1945년: 일본의 무조건 항복. 인물일본 제국일제 당국 이토 히로부미 데라우치 마사타케 하세가와 요시미치 사이토 마코토 우가키 가즈시게 야마나시 한조 사이토 마코토 우가키 가즈시게 미나미 지로 고이소 구니아키 아베 노부유키 한국계 협력자저명인사 김동원 김활란 박영효 박중양 송병준 윤덕영 윤치호 이광수 이완용 최남선 최린 군경 김대형 노기주 노덕술 박두영 백선엽 선우갑 이성근 이원보 정일권 최석현 최연 홍사익 홍청파 부역자 강창희 김건영 김기옥 김두하 김홍량 문명기 박승직 박흥식 방응모 방의석 예종석 장홍식 차준담 최창학 한기방 현준호 홍충현 밀정 김달하 김동한 배정자 양병일 엄인섭 이종형 이준성 정병칠 최정규 한국분리주의정치·군사 인물구체제 계열 고종 순종 의친왕 최익현 임병찬 신돌석 노응규 이갑 이석영 이은찬 유명규 안중근 좌익계열 김립 김원봉 김일성 김좌진 박열 신채호 여운형 이동휘 이회영 홍범도 우익계열 김구 김규식 김동삼 김창숙 박용만 안재홍 안창호 오동진 이동녕 이범석 이승만 이시영 장준하 지청천 테러·결사 실행책 강우규 김상옥 김익상 김지섭 나석주 백정기 윤봉길 이봉창 학술·사회활동가 김윤경 남궁억 박은식 서태석 양기탁 이윤재 이희승 정인보 최현배 종교인 나철 손병희 한용운 외국인 협력자 조지 쇼 장제스 후세 다쓰지 위키낱말사전 · 위키책 · 위키인용집 · 위키문헌 · 위키공용 · 위키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