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토론:생물 분류
![]() | 이 틀은 생명체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위키프로젝트 생명체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프로젝트의 목표와 편집 지침을 확인하거나 토론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기타 | 이 문서는 문서 품질을 평가할 수 없습니다. | |
기타 | 이 문서는 문서 중요도를 평가할 수 없습니다. |
![]() | |
---|---|
![]() 시베리아다람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과: | 다람쥣과 |
속: | 다람쥐속 |
종: | 시베리아다람쥐 |
학명 | |
Tamias sibiricus | |
Laxmann, 1769 | |
보전상태 | |
{{생물 분류 | 이름 = 생물 또는 생물군의 이름 (필수) | 색 = 표의 색깔 (필수) | 상태 = 위기등급 또는 화석 등 | 그림 = 그림 파일의 이름 | 그림_크기 = 그림 파일의 크기. 기본값=220px | 그림_설명 = 그림 설명 | <분류군> = 분류군의 이름 | <분류군>_명명 = 분류군의 학명을 지은 사람, 년도 | 학명 = ''학명'' | 학명_명명 = 학명을 지은 사람, 년도 | 하위_고리 = 하위 분류 제목 | 하위 = 하위 분류 내용 | 지도 = 분포를 보여주는 지도 그림 파일 | 지도_크기 = ... 기본값=220px | 지도_설명 = ... | 크기 = 사람과의 크기 비교 }}
- 색에는 직접 색을 지정해도 되지만 계 이름을 써도 됩니다.
- 동물/식물/세균/고세균/균류/원생생물/바이러스
- <분류군>에는 다음이 있습니다.
- 도메인 상계 계 아계 상문 문 아문 하문 상강 강 아강 하강 상목 목 아목 하목 상과 과 아과 상족 족 아족 속 아속 종 아종
저기
[편집]저 이 문서 예시가 틀:통화 정보 처럼 예시문이 없네요. 작성해야 하는데 방법을 모르겠어서...--위키아비 2007년 11월 26일 (월) 15:29 (KST)
특히 상태는 좀 상세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군요. 설명문서를 만들었지만, 프로그램을 분석하면서도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틀 프로그램 내에 있는 SWITCH 변수는 모두 설명했지만, 영어의 Least Concern (LC)와 같은 변수는 아예 없더군요. --Asfreeas (토론) 2010년 6월 21일 (월) 18:29 (KST)
Least Concern 의 번역
[편집]Least Concern은 "관심 필요"가 아니라 "관심 필요 없음"에 해당하는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위험 없음"으로 번역하는 것은 어떨까요? -- Kanie (토론) 2012년 12월 5일 (수) 12:47 (KST)
틀 개편을 제안합니다.
[편집]틀 개편 및 미디어 위키 수정 토론과 관련된 개편입니다. 해당 틀이 미디어위키 수정시 깨졌기 때문에, 이 틀을 en:Template:Taxobox에 기반하여서 만들어주실분을 찾습니다. 영어판 소스가 상당히 복잡하네요. --A. W. ROLAND ː <RECENT> 2013년 2월 20일 (수) 13:42 (KST)
- 사랑방에서 토론하던것을 이었습니다. 의견 부탁드립니다.--A. W. ROLAND ː <RECENT> 2013년 3월 13일 (수) 23:49 (KST)
- 영어판 틀을 번역해서 똑같이 만들어 보면 어떨까요? 예를 들어, {{생물 분류-시험 중}}, {{생물 분류/핵심-시험 중}}을 만들어 테스트를 병행해 보면 될 듯합니다만. -- 리듬 (토론) 2013년 3월 19일 (화) 07:05 (KST)
- 영어판 틀을 보니, 틀안에 여러틀을 사용하는 구조라 생각보다 부가적인 틀을 많이 만들어야 합니다. 참고로 사용자:이형주/틀:생물 분류에 일단 영어판 en:Template:Taxobox틀을 가져왔습니다. --A. W. ROLAND ː <RECENT> 2013년 3월 20일 (수) 19:49 (KST)
- 실질적으로 틀을 구성하는 하위 틀은 둘이고, 그나마 하나는 분류에 따른 색상 정보만을 담고 있습니다(틀:생물 분류 색 같은 것). 핵심 부분이 따로 분리되어 있는 것은 변수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틀 소스는 깔끔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en:Template:Taxobox의 소스를 보면 거의 {{생물 분류/핵심 | 변수 1 = {{{변수 1 | {{{변수_1|}}} }}} }}의 형태입니다. 도입이 그리 복잡한 과정은 아닐 것 같습니다. - IRTC1015 (talk) 2013년 4월 13일 (토) 10:15 (KST)
- 전언 철회합니다. 하위 틀을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로서 사용하고 있어서 “그대로” 도입한다면 가져와야 할 게 꽤 많을 것 같습니다. 영어이기 때문에 사용되는 틀도 있어서([[animal]]ia, [[animalia]], [[animal|animalia]], animalia, animal을 모두 같은 것으로 처리한다거나) 약간은 줄일 수 있을 테지만, 자세히는 더 분석을 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이것들이 과연 전부 필요한 건지,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는 조금 더 분석을 해 보아야겠습니다. 생물학에 대해서는 잘 모르기도 하거니와……. - IRTC1015 (talk) 2013년 4월 13일 (토) 10:52 (KST)
- 영어판 틀을 보니, 틀안에 여러틀을 사용하는 구조라 생각보다 부가적인 틀을 많이 만들어야 합니다. 참고로 사용자:이형주/틀:생물 분류에 일단 영어판 en:Template:Taxobox틀을 가져왔습니다. --A. W. ROLAND ː <RECENT> 2013년 3월 20일 (수) 19:49 (KST)
- 영어판 틀을 번역해서 똑같이 만들어 보면 어떨까요? 예를 들어, {{생물 분류-시험 중}}, {{생물 분류/핵심-시험 중}}을 만들어 테스트를 병행해 보면 될 듯합니다만. -- 리듬 (토론) 2013년 3월 19일 (화) 07:05 (KST)
불안정한 분류군에 대한 병기 제안
[편집]현재 곤충강의 망시목 같은 경우에는 목으로 취급하고 있지만 학자에 따라 상목으로 취급하기도 합니다. 영어판 위키피디아에서는 상목으로 나와있으며 최근에는 목으로 취급하네요. 외시상목 역시 현재에는 또다른 상목으로 갈라져있습니다. 이와 같이 목인지 상목인지, 아목인지 목인지, 강인지 과인지 불명확한 생물 분류가 있을경우 현재 생물분류 틀의 분류 단계 칸에 'A 또는 B' 등 병기될 수 있도록 개편해주셨으면 합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등줄메뚜기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추가로 Clade(계통군)나 Division(동물계에서), Cohort(군)같은 분류단계도 생물분류 틀에 추가해주십시오. Anthophila 같은 경우 Clade에 속하는데 분류단계에 드러나지 않습니다.--등줄메뚜기 (토론) 2016년 1월 23일 (토) 18:50 (KST)등줄메뚜기
본 틀의 현황 및 문제점
[편집]한국어 위키백과 틀의 변수 | 영어 위키백과 틀의 변수 | 설명 |
절멸 | extinct | |
화석_범위 | fossil_range | |
크기 | ? | ? |
이름 | name | |
상태 | status | |
그림 | image | |
그림2 | image2 | |
그림_크기 | image_width | |
그림2_크기 | image2_width | |
그림_설명 | image_caption | |
그림2_설명 | image2_caption | |
색 | color | |
소리 | ? | ? |
소리_설명 | ? | ? |
상태_기준 | status_system | |
상태_출처 | status_ref | |
바이러스_군 | virus_group | |
바이러스_군_명명 | virus_group_authority | 영어 위키백과에 없음 |
역 | domain | |
역_명명 | domain_authority | |
상계 | superregnum | |
상계_명명 | superregnum_authority | |
미분류_계 | unranked_regnum | |
미분류_계_명명 | unranked_regnum_authority | |
계 | regnum | |
계_명명 | regnum_authority | |
아계 | subregnum | |
아계_명명 | subregnum_authority | |
상문 | superphylum | |
상문_명명 | superphylum_authority | |
미분류_문 | unranked_phylum | |
미분류_문_명명 | unranked_phylum_authority | |
문 | phylum | |
문_명명 | phylum_authority | |
군 | species_group | |
군_명명 | species_group_authority | |
미분류_아문 | unranked_subphylum | |
미분류_아문_명명 | unranked_subphylum_authority | |
아문 | subphylum | |
아문_명명 | subphylum_authority | |
하문 | infraphylum | |
하문_명명 | infraphylum_authority | |
microphylum | microphylum | |
microphylum_명명 | microphylum_authority | |
nanophylum | nanophylum | |
nanophylum_명명 | nanophylum_authority | |
상강 | superclassis | |
상강_명명 | superclassis_authority | |
미분류_강 | unranked_classis | |
미분류_강_명명 | unranked_classis_authority | |
강 | classis | |
강_명명 | classis_authority | |
아강 | subclassis | |
아강_명명 | subclassis_authority | |
하강 | infraclassis | |
하강_명명 | infraclassis_authority | |
미분류_상목 | unranked_superordo | |
미분류_상목_명명 | unranked_superordo_authority | |
상목 | superordo | |
상목_명명 | superordo_authority | |
미분류_목 | unranked_ordo | |
미분류_목_명명 | unranked_ordo_authority | |
목 | ordo | |
목_명명 | ordo_authority | |
미분류_아목 | unranked_subordo | |
미분류_아목_명명 | unranked_subordo_authority | |
아목 | subordo | |
아목_명명 | subordo_authority | |
미분류_하목 | unranked_infraordo | |
미분류_하목_명명 | unranked_infraordo_authority | |
하목 | infraordo | |
하목_명명 | infraordo_authority | |
미분류_소목 | parvordo | |
미분류_소목_명명 | parvordo_authority | |
소목 | unranked_parvordo | |
소목_명명 | unranked_parvordo_authority | |
동물_절 | zoosection | |
동물_절_명명 | zoosection_authority | |
동물_아절 | zoosubsection | |
동물_아절_명명 | zoosubsection_authority | |
상과 | superfamilia | |
상과_명명 | superfamilia_authority | |
미분류_상과 | unranked_superfamilia | |
미분류_상과_명명 | unranked_superfamilia_authority | |
과 | familia | |
과_명명 | familia_authority | |
아과 | subfamilia | |
아과_명명 | subfamilia_authority | |
상족 | supertribus | |
상족_명명 | supertribus_authority | |
족 | tribus | |
족_명명 | tribus_authority | |
아족 | subtribus | |
아족_명명 | subtribus_authority | |
속 | genus | |
속_명명 | genus_authority | |
아속 | subgenus | |
아속_명명 | subgenus_authority | |
절 | section | |
절_명명 | section_authority | |
series | series | |
series_명명 | series_authority | |
종 | species | |
종_명명 | species_authority | |
아종 | subspecies | |
아종_명명 | subspecies_authority | |
변종 | variety | |
변종_명명 | variety_authority | |
품종 | forma | |
품종_명명 | forma_authority | |
다양성 | diversity | |
다양성_링크 | diversity_link | |
학명 | ? | ? |
학명_명명 | ? | ? |
이명법 | binomial | 이명 변수와 충돌 |
이명법_명명 | binomial_authority | 이명_명명 변수와 충돌 |
삼명법 | trinomial | |
삼명법_명명 | trinomial_authority | |
모식종 | type_species | |
모식종_명명 | type_species_authority | |
모식속 | type_genus | |
모식속_명명 | type_genus_authority | |
하위 | synonyms | |
하위_링크 | synonyms_ref | |
지도 | range_map | |
지도_크기 | range_map_width | |
지도_설명 | range_map_caption | |
지도2 | range_map2 | |
지도2_크기 | range_map2_width | |
지도2_설명 | range_map2_caption | |
지도3 | range_map3 | |
지도3_크기 | range_map3_width | |
지도3_설명 | range_map3_caption | |
영어명 | ? | ? |
이명 | binomial | |
이명_명명 | binomial_authority | |
이명2 | binomial2 | |
이명2_명명 | binomial2_authority | |
이명3 | binomial3 | |
이명3_명명 | binomial3_authority | |
이명4 | binomial4 | |
이명4_명명 | binomial4_authority | |
이명5 | binomial5 | |
이명5_명명 | binomial5_authority | |
이명6 | binomial6 | |
이명6_명명 | binomial6_authority | |
이명7 | binomia7 | |
이명7_명명 | binomial7_authority | |
이명8 | binomial8 | |
이명8_명명 | binomial8_authority | |
이명9 | binomial9 | |
이명9_명명 | binomial9_authority | |
이명10 | binomial10 | |
이명10_명명 | binomial10_authority | |
이명11 | binomial11 | |
이명11_명명 | binomial11_authority |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몇 가지 있습니다.
- 이명법↔이명, 이명법_명명↔이명_명명 변수가 충돌합니다.
- 영어 위키백과에 있는데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는 틀 변수를 가져와야 합니다.
- 영어 위키백과 틀에 쓰이는 변수도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허용되도록 틀 수정이 필요합니다.
(그 외, 한국어 위키백과에만 있는 것으로 보이는 변수들이 있으나 이것들은 그대로 유지해도 문제가 없다고 봄) --ted (토론) 2018년 3월 4일 (일) 13:08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