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이 문서는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2년 10월) |
트리플 크라운(Triple Crown)은 야구에서 지칭하는 한 기록으로서 타자의 경우 "타율 + 홈런 + 타점", 3가지 기록에서 타이틀을 차지할 때 인정되며, 투수의 경우 "다승 + 평균 자책 + 탈삼진"에서 타이틀을 차지하면 인정된다. 그러나 탈삼진 부문 타이틀은 1993년이 되어서야 생겼기 때문에 이전에는 "다승 + 평균자책점 + 승률"이 트리플 크라운으로 인정되었다.
연도 | 이름 | 소속 | 타율 | 홈런 | 타점 | 포지션 | 비고 |
1984 | 이만수 | 삼성 | 0.340 | 23 | 80 | 포수 | 타자 최초의 트리플 크라운 |
2006 | 이대호 | 롯데 | 0.336 | 26 | 88 | 1루수 | 최고장타율 포함 4관왕 |
2010 | 이대호 | 롯데 | 0.364 | 44 | 133 | 3루수 | 한국 프로야구 최초 7관왕 |
연도 | 이름 | 소속 | 다승 | 평균자책 | 탈삼진 | 비고 |
1986 | 선동열 | 해태 | 24 | 0.99 | 214 | 투수 최초의 트리플 크라운(17선발승으로 최다 선발승), 선발 평균자책점 1.14로 1위 |
1989 | 21 | 1.17 | 198 | 승률왕 포함 4관왕(선발승은 9개였으며 선발 최다승은 박정현 이강철의 15선발승이 최다(3위(14)-윤학길 김성길)), 선발 최고 승률은 한희민 0.764(13선발승 4선발패), 선발 평균자책점 1.66으로 1위 |
1990 | 22 | 1.13 | 189 | 승률왕 포함 4관왕(선발승은 11개였으며 선발 최다승은 김태원의 14선발승이 최다(2위(13)-조계현 김성길)), 선발 최고 승률(11선발승 3선발패 0.786), 선발 평균자책점 0.97로 1위 |
1991 | 19 | 1.55 | 210 | 역대 최다기록이 되는 4번째 트리플 크라운 달성, 승률왕 포함 4관왕(15선발승으로 윤학길과 공동 선발승 2위(한용덕이 16선발승으로 최다 선발승)), 선발 평균자책점 1.71로 1위, 선발 최고 승률(15선발승 4선발패 0.789) |
2006 | 류현진 | 한화 | 18 | 2.23 | 204 | 신인투수 최초 트리플 크라운(18선발승으로 역대 순수신인 최다 선발승), 선발 평균자책점 2.23으로 1위 |
2011 | 윤석민 | KIA | 17 | 2.45 | 178 | 승률왕 포함 4관왕, 선발 평군자책점 2.51로 1위, 선발 최고 승률(17선발승 5선발패 0.773) |
2023 | 에릭 페디 | NC | 20 | 2.00 | 2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