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낙소돈

트리낙소돈
화석 범위:
트라이아스기 초~중기
트리낙소돈의 화석
트리낙소돈의 화석
측면에서 본 두개골
측면에서 본 두개골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아문: 척추동물아문
상강: 사지상강
강: 단궁강
목: 수궁목
아목: 키노돈아목
(미분류): 상키노돈트류
속: †트리낙소돈속
모식종
Thrinaxodon liorhinus
Seeley, 1894

트리낙소돈(학명Trinaxodon)은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현재의 남아프리카남극 등지에 살았던 키노돈트 중 하나이다. 트리낙소돈은 페름기 대멸종 직후에 등장했는데 이들이 살아남은 이유는 땅에 굴을 파는 습성 때문이다.[1]

특징

[편집]

트리낙소돈은 여우만한 크기의 작은 동물이였으며 온몸이 로 덮여 있었다. 치열을 보면 육식동물이었는데 이들은 주로 곤충, 작은 초식동물, 무척추동물을 주식으로 삼았을 것이다. 특히 2차 구개는 비강을 트리낙소돈이 호흡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는 소화에 중요한 형질이다.

분류

[편집]
복원된 턱 내전근 구조

트리낙소돈은 키노돈아목 내의 커다란 분류군인 상키노돈트류에 속한다. 키노돈아목은 따라서 모르가누코돈 및 다른 포유류의 진화로 이어진다. 단궁류 내의 주요 분기군인 수궁류에 속하기 때문이다. 단궁류는 양막동물의 주요 분기군 중 하나에 해당한다.

키노돈아목

프로키노수쿠스

드비니아

상키노돈트류

키노사우루스

갈레사우루스

프로갈레사우루스

트리낙소돈

플라티크레니엘루스

진키노돈트류

키노그나투스류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각주

[편집]
  1. Damiani, Ross; Modesto, Sean; Yates, Adam; Neveling, Johann (2003년 8월 22일). “Earliest evidence of cynodont burrowing”.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영어) 270 (1525): 1747–1751. doi:10.1098/rspb.2003.2427. ISSN 0962-8452. PMC 1691433. PMID 12965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