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켈라우어
사용 지역 | 토켈라우, 스웨인스섬(미국 아메리칸사모아) |
---|---|
언어 인구 | 토켈라우 1,400명 (1987년) 스웨인스섬 17명, 그 외(대부분 뉴질랜드) 2,100명 (2006년)[1] |
문자 | 로마자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폴리네시아어군 토켈라우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언어 부호 | |
ISO 639-2 | tkl |
ISO 639-3 | tkl 토켈라우어 |
글로톨로그 | toke1240[2] |
토켈라우어는 남태평양의 토켈라우와 아메리칸사모아 스웨인스섬에서 쓰이는 언어이다.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한다. 같은 폴리네시아어군 언어들, 특히 사모아어 및 투발루어와 가까운 관계이다. 토켈라우어는 영어와 함께 토켈라우어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토켈라우어 사용자는 약 4,260명이며 그 중 2,100명은 뉴질랜드에 살고, 1,400명은 토켈라우, 17명은 스웨인스섬에 살고 있다. “토켈라우”라는 이름은 “북북동”을 뜻한다.[3]
문자와 발음
[편집]토켈라우어는 로마자로 표기하고 다음 15개의 글자를 사용한다. A, E, I, O, U, F, G, K, L, M, N, P, H, T, V.
토켈라우어는 5개의 모음과 모음의 길이를 구분한다. A E I O U /a e i o u/, Ā Ē Ī Ō Ū /aː eː iː oː uː/.
장모음은 모음 글자 위에 장음 부호를 붙여 나타내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토켈라우인은 단모음과 장모음을 구분해 적지 않는다.[4]
토켈라우어는 10개의 자음을 구분한다. P T K F V H M N G L /p t k f v h m n ŋ l/ (G는 /ŋ/을 나타낸다).
단어
[편집]- 안녕: Mālo ni(말로 니)
- 잘 가: Tōfā ni(토파 니)
- 고마워: Fakafetai(파카페 타이)
- 이 음식이 맛있네: Te malie o te meakai(테말리 오 테 마카이)
- 어서와: Ulu tonu mai(울루토누 마이)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Tokelauan, 에스놀로그 (15판, 2005년)
-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Tokelau〉.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Culture of Tokelau - history, people, clothing, traditions, women, beliefs, food, family, social”. 《www.everyculture.com》 (영어). 2017년 2월 28일에 확인함.
- ↑ Hooper, Robin (1994). 《Studies in Tokelauan syntax》.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98–9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