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다리윗수염박쥐
![]() | |
---|---|
![]() 털다리윗수염박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박쥐목 |
과: | 애기박쥐과 |
아과: | 윗수염박쥐아과 |
속: | 윗수염박쥐속 |
종: | 털다리윗수염박쥐 (M. keaysi) |
학명 | |
Myotis keaysi | |
J. A. Allen, 1914 | |
학명이명 | |
M. ruber keaysi | |
보전상태 | |
|
털다리윗수염박쥐(Myotis keaysi)는 애기박쥐과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이다. 멕시코 타마울리파스주 남부 지역부터 중앙아메리카의 대부분의 지역과 트리니다드와 같은 먼 동쪽의 남아메리카 지역까지 분포한다. 남쪽으로 안데스산맥 구릉 지대와 아르헨티나 북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1]
특징
[편집]털다리윗수염박쥐는 작은 박쥐로 전체 몸길이는 겨우 4~5cm이고, 몸무게는 약 5g이다. 몸은 긴 털로 덮여 있으며, 회색빛부터 불그스레한 갈색까지 다양한 색을 띤다. 일반명이 나타는 바와 같이 다리와 꼬리 비막(다리 사이에 뻗어 있는 비막)의 윗 면에 두꺼운 털이 나 있다. 다른 근연종 박쥐가 이처럼 비막에 털을 가지고 있지만, 털이 무릎과 발 사이의 거의 절반에 이를 정도로 털다리윗수염박쥐에 더 크게 나 있다. 팔과 다리 사이의 날개 주요 부분인 꼬리 비막 윗면에도 털이 있다. 털은 꽤 두껍고, 팔꿈치처엄 몸에 가장 가까운 날개 부분에도 덮여 있다. 날개에서 털이 없는 부분은 진한 갈색부터 검은색까지 띤다.[2]
아종
[편집]1914년 붉은윗수염박쥐의 아종으로 처음 기재되었고,[3] 나중에 검은윗수염박쥐의 아종으로 분류되었다가 1973년에 별도의 종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2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 Myotis keaysi keaysi -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페루, 에콰도르, 콜롬비아 남부-서부
- Myotis keaysi pilosatibialis - 콜롬비아 서부, 베네수엘라 북부, 트리니다드, 중앙아메리카, 멕시코 남부 및 동부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이다.[4]
윗수염박쥐속 |
| ||||||||||||||||||||||||||||||||||||||||||||||||||||||||||||||||||||||||||||||||||||
각주
[편집]- ↑ 가 나 “Myotis keays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12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Hernández-Meza, B.; 외. (2005). “Myotis keaysi”. 《Mammalian Species》: Number 785: pp. 1–3. doi:10.1644/785.1.
- ↑ Allen, J.A. (1914). “New South American bats and a new octodont”.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3: 381–389.
- ↑ Stadelmann, B., Lin, L.-K., Kunz, T.H. and Ruedi, M. 2007.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subscription required).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3(1):3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