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강 국가정원
![]() | |
나라 | 대한민국 |
---|---|
위치 | 울산광역시 중구 태화강국가정원길 154[1] |
유형 | 국가정원 |
상태 | 운영 중 |
면적 | 835,452m2[2] |
개원 | 2013년 12월 19일[3] |
운영 | 울산광역시 태화강국가정원과[3] |
웹사이트 | |
https://www.ulsan.go.kr/s/garden/main.ulsan |
태화강 국가정원은 울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국가정원이다. 태화강 일부 구역 근처에 만들어 졌으며 생태정원, 대나무정원, 계절정원 등과 같은 시설이 있다.[4]
정원·시설
[편집]태화강 국가정원에는 다음과 같은 정원 및 시설이 있다.[4]
생태정원
[편집]생태정원에는 철새들의 서식지인 조류생태원과 단풍 등과 같은 수목이 있는 은행나무정원, 맥문동과 소나무가 있는 보라정원, 멸종위기 나비 관찰·체험정원인 나비생태원 및 느티나무가 있는 숲속정원이 있다.[5]
대나무정원
[편집]
대나무정원에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대나무 숲 정원인 십리대숲, 대나무 63종이 전시되어 있는 대나무생태원, LED 조명이 대나무를 비추어 은하수처럼 보이는 야간정원인 은하수길과 대나무를 테마로 한 조형물이 배치된 정원인 대나무 테마정원이 있다.[6]
계절정원
[편집]계절정원에는 정원 내에 자생 중인 야생화들이 있는 초화원, 국내 최대 규모의 작약이 있는 작약원, 라벤더의 향기를 주제로한 향기정원 및 가을에 국화가 펼쳐진 국화정원이 있다.[7]
수생정원
[편집]수생정원에는 국가정원 내 생태습지를 활용한 수생식물정원인 수생정원이 있다.[8]
참여정원
[편집]참여정원의 작가정원, 시민정원, 학생정원은 2018 태화강 정원박람회에서 선정된 작품을 기반으로 하는 정원인데 작가정원은 국내외 초빙작가 및 공모를 통하여 선정된 정원작품을 전시한 테마정원이고 시민정원은 디자인 공모를 통하여 선정된 정원작품을 시민들이 직접 조성한 테마정원이며 학생정원은 디자인 공모를 통하여 선정된 정원작품을 학생들이 직접 조성한 테마정원이다. 그리고 나룻배를 복원하여 체험할 수 있는 남산나루 등이 있다.[9]
무궁화정원
[편집]무궁화정원에는 무궁화를 통해 대한민국 민족성을 표현한 주제정원인 무궁화정원이 있다.[10]
기타녹지
[편집]기타녹지로는 울산광역시의 중구와 남구를 잇는 십리대밭교와 조선시대 영남을 대표하는 3대 누각으로 불렸던 태화루를 복원한 태화루 등이 있다.[1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찾아오시는 길”.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020년 8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태화강 국가정원 개요”.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020년 8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태화강 국가정원 조직 및 연혁”.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020년 8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전체 정원·시설”.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020년 8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정원·시설 생태정원”.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020년 8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정원·시설 대나무정원”.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020년 8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정원·시설 국화정원”.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020년 8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정원·시설 수생정원”.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020년 8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정원·시설 참여정원”.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020년 8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정원·시설 무궁화정원”.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020년 8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정원·시설 기타녹지”.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2020년 8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
[편집]- (한국어) 태화강 국가정원 공식 홈페이지 보관됨 2020-08-04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