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우마토모나스목
![]() | ||
---|---|---|
![]()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
(미분류): | 쌍편모생물 | |
계: | 리자리아계 | |
문: | 사족충문 | |
아문: | 사상근족충아문 | |
상강: | 모나도필로사상강 | |
강: | 임브리카테아강 | |
목: | 타우마토모나스목 (Thaumatomonadida) Cavalier-Smith, 2003 | |
과 | ||
|
타우마토모나스목(Thaumatomonadida)는 리자리아계에 속하는 편모충류 원생생물 목(目)의 하나이다.[1][2]
하위 분류
[편집]- 타우마토모나스목 (Thaumatomonadida)
- 타우마토모나스과 (Thaumatomastigidae)
- Gyromitus
- Protaspis
- Thaumatomastix
- Thaumatomonas
- 과 분류가 불확실한 속
- Allas
- Allas diplophysa
- Esquamula
- Esquamula lacrimiformis
- Allas
- 타우마토모나스과 (Thaumatomastigidae)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2019년 리자리아의 계통 분류이다.[3]
리자리아 |
| ||||||||||||||||||||||||||||||
각주
[편집]- ↑ Claudia Wylezich, Alexander P. Mylnikov, Markus Weitere & Hartmut Arndt (2007). “Distributio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freshwater thaumatomonads with a description of the new species Thaumatomonas coloniensis n. sp.”. 《Journal of Eukaryotic Microbiology》 54 (4): 347–357. doi:10.1111/j.1550-7408.2007.00274.x. PMID 17669160.
- ↑ Denis Victorovich Tikhonenkov, Yuri Alexandrovich Mazei & Alexander Petrovich Mylnikov (2006년 9월). “Species diversity of heterotrophic flagellates in White Sea littoral sites”. 《European Journal of Protistology》 42 (3): 191–200. doi:10.1016/j.ejop.2006.05.001. PMID 17070763.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Irwin, Nicholas A.T.; Tikhonenkov, Denis V.; Hehenberger, Elisabeth; Mylnikov, Alexander P.; Burki, Fabien; Keeling, Patrick J. (2019년 1월 1일). “Phylogenomics supports the monophyly of the Cercozo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영어) 130: 416–423. doi:10.1016/j.ympev.2018.09.004. ISSN 1055-7903. PMID 30318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