킴벌리 (남아프리카 공화국)
킴벌리 Kimberley | |
---|---|
![]() 킴벌리의 빅 홀 | |
| |
행정 | |
국가 | ![]() |
지역 | 노던케이프 주 |
행정 구역 | 프란시스 바르드 자치주 |
역사 | |
설립 | 1846 |
지리 | |
면적 | 142.8 km2 |
해발 | 1,184 m |
인문 | |
인구 | 96,977명(2011년) |
지역 부호 | |
우편번호 | 8300 |
지역번호 | 053 |
웹사이트 | http://www.kimberley.co.za/ |
킴벌리(Kimberley)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노던케이프 주의 주도이다. 킴벌리 공항(Kimberley Airport)이 위치해 있다. Sol Plaatje Local Municipality의 일원으로 해당지자체의 규모는 인구 248,041명에 면적 3,145 km2이다.
개요
[편집]남아프리카 공화국 서부 오렌지강 중류 지점에 위치한 내륙 도시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금광 시였으며,대형 홀에서는 옛날 황금 시대의 풍경이 남아 있다. 현재는 경제가 발달한 지역 중의 하나이다.
역사
[편집]1871년 부근에서 다이아몬드 광산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오렌지 자유국의 영토였다. 1871년 이곳을 침입한 영국의 압력으로 케이프 식민지에 편입되었다.
산업
[편집]1867년에 발견된 세계 최대의 다이아몬드 광산을 통해 도시가 형성되었다. 킴벌라이트라는 암석명은 이 도시에서 유래했다. 지금도 여전히 다이아몬드 채굴의 중심지이다. 2000년에 다이아몬드 분쟁 지역에서 부정 거래, 이른바 《블러드 다이아몬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의 참가자를 모아서 논의를 할 단체가 설립되었다. 현재 아프리카 국가를 중심으로 40 여개국이 참가하고 있다.
기후
[편집]킴벌리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43.3 (109.9) | 43.6 (110.5) | 38.2 (100.8) | 37.5 (99.5) | 31.1 (88.0) | 27.8 (82.0) | 27.2 (81.0) | 31.6 (88.9) | 36.6 (97.9) | 42.3 (108.1) | 39.2 (102.6) | 40.9 (105.6) | 43.6 (110.5)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32.7 (90.9) | 31.9 (89.4) | 28.9 (84.0) | 25.9 (78.6) | 22.6 (72.7) | 19.5 (67.1) | 19.5 (67.1) | 22.2 (72.0) | 26.6 (79.9) | 29.4 (84.9) | 31.0 (87.8) | 32.7 (90.9) | 27.0 (80.6) |
일일 평균 기온 °C (°F) | 25.0 (77.0) | 24.5 (76.1) | 22.3 (72.1) | 18.1 (64.6) | 14.1 (57.4) | 10.7 (51.3) | 10.5 (50.9) | 13.0 (55.4) | 17.2 (63.0) | 20.5 (68.9) | 22.4 (72.3) | 24.3 (75.7) | 18.5 (65.3)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17.3 (63.1) | 17.1 (62.8) | 14.6 (58.3) | 10.2 (50.4) | 5.6 (42.1) | 1.8 (35.2) | 1.4 (34.5) | 3.7 (38.7) | 7.7 (45.9) | 11.6 (52.9) | 13.8 (56.8) | 15.9 (60.6) | 10.0 (50.0) |
역대 최저 기온 °C (°F) | 5.7 (42.3) | 5.6 (42.1) | 2.0 (35.6) | −2.8 (27.0) | −5.7 (21.7) | −8.4 (16.9) | −9.9 (14.2) | −8.5 (16.7) | −5.5 (22.1) | −0.7 (30.7) | 2.2 (36.0) | 3.8 (38.8) | −9.9 (14.2)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72.9 (2.87) | 67.4 (2.65) | 62.2 (2.45) | 38.6 (1.52) | 15.2 (0.60) | 8.6 (0.34) | 2.6 (0.10) | 3.8 (0.15) | 9.9 (0.39) | 31.1 (1.22) | 39.3 (1.55) | 52.2 (2.06) | 404.3 (15.92)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7.1 | 5.9 | 6.1 | 4.4 | 2.1 | 1.0 | 0.6 | 0.8 | 1.1 | 3.6 | 4.7 | 6.3 | 44.0 |
평균 상대 습도 (%) | 45 | 53 | 57 | 59 | 54 | 53 | 48 | 41 | 36 | 40 | 42 | 42 | 47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291.1 | 244.3 | 268.3 | 262.2 | 270.6 | 263.3 | 278.7 | 296.5 | 274.4 | 295.4 | 301.9 | 313.3 | 3,360 |
출처 1: 미국 해양대기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877년~현재)[1][2] | |||||||||||||
출처 2: 독일 기상청 (6월/11월 극값),[3] Meteo Climat (극값 일부)[4][5] 남아프리카 공화국 기상청[6] |
각주
[편집]- ↑ “Kimberley Climate Normals 1961−1990”. 미국 해양대기청. 2013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Climate Normals 1991-2020”. 《NOAA.gov》. 미국 해양대기청. 2018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Klimatafel von Kimberley, Provinz Northern Cape / Südafrika” (PDF). 《Baseline climate means (1961-1990) from stations all over the world》 (독일어). 독일 기상청. 2016년 2월 7일에 확인함.
- ↑ “Station Kimberley” (프랑스어). Meteo Climat. 2016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68438: Kimberley (South Africa)”. 《ogimet.com》. OGIMET. 2021년 7월 23일. 2021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Climate data for Kimberley”. 남아프리카 공화국 기상청. 2012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영어) 공식 홈페이지
![]() | 이 글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