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트로마주
코스트로마 | |
---|---|
Костромская область | |
![]() | |
좌표: 북위 58° 33′ 동경 43° 41′ / 북위 58.550° 동경 43.683° | |
국가 | 러시아 |
연방관구 | 중앙[1] |
경제지구 | 중앙[2] |
수도 | 코스트로마 |
정부 | |
• 기관 | 두마[3] |
• 주지사[5] | 세르게이 시트니코프[4] |
면적 | |
• 총 | 60,211 km2 (23,248 sq mi) |
• 순위 | 47번째 |
인구 | |
• 총 | 580,976 |
• 추산 (2018년)[8] | 643,324 |
• 순위 | 68번째 |
• 밀도 | 9.6명/km2 (25명/sq mi) |
• 도시 | 73.7% |
• 지방 | 26.3% |
시간대 | UTC+3 (모스크바 시간 ![]() |
ISO 3166 코드 | RU-KOS |
번호판 | 44 |
OKTMO ID | 34000000 |
공용어 | 러시아어[10] |
웹사이트 | http://adm44.ru |
코스트로마주(러시아어: Костромска́я о́бласть 코스트롬스카야 오블라스티[*])는 러시아의 연방주체 (주)이다. 그것의 행정중심은 코스트로마의 도시고 2021년 인구 조사 기준 인구는 580,976명이다.[12] 1944년 이웃 야로슬라블주에서 분리된 영토에 형성되었다.
섬유 산업은 18세기 초부터 이곳에서 개발되었다. 주요 역사적 도시로는 코스트로마, 샤리아, 네레흐타, 갈리치, 솔리갈리치, 마카리예프가 있다.
지리
[편집]볼로그다주(N), 키로프주(E), 니즈니노브고로드주(S), 이바노보주(W), 야로슬라블주(NW)에 접해 있다. 코스트로마강이 흐르고 있다.
시간대
[편집]모스크바 시간 (MSK/MSD)에 놓여 있다. UTC와의 시차는 +0300 (MSK)/+0400 (MSD)이다.
행정 구역
[편집]군
[편집]- 안트로폽스키군(Антроповский)
- 부이스키군(Буйский)
- 추흘롬스코이군(Чухломской)
- 갈리치스키군(Галичский)
- 카디스키군(Кадыйский)
- 콜로그립스키군(Кологривский)
- 코스트롬스코이군(Костромской)
- 크라스노셀스키군(Красносельский)
- 마카리옙스키군(Макарьевский)
- 만투롭스키군(Мантуровский)
- 메젭스키군(Межевский)
- 네레흐츠키군(Нерехтский)
- 네이스키군(Нейский)
- 옥탸브리스키군(Октябрьский)
- 오스트롭스키군(Островский)
- 파르펜옙스키군(Парфеньевский)
- 파빈스키군(Павинский)
- 포나지렙스키군(Поназыревский)
- 피슉스키군(Пыщугский)
- 샤린스키군(Шарьинский)
- 솔리갈리치스키군(Солигаличский)
- 수디슬랍스키군(Судиславский)
- 수사닌스키군(Сусанинский)
- 보홈스키군(Вохомский)
주민
[편집]대부분의 주민이 러시아인이다.
민족 | 2002년도의 인구 수(*보관됨 2012-01-26 - 웨이백 머신) |
---|---|
러시아인 | 704,0 |
우크라이나인 | 8,0 |
타타르인 | 2,7 |
벨라루스인 | 2,4 |
집시 | 1,5 |
아르메니아인 | 1,5 |
아제르바이잔인 | 1,4 |
몰도바인 | 1,0 |
연도 | 인구 | ±% |
---|---|---|
1897 | 1,387,015 | — |
1926 | 811,619 | −41.5% |
1959 | 921,945 | +13.6% |
1970 | 870,575 | −5.6% |
1979 | 803,870 | −7.7% |
1989 | 809,882 | +0.7% |
2002 | 736,641 | −9.0% |
2010 | 667,562 | −9.4% |
2021 | 580,976 | −13.0% |
Source: Census data |
각주
[편집]- ↑ Президент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каз №849 от 13 мая 2000 г. «О полномочном представителе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федеральном округе». Вступил в силу 13 мая 2000 г. Опубликован: "Собрание законодательства РФ", No. 20, ст. 2112, 15 мая 2000 г.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Decree #849 of May 13, 2000 On the Plenipotentiary Representative of the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in a Federal District. Effective as of May 13, 2000.).
- ↑ Госстандарт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К 024-95 27 декабря 1995 г. «Общероссийский классификатор экономических регионов. 2. Экономические районы», в ред. Изменения №5/2001 ОКЭР. (Gosstandart of the Russian Federation. #OK 024-95 December 27, 1995 Russian Classification of Economic Regions. 2. Economic Regions, as amended by the Amendment #5/2001 OKER. ).
- ↑ Charter, Article 8.1.1
- ↑ Official website of the Administration of Kostroma Oblast. Governor 보관됨 2017-07-18 - 웨이백 머신 (러시아어)
- ↑ Charter, Article 8.2
- ↑ “Сведения о наличии и распределении земель 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а 01.01.2019 (в разрезе субъект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Federal Service for State Registration, Cadastre and Cartography. 2022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29일에 확인함.
- ↑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 ↑ “26. Численность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 муниципальным образованиям на 1 января 2018 года”. 러시아 연방통계청. 2019년 1월 23일에 확인함.
- ↑ “Об исчислении времени”. 《Официальный интернет-портал прав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러시아어). 2011년 6월 3일. 2019년 1월 19일에 확인함.
- ↑ Official throughout the Russian Federation according to Article 68.1 of the Constitution of Russia.
- ↑ Charter, Article 6.1
- ↑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러시아어) 코스트로마주 공식 홈페이지.
![]() | 이 글은 러시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