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장치


기억 장치(記憶裝置, computer data storage)는 컴퓨터에서 데이터(자료)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히 보존하는 장치를 말한다. 비슷한 말로 저장 장치라고도 하는데 이때는 대체로 비휘발성의 기억 장치를 의미한다. 컴퓨터의 기억 장치는 주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장치로 나눌 수 있다. 메모리(memory)는 종종 '기억 장치'라는 용어와 혼용되기도 하지만, 대체로는 주기억장치를 말하며 특히 램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기억 장치의 계층
[편집]1차 기억 장치
[편집]2차 기억 장치
[편집]3차 기억 장치
[편집]오프라인 기억 장치
[편집]오프라인 기억 장치는 처리 장치의 통제를 받지 않는 매체나 장치의 컴퓨터 데이터 기억 장치이다.[1]
특징
[편집]휘발성 여부
[편집]이변성
[편집]- 읽기/쓰기 기억 장치 (이변적 기억 장치)
- 읽기 전용 기억 장치
- 느린 쓰기, 고속 읽기 기억 장치
접근성
[편집]주소 지정 가능도
[편집]- 위치 주소 지정 가능
- 파일 주소 지정 가능
- 내용 주소 지정 가능
성능
[편집]보조 기억 장치
[편집]보조 기억 장치는 주기억 장치를 확장한 것으로, 속도가 느리지만 보통 용량이 상대적으로 크다.
- 하드 디스크
- 디스켓(플로피 디스크)
- CD-ROM 계열
- DVD 계열
- 블루레이 디스크 (BD)
- 플래시 메모리
- 낸드 플래시
- NOR 플래시
- 집 드라이브
- 재즈 드라이브
- 자기 테이프
- USB 플래시 드라이브
-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기억 용량
[편집]- 순수 용량
- 기억장치나 매체가 보유할 수 있는 저장 정보의 최대 용량이다. 비트나 바이트로 표현된다. (예: 10.4 메가바이트)
- 메모리 기억 밀도
- 저장된 정보의 밀도이다. 매체의 저장 용량을 길이, 면적, 부피 단위로 나눈 것이다. (예: 1.2메가바이트 퍼 스퀘어 인치)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National Communications System (1996). “Federal Standard 1037C – Telecommunications: Glossary of Telecommunication Terms”.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FS-1037C. 2009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8일에 확인함. See also article Federal Standard 1037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