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음

8세기 콥트. 바르샤바 국립미술관.

무음(無音)은 소리의 부재, 곧 들리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침묵이라고도 한다. 주변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가 없거나, 주의를 끌지 못할 정도로 낮은 강도의 소리가 방출되거나, 소리 생성이 중단된 상태이다. 후자의 의미는 말이나 다른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형태의 중단 또는 부재에 적용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1]

의식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침묵의 간격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종교 분야에서 사람들은 영적 변화를 위한 금욕적 수단으로 오랜 기간 동안, 심지어 남은 생애 동안 침묵을 유지한다.

소리를 내지 말라는 의미로 '쉿' 또는 '쉬'라는 감탄사를 사용한다.

예시

[편집]

영화

[편집]

음악

[편집]

[편집]

언어

[편집]

연극

[편집]

음향학

[편집]

종교

[편집]

정신의학

[편집]

관련 논문

[편집]
  • 서동은, 〈철학 상담에 있어 침묵의 역할에 대하여〉, 《현대유럽철학연구》 28, 한국하이데거학회, 2012년
  • 문영식, 〈아우구스티누스의 능변과 침묵〉, 《철학논총》 94, 새한철학회, 2018년
  • 김화경, 〈초연결 사회와 과잉의 디스토피아 - ‘침묵하기’를 통해 살펴본 인간다움에 대한 질문 -〉, 《동학학보》 73, 동학학회, 2025년
  • 조홍진, 〈‘침묵’의 해석 - 사회사/역사사회학의 사료에서 드러나지 않는 목소리와 그 함의〉, 《사회와 역사(옛 한국 사회사학회 논문집)》 145, 한국사회사학회, 2025년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ilence | Define Silence at Dictionary.com”. Dictionary.reference.com. 2013년 8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