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로역

충정로(경기대입구) | |
---|---|
![]() 2호선 역명판 | |
5호선 역명판(서울남산체로 개정 전)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2호선: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지하 17(충정로3가 295번지) 5호선: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지하 28-1(충정로3가 248-1번지) |
좌표 | 북위 37° 33′ 35.6″ 동경 126° 57′ 48.6″ / 북위 37.559889° 동경 126.963500° |
개업일 | 2호선: 1984년 5월 22일 5호선: 1996년 12월 30일 |
역번 | 2호선: 243 5호선: 531 |
승강장 수 | 각각 1면 2선(섬식) |
거리표 | |
● 서울 지하철 2호선 | |
시청 기점 47.7 km | |
| |
● 수도권 전철 5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 |
방화 기점 22.4 km | |
|
충정로역에 대한 다국어 표기 | |
---|---|
한글 표기: | 충정로(경기대입구) |
한자 표기: | 忠正路(京畿大入口) |
중국어 표기: | 忠正路(京畿大学) |
일본어 표기: | 忠正路(チュンジョンノ)(京畿大入口) |
영어 표기: | Chungjeongno(Gyeonggidae Entrance) |
충정로(경기대입구)역(Chungjeongno(Gyeonggidae Entrance)Station, 忠正路(京畿大入口)驛)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3가에 있는 2호선(243)과 5호선(531)의 환승역이다.
역명은 충정로에서 유래했으며, 5호선은 충정로 (종로 방향)에, 2호선은 서소문로 (시청 방향)에 있다.
유상병기역명은 경기대입구로, 인근에 경기대학교가 있으며, 마포구하고도 가깝다.
역사
[편집]- 1983년 6월 30일: 충정로역으로 역명 결정[1]
- 1984년 5월 22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관악구청)~을지로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출구 6개)
- 1996년 12월 3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신한투자증권)~왕십리역 구간 개통으로 환승역이 됨 (출구 10개로 확장)
- 2019년 5월: 시호 충정공 故 민영환 선생의 이름을 딴 역으로 운영
역 구조
[편집]두 노선 모두 곡선 구조의 섬식 승강장으로, 출구는 총 10개다.
2호선과 5호선 모두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은 곡선 승강장이므로, 승하차시 발빠짐에 주의해야 한다
2호선 승강장
[편집]아현 ↑ |
| 내 외 | |
↓ 시청 |
내선 | ● 서울 지하철 2호선 | 시청 · 을지로4가 · 신당 · 성수 방면 |
---|---|---|
외선 | 신촌 · 홍대입구 · 영등포구청 · 신도림 방면 |
5호선 승강장
[편집]애오개 ↑ |
| 하 상 | |
↓ 서대문 |
상행 | ● 수도권 전철 5호선 | 공덕·여의도(신한투자증권)·신길 · 까치산 · 화곡 · 김포공항 · 방화 방면 |
---|---|---|
하행 | 광화문(세종문화회관)·종로3가(탑골공원)·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하남검단산·마천 방면 |
환승
[편집]2호선에서 5호선으로 갈 때 2호선 승강장에 있는 중앙 오름 계단으로 올라간 다음, 2호선 대합실과 5호선 대합실을 잇는 통로를 이용한다.
이 환승 통로는 직선이 아니고 커브가 있으며 경사가 있다.
5호선의 경우 역이 깊어 2호선에서 5호선으로 갈 때 커브길 환승 통로를 거친 다음에 3층을 더 내려가야 5호선 승강장이 나온다.
5호선 측 승강장은 지하 5층에, 2호선 측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위치한데다 환승 통로는 지하 2층에 위치하고 있어 수직 이동 거리도 상당하며, 환승 통로를 통한 수평 이동 거리도 2호선, 8호선의 환승역 잠실역하고 비슷한 정도로 긴 편이다.
따라서 커브길 환승 통로를 거쳐서 나오는 5호선 내리막길 입구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쓰는 게 좋을 정도로 환승이 불편한 역이다.
5호선은 고심도로 인해 상대적으로 이용하기 불편하여 2호선에 비해 이용률이 낮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의 5호선-4호선과 종로3가역에서의 5호선-3호선도 비슷한 방식의 환승이다.
역 주변
[편집]1번 출구
- 충정로삼거리
- 종근당
2번 출구
- 충정로3가
3번 출구
-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
- 주한 프랑스 대사관
4번 출구
- 의주로2가
- 한국경제신문
- 서소문역사공원
5번 출구
- 중림동
- 서울봉래초등학교
- 손기정체육공원
6번 출구
- 아현동
-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 민원센터(서부,중부)
- 아현동가구상가
7번 출구
- 북아현동
- 아현동가구상가
- 서울시수어통역센터지원본부
8번 출구
9번 출구
- 합동
- 서울미동초등학교
- 서대문사거리 방면
10번 출구
- 충정로삼거리
- 종근당
이용객 변동
[편집]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2호선 | 승차 | 8,305 | 9,298 | 10,122 | 10,748 | 11,247 | 11,007 | 11,127 | 11,450 | 11,191 | 11,378 | [2] |
하차 | 8,654 | 9,647 | 10,479 | 11,290 | 11,806 | 11,605 | 11,822 | 12,199 | 11,922 | 12,362 | ||
승하차 | 16,959 | 18,945 | 20,601 | 22,038 | 23,053 | 22,611 | 22,949 | 23,649 | 23,113 | 23,740 | ||
5호선 | 승차 | 4,538 | 4,098 | 3,826 | 3,606 | 3,865 | 3,885 | 3,967 | 3,988 | 3,901 | 3,952 | [3] |
하차 | 4,200 | 3,665 | 3,569 | 3,467 | 3,717 | 3,790 | 3,878 | 3,928 | 3,850 | 3,991 | ||
승하차 | 8,738 | 7,763 | 7,394 | 7,073 | 7,582 | 7,675 | 7,845 | 7,917 | 7,751 | 7,944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2호선 | 승차 | 11,818 | 11,833 | 12,538 | 12,445 | 11,928 | 11,463 | 11,690 | 11,503 | 11,230 | ||
하차 | 12,616 | 12,440 | 13,244 | 13,279 | 12,897 | 12,357 | 12,627 | 12,252 | 11,901 | |||
승하차 | 24,434 | 24,273 | 25,782 | 25,724 | 24,826 | 23,820 | 24,317 | 23,755 | 23,131 | |||
5호선 | 승차 | 4,063 | 4,097 | 4,514 | 5,082 | 4,921 | 4,751 | 4,672 | 4,573 | 4,488 | ||
하차 | 4,110 | 4,213 | 4,690 | 5,299 | 5,174 | 4,938 | 4,771 | 4,624 | 4,533 | |||
승하차 | 8,173 | 8,310 | 9,204 | 10,381 | 10,095 | 9,689 | 9,443 | 9,197 | 9,021 |
사진
[편집]- 충정로역 1
- 충정로역 2
- 충정로역 3
- 충정로역 4
- 충정로역 5
- 충정로역 6
인접한 역
[편집]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순환선 | ||
---|---|---|
242 아현 외선 순환 | ● 서울 지하철 2호선 | 201 시청 내선 순환 |
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 | ||
530 애오개 방화 방면 | ● 수도권 전철 5호선 | 532 서대문 하남검단산 · 마천 방면 |
각주
[편집]- ↑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 1983년 6월 30일.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충정로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충정로(경기대입구)역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