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덕 (교수)

최진덕
출생1954년 10월 9일(1954-10-09)(70세)
대한민국 대구시
국적대한민국
학력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철학과/사학과 학사 (B.A)

한국학대학원 한국학중앙대학원 철학과 석사(M.A)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철학과 박사
직업교수 한국학 중앙대학원 철학과 교수
활동 기간1996년 ~ 2020
주요 저서로는『인문학, 철학, 그리고 유학』(2004),『민본주의를 넘어서: 동양의 민본사상과 새로운 공동체 모색』(2000, 공저),『주자학을 위한 변명: 나정암의 이일분수 철학』(2000),『심경』(2009, 공저),『유교의 예치 이념과 조선』(2007, 공저),『군자의 나라』(1999, 공저) 등이 있다.

최진덕(1954년 10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철학자이며, 유학·주자학·퇴계학 등을 중심으로 동양 철학의 현대적 해석을 연구해 왔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는 동 기관 명예교수이다. 주요 연구 주제로는 이일분수론, 다산 실학, 유가의 생명윤리,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구조 분석 등이 있다.

생애 및 학력

[편집]

최진덕은 대구에서 태어났다.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석사학위 논문은 『율곡연구 1: 이기심성론에 대하여』이며, 박사학위 논문은 『나정암의 이일분수의 철학』이다.

경력

[편집]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철학과 교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관장 역임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장 역임
  • 2020년 정년 퇴임 후 명예교수로 위촉됨

연구 및 저서

[편집]

최진덕은 퇴계, 율곡, 나정암, 다산, 주자 등 조선 유학자들의 사상을 현대 철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해왔다. 그는 주자의 이일분수론을 중심으로 형이상학, 윤리학, 생명철학의 영역에서 유교적 사유의 구조를 분석하는 데 기여하였다.

단독 저서

[편집]
  • 『인문학, 철학, 그리고 유학』, 청계출판사, 2004.
  • 『주자학을 위한 변명: 나정암의 이일분수 철학』, 청계출판사, 2000.

공저 및 편저

[편집]
  • 『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김형효 외 공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 『다산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김형효 외 공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 『군자의 나라』 (공저), 명진출판사, 1999.
  • 『민본주의를 넘어서』 (공저), 청계출판사, 2000.
  • 『혜강의 기학과 그 현대적 의미』 (공저), 청계출판사, 2000.
  • 『전통예교와 시민윤리』 (공저), 청계출판사, 2002.
  • 『생명사상과 윤리』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 『유교의 예와 현대적 해석』 (공저), 청계출판사, 2004.
  • 『다산의 사서경합』 (공저), 상무인서관(중국 북경), 2008.

주요 논문

[편집]

최 교수는 한국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구조, 유교적 생명관, 윤리적 주체 형성, 예학과 몸의 철학 등을 주제로 3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 「공자 인학의 일관성과 불일관성」, 『정신문화연구』 제18권 제4호, 1995.
  • 「주자의 인심도심 해석」, 『철학논집』 제7집, 1996.
  • 「이일분수의 철학적 반성」, 『헤겔연구』 제7집, 1997.
  • 「노자와 유무현동의 유희」, 『철학논집』 제8집, 1997.
  • 「삶의 질의 유가윤리적 의미」, 『한국의 교육과 윤리』 제6집, 1997.
  • 「일상적 세계와 인륜적 질서」, 『정신문화연구』 제20권 제2호, 1997.
  • 「주자의 노불비판」, 『헤겔연구』 제8집, 1999.
  • 「퇴계이기심성론의 탈도덕형이상학적 해석」, 『퇴계학보』 제111집, 2002.
  • 「생명과 죽음, 그리고 윤리: 노장과 유학의 사이」, 『생명사상과 윤리』, 2004.
  • 「이와 기 – 이기론의 역학적 이해」, 『우리말 철학사전』 제5권, 지식산업사, 2007.

사상 및 철학

[편집]

최진덕은 유교 철학의 핵심 개념들—예(禮), 인(仁), 성(性), 기(氣)—을 현대 철학의 문제의식과 연결하여 해석하였다. 그는 형이상학과 윤리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유학의 예학을 '몸의 훈련'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또한 이일분수론을 바탕으로 한 성리학적 자연관이 현대의 생명윤리와도 접점을 가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외부 링크

[편집]
  • [동영상 강연] "대한민국이 나아갈 방향" 1부 – 유권자와 지식인의 문제 / 최진덕 교수
  • [한국학대학원 강의 소개] 철학과 진리에 대하여 – 사실적 존재론과 현실적 소유론
  • [서평] 『인문학, 철학, 그리고 유학』

참고 문헌 및 보도

[편집]
  • “최진덕 교수의 현실진단”, 영천투데이, 2021.
  • [단독]교사들에 ‘창조경제 홍보’교육한 한국학중앙연구원…군사쿠데타를 ‘군사혁명’으로 표현하기도, 경향신문, 2016.
  • [한국학]<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시사저널, 1997.
  • 유학은 무차별적 평등 사회와는 거리가 멀어, 조선일보, 2004.
  • 조선 성리학 대학자 노수신, 이단으로 배척돼 잊혀졌다, 동아일보, 2015.
  • 철강왕 박태준 사상·생애 `총망라`, 경북매일, 2012.
  • “유학은 무차별적 평등 사회와는 거리가 멀어”, 대구도서관 목요철학포럼 보도자료, 2020.
  • 『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공저자 서문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