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주최교육부, 한국연구재단,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단 협의회
유형교육부 대학재정지원사업, 공유대학
시작일2021년
종료일2026년 (예정)
Official website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Convergence and Open Sharing System, COSS)은 대한민국 교육부가 주관하는 대학 간 협력 사업으로, 디지털 신기술 및 첨단분야 인재 양성을 목표로 2021년부터 2026년까지 6년간 진행되는 국가 프로젝트이다. 해당 사업은 대학 간 경계를 허물고, 학과 간 벽을 넘어 전공과 관계없이 학생들이 첨단분야 교육을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지역 및 대학 간 교육 격차 해소와 국가 수준의 핵심 인재 양성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1][2]

개요

[편집]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은 2021년 시작 당시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으로 명명되었으며, 2023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 사업은 인적·물적 자원을 상호 공유하여 대학 간 협력을 강화하고, 첨단 기술 분야의 교육 혁신을 도모한다. 총 67개 대학이 선발되었으며, 18개 컨소시엄으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첨단분야를 담당한다. 교육부는 COSS 사업에 연간 약 816억원을 지원하며, 각 컨소시엄은 약 102억원을 배정받는다. 추가로 산업교육센터 운영을 위한 16억원이 별도 지원된다. 사업 기간 동안 총 6년간 약 4,896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3]

목적

[편집]
  • 교육 격차 해소: 수도권과 지방 대학 간, 대학 간 교육 역량 차이를 줄이고 균형 있는 교육 기회 제공.
  • 첨단분야 인재 양성: 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반도체 등 국가 전략 기술 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
  • 대학 간 협력 강화: 대학들이 자원을 공유하며 상호 연계된 교육 시스템 구축.
  • 산업 수요 대응: 산업계의 최신 기술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 커리큘럼 개발 및 제공.

구조 및 운영

[편집]

컨소시엄 구성

[편집]
  • 대학주도형 7개(주관대학 1개교 참여대학 6개교)
  • 지자체참여형 5개교(주관대학 1개교 참여대학 4개교 지자체)

운영 방식

[편집]
  • 공유 교육 플랫폼: 학생들은 전공에 관계없이 COSS 플랫폼을 통해 첨단분야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 통합 플랫폼 앱: 2024년 7월 오픈된 COSS 통합플랫폼 앱을 통해 강의 정보, 프로그램, 이벤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CO-WEEK ACADEMY: 매년 1회 열리는 팝업 캠퍼스 행사로, 18개 컨소시엄의 강의를 한 자리에서 체험할 수 있다. 최대 16시간(990분)의 교육 수료가 가능하다.
  • CO-SHOW: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COSS)을 통해 개발된 융합 교육 프로그램과 그 성과를 널리 알리고,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제공한다. 초·중·고등학생부터 대학생, 일반 시민까지 전 세대를 대상으로 하며, 입장료는 무료이다.

개인정보 처리

[편집]

COSS 공식 홈페이지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회원 가입, 서비스 제공, 교육 활동 지원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한다.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는 ㈜에이치지에 위탁되며,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 보장 및 불만 처리 절차가 마련되어 있다.

지원 분야

[편집]

대학주도형

[편집]
  1. 인공지능(AI)
  2. 빅데이터
  3. 차세대반도체
  4. 미래자동차
  5. 바이오헬스
  6. 실감미디어
  7. 지능형 로봇
  8. 에너지신산업

지자체참여형

[편집]
  1. 항공드론
  2. 반도체소부장
  3. 이차전지
  4. 차세대통신
  5. 에코업
  6. 그린바이오
  7. 첨단소재나노융합
  8. 데이터보안활용융합
  9. 차세대디스플레이
  10. 사물인터넷

선정 대학

[편집]

대학주도형

[편집]
첨단분야 주관대학 참여대학
인공지능 전남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빅데이터 서울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전북대학교, 한동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차세대반도체 서울대학교 강원대학교, 대구대학교, 숭실대학교, 조선이공대학교, 중앙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미래자동차 국민대학교 계명대학교, 대림대학교, 선문대학교, 아주대학교, 인하대학교, 충북대학교
바이오헬스 단국대학교 대전대학교, 동의대학교, 상명대학교, 우송대학교, 원광보건대학교, 홍익대학교
실감미디어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계명대학교, 계원예술대학교, 배재대학교, 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지능형로봇 한양대학교 ERICA 광운대학교, 부경대학교, 상명대학교, 조선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에너지신산업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강원대학교, 부산대학교, 전북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

지자체참여형

[편집]
첨단분야 주관대학 참여대학 참여지자체
항공드론 한국항공대학교 인하대학교, 한서대학교, 경북대학교, 연암공과대학교 대구광역시
반도체소부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남대학교, 대림대학교 충청남도
이차전지 충북대학교 부산대학교, 가천대학교, 인하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 충청북도
차세대통신 국민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전남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광주광역시
에코업 고려대학교(세종캠) 고려대학교, 건국대학교, 영남대학교, 전주비전대학교 세종특별자치시
그린바이오 충남대학교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전남대학교, 연암대학교 대전광역시
첨단소재나노융합 중앙대학교 강원대학교, 한남대학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인하공업전문대학교 강원특별자치도
데이터보안활용융합 강원대학교 아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 영남이공대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차세대디스플레이 단국대학교 경희대학교, 한서대학교, 호서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청남도
사물인터넷 세종대학교 동국대학교, 대전대학교, 제주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제주특별자치도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대학-지자체 협력해 첨단분야 인재양성”. 2025년 5월 13일에 확인함. 
  2. “첨단 분야 융복합 인재가 되고 싶다면 ‘CO-SHOW’를 주목하라”. 2024년 11월 28일. 2025년 5월 13일에 확인함. 
  3. 피앤피뉴스 (2024년 5월 22일).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지자체참여형 신규 연합체 5개 분야 선정 발표”. 2025년 5월 13일에 확인함.